• 제목/요약/키워드: Line segment extractio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Rooftop 평면 추정에 의한 3차원 건물 모델 발생 (Generation of 3D Building Model Using Estimation of Rooftop Surface)

  • 강연욱;우동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921-2923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to generate 3D building model using estimation of rooftop surface after 3D line segment extraction using hybrid stereo matching techniques in terms of the co-operation of area-based stereo and feature-based stereo. we first performed a junction extraction from 3D line segment data which was obtained by stereo images, and finally generated building's reliable rooftop surface model using LSE(Least Square Error) method after creating surfaces by grouped and fixed junction points. we generated synthetic images for experimentation by photo-realistic simulation on Avenches data set of Ascona aerial images.

  • PDF

영역 라벨링에 의한 경계선 세그먼트의 데이터 구조 추출 (Data Structure Extraction of Boundary Segments by Region Labeling)

  • 최환언;정광웅;김두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0-89
    • /
    • 1992
  • 화상처리는 전처리, 중간표현, 최종 인식의 3단계로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처리 단계에서 구해진 에지로 둘러싸인 예영역들로부터 라벨링 기법으로 화상을 구분된 영역의 집합으로 표현한 후 각 영역을 둘러 싸고있는 외측 경계과 내측 경계를 세그먼트화하여 각 세그먼트들에 대한 영역의 정보, 세그먼트 번호, 시작점과 끝점의 정보, 적용된 직선 곡선의 종류 및 이들의 개수 정보 리스트에 대한 데이터 구조를 만드는 중간 표현 단계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구해진 데이타 구조를 이용 화상을 재구성한 결과 오차가 한 화소 범위내의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건물모델 및 선소측정함수를 이용한 건물의 3차원 복원 (3D Building Reconstruction Using Building Model and Segment Measure Function)

  • 예철수;이쾌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7권4호
    • /
    • pp.46-5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항공 영상으로부터 영상에 포함된 건물의 3차원 복원을 위해 건물 형태에 대한 모델을 생성하고 건물 모델을 구성하는 선소를 찾아 건물을 복원하는 알고리듬에 대해 다루고 있다. 건물을 검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필요한 에지 검출, 에지의 직선화, 선소의 연결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복원하는 건물을 몇 개의 파라미터값으로 표현하고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원영상에서 건물의 선소들을 직접 검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선소 검출시 건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선소에 대해 선소 측정 함수를 동시에 적용하여 독립적인 선소 검출 방법보다 건물 검출의 정확도를 높였다. 제안한 알고리듬을 스테레오 항공 영상에 적용한 결과, 건물의 정확한 검출 및 복원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이미지 기반 실시간 차량 측위를 위한 선분 매칭 프레임워크 (Line Segments Matching Framework for Image Based Real-Time Vehicle Localization)

  • 최강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32-151
    • /
    • 2022
  • 차량 측위 기술은 차량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자율주행을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이미지 기반의 측위 기술은 위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다양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특징점 또는 차선 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 측위 방법론은 도로 및 운행 환경에 측위 정확도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선분 매칭은 특징점에 비하여 텍스쳐 반복에 강건하고 주변 환경 전체에서 추출된 선분을 활용하기 때문에 기존 방법론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 운행환경을 대상으로 한 선분 매칭 방법론을 다루는 연구는 거의 진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차량 측위 지원을 위한 선분 매칭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또한 도로 주행 환경에서의 알고리즘 성능 비교 분석을 통하여 최적 선분 매칭 알고리즘을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선분 추출, 병합, 중첩 영역 탐지 및 MSLD 기반 선분 매칭의 4단계로 구성되었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차량의 속도, 운행 방식,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차량 측위에 충분한 수준의 선분 매칭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였다.

Recognition of Car License Plates Using Fuzzy Clustering Algorithm

  • Cho, Jae-Hyun;Lee, Jong-He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6권4호
    • /
    • pp.444-447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recognition system of car license plates to mitigate traffic problems. The processing seque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as follows. At first, a license plate segment is extracted from an acquired car image using morphological features and color information, and noises are eliminated from the extracted license plate segment using line scan algorithm and Grassfire algorithm, and then individual codes are extracted from the license plate segment using edge tracking algorithm. Finally the extracted individual codes are recognized by an FCM algorithm. In order to evaluate performance of segment extraction and code recognition of the proposed method, we used 100 car images for experiment. In the results, we could verify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and recognition performance is improved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car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s.

On-Board Satellite MSS Image Compression

  • Ghassemian, Hassan;Amidian, Asghar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645-647
    • /
    • 2003
  • In this work a new method for on-line scene segmentation is developed. In remote sensing a scene is represented by the pixel-oriented features. It is possible to reduce data redundancy by an unsupervised segment-feature extraction process, where the segment-features, rather than the pixelfeatures, are used for multispectral scene representation. The algorithm partitions the observation space into exhaustive set of disjoint segments. Then, pixels belonging to each segment are characterized by segment features. Illustrative examples are presented, and the performance of features is investigated. Results show an average compression more than 25,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for all classes, and the CPU time required for classification is reduced by the same factor.

  • PDF

선군집분할방법에 의한 특징 추출 (Feature Extraction by Line-clustering Segmentation Method)

  • 황재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4호
    • /
    • pp.401-408
    • /
    • 2006
  • 영상신호의 수직축 및 수평축 화소 성분 분석을 통해서, 영상 내부에 존재하는 각 영역의 군집적 특성을 통계 및 영역적으로 처리 분류함으로써 필요한 특징을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영역분할처리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종래의 점처리나 면처리 방식에 비해 이 방식은 수평축과 수직축 상에서의 연속적인 선처리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영상을 구성하는 영역간 경계가 암시적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명시적으로는 불투명하고, 영상 특성의 분기점 또한 불명확하고 중복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문턱치처리나 분기점처리로 그 영역간 특정을 분할, 추출하기가 곤란한 경우에 이 방식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수평축 및 수직축 선처리를 통해 각 영역들의 특성들을 군집으로 처리한 다음 처리한 축과 수직 방향으로 축차적 적응진행처리한다. 그 결과 영상 내 각 영역은 화소값의 중복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군집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군집 고유의 화소 값을 갖는다. 그리고 처리후 영상은 각 군집에 부여한 새로운 화소값으로 변환함으로 필요한 특정이 추출된다. 이 방식은 특히 영역 분할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동맥 초음파 의료영상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선소의 추출과 그룹화를 이용한 원격탐사영상에서 건물 지붕의 복원 (Building Roof Reconstruction in Remote Sensing Image using Line Segment Extraction and Grouping)

  • 예철수;전승헌;이호영;이쾌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6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의 항공 영상으로부터 건물의 3차원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에지 보존 필터를 사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한 후에 watershed 기법을 이용하여 에지의 위치를 보존하고 영상 분할을 수행한다. 분할된 영역의 경계선에 위치한 화소의 곡률을 계산하여 control point를 검출하고 control point 사이의 선소를 추출한다. 추출된 선소들의 방향과 길이를 고려하여 선소의 연결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화소의 그레디언트 크기를 이용하여 선소의 위치를 조정한다. 공면의 그룹화와 다각형 조각을 형성하는 과정은 각 영역에 대해 공선 기하학과 비행 정보를 이용하여 정합된 3차원 선소들을 선택하여 이루어진다. 항공 영상에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건물 지붕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동로봇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안정한 시각 랜드마크의 자동 추출 (Automatic Extraction of Stable Visual Landmarks for a Mobile Robot under Uncertainty)

  • 문인혁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758-76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랜드마트 정보 없이 장해물의 위치 정도 지도만 주어졌을 때 스테레오 시작(stereo vision)을 가진 이동로봇이 관측위치와 조명의 변화에도 강인한 시각 특징을 랜드마크로써 추출하는 수법을 제안한다. 장해물의편평한 면사에서 보다 안쪽영역에 존재하는 특징이 관측위치의 변화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안쪽 영역에 존재하는 수직선 세그먼트(vertical line segment) 특징을 랜드마크로 선택한다. 그러나 선택된 특징에서는 로봇의 이동과 관측이 오차에 의해 불확실성(uncertainty)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추정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영역기반 스테레오 정합과 특징기반 스테레오 정합법을 이용하여 정합된 특징을 선택하고 확장 칼만필터(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여 선택된 특징의 위치, 길이를 추정하여 랜드마크로써 등록한다. 실내 이동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제안된 수법의 유용성을 보인다.

  • PDF

Feature curve extraction from point clouds via developable strip intersection

  • Lee, Kai Wah;Bo, Pengbo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102-111
    • /
    • 2016
  • In this paper, we study the problem of computing smooth feature curves from CAD type point clouds models. The proposed method reconstructs feature curves from the intersections of developable strip pairs which approximate the regions along both sides of the features. The generation of developable surfaces is based on a linear approximation of the given point cloud through a variational shape approximation approach. A line segment sequencing algorithm is proposed for collecting feature line segments into different feature sequences as well as sequential groups of data points. A developable surface approximation procedure is employed to refine incident approximation planes of data points into developable strips. Some experimental results are includ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