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nology

검색결과 1,141건 처리시간 0.023초

체류시간이 서로 다른 부영양 수계에서 플랑크톤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Community Structure of Plankton in Eutrophic Water Systems with Different Residence Time)

  • 이욱세;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263-271
    • /
    • 2004
  • 체류시간이 서로 다른 두 부영양 수계에서 미소먹이망의 생태학적 정보를 파악하고자, 기초적 환경요인과 bacterioplankton 및 nanoplankton의 현존량 및 탄소생체량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두 수계 공히 강우는 주로 7월에서 9월에 집중하였으며, 수온 역시 큰 차이는 없었다. 두 수계의 플랑크톤 군집은 공히 저온기 동안에는 비교적 세포크기가 큰 nanoplankton이 우점한 반면, 고온기 동안에는 소형 bacterioplankton이 높은 현존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비교적 수계가 안정된 석촌호수에서는 강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경안천에서 nanoplankton은 현존량은 물론 탄소생체량의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두 수계의 미세먹이망은 석촌호수에서는 박테리아와 phytoplankton 또는 cyanobacteria간에 밀접한 분포 관계를 보인 반면, 경안천에서는 박테리아와 protist 사이에 뚜렷한 먹이관계를 보였다. 또한 경안천에서 개체수와 탄소생체량간의 비대칭적인 현상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경안천의 미세먹이망은 수온이나 영양물질보다 강우에 의한 빠른 체류시간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지만, 안정된 수계에 비해 bacterioplankton보다 nanoplankton들의 높은 성장과 종 다양성을 유도하였다.

Di-2-ethylhexyl Phthalate (DEHP)에 노출된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혈액적 (Di-2-ethylhexyl Phthalate Induced Haematological Effects in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After Short Term Exposure)

  • 지정훈;금유화;강주찬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313-318
    • /
    • 2004
  • Di-2-ethylhexyl Phthalate (DEHP)는 내분비장애물질로 분류되어 있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in vitro에서 혈구세포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를 대상으로 DEHP 급성 노출에 따른 혈액학적 영향을 파악하기위하여 어체중 당 300 및 1,000 mg의 DEHP를 복강주사하였다. DEHP (1,000 mg b.w. $^{-1}$에 노출된 동자개는 적혈구수와 혈색소 농도 및 적혈구 용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내 유기성분인 총단백질량, 콜레스테를 수치는 300 및 1,000 mg 주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농도는 1,000 mg 주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무기성분인 칼슘농도와 혈액 삼투압 농도는 1,000 mg DEHP 노출구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외부 환경영향에 대한 밀도비 의존 3영양단계의 개체군 동태 모델 (Modeling on Ratio-Dependent Three-Trophic Population Dynamics Responding to Environmental Impacts)

  • 이상희;최경희;전태수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304-312
    • /
    • 2004
  • 수 생태계 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3영양단계 먹이사슬 구조를 이루는 종들이 밀도비 의존 모델로써 구현 될 때 외부 환경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연구하였다. 환경 요인은 주기적 요인과 일반적 노이즈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주기적 요인이 온도로써 대표되었을 때 온도변이를 바이어스와 주기로 나누었고, 기타 복합적인 노이즈는 가우스 분포로 나타내었다. 온도변이 바이어스 ${\varepsilon}$, 온도주기 ${\Omega}$, 및 가우스 노이즈 크기 ${\'{O}}$가 서로 결합하여 3영양단계 먹이사슬에서 개체군 멸절을 포함한 다양한 개체군 동태를 보여 주었다. 변수의 적절한 값에 따라 '안정된 제한 사이클'이나 '이상한 끌개'를 보여 주었으며, 전체적으로 개체군 동태는 환경 변수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포식자 및 최상위포식자 개체군의 멸절시간이 조절되었다.

4대강 사업 후 낙동강 중·하류의 하중도와 제외지 지형변화 (Changes of River Morphology in the Mid-lower Part of Nakdong River Basin after the 4 Large River Project, South Korea)

  • 임란영;김지윤;최종윤;도윤호;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48권3호
    • /
    • pp.188-194
    • /
    • 2015
  • River channel dredging and riparian development have been influenced morphology and quantity of natural river habitat. We compared distribution of riverside land and alluvial island in the Nakdong River with field survey and remote sensing analysis after the 4 Large River Project in South Korea. We digitized geomorphological elements, includes main channel, riverside land, and alluvial island by using georeferenced aerial photos taken in pre-dredging (2008) and post-dredging (2012) periods. Field survey was followed in 2012 for a ground truth of digitized boundaries and identification of newly constructed wetland types such as pond, channel, branch, and riverine type. We found that during the dredging period, riverside land and alluvial island were lost by 20.2% and 72.7%, respectively. Modification rate of riverside land was higher in the section of river kilometer 50~90, 140~180, and 210~270. Alluvial island had higher change rate in the section of river kilometer 50~70, 190~210, and 270~310. Average change rate for the riverside land and alluvial island was $-1.02{\pm}0.14km^2{\cdot}10km^{-1}$ and $-0.05{\pm}0.05km^2{\cdot}10km^{-1}$, respectively. Channel shaped wetlands (72.5%) constituted large portion of newly constructed wetlands.

추계 대청호 퇴적물 내 인의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ary Phosphorus of Daechung Lake in Autumn, Korea)

  • 심무준;양윤모;오다연;황윤호;이수형
    • 생태와환경
    • /
    • 제48권3호
    • /
    • pp.168-175
    • /
    • 2015
  • 추계 대청호 퇴적물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인의 형태는 환원환경이 되면 용출될 수 있는 Al-bound와 Fe-bound 인으로 나타났다. 총인, Al-bound와 Fe-bound 인은 가두리 양식장이 분포하였던 회남 지점과 대청댐 앞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가두리 양식장 같은 인위적인 활동보다는 세립질 퇴적물의 이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청호 퇴적인의 농도는 그 어느 존재형태도 타 인공호수에 비해 높지 않았다. 그러나 보다 더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서 존재형태별 연속추출법을 표준화해야 할 것이다.

실내종 Chironomus riparious와 야외종 Chironomus plumosus의 중금속 노출에 따른 분자지표 유전자 발현 (The Molecular Biomarker Genes Expressions of Rearing Species Chironomus riparious and Field Species Chironomus plumosus Exposure to Heavy Metals)

  • 김원석;김로사;박기연;차밀라니;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48권2호
    • /
    • pp.86-94
    • /
    • 2015
  • Chironomous is aquatic insect belonging to order Diptera, family Chironomidae. Their larval stage can be found mainly in aquatic benthic environment, hence good model organism to study environmental toxicology assessments and consider as useful bio indicators of contamination of the aquatic environment. In this study, Chironomus Heat Shock Proteins, Cytochrome 450, Glutathione S-transferase, Serine-type endopeptidase gene expressions were compared between polluted field areas (Chironomus plumosus) an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Chironomus riparious) to investigate molecular indicators for environmental contaminant stress assessment. Heavy metal (Al, Fe, Mn, Cu, Cr, Zn, Se, Pb, As, Cd) concentrations in sediments collected from three study areas exceeded the reference values. Moreover, HSPs, CYP450 and GST gene expression except SP for C. plumosus showed higher expression than C. riparious gene expression. Similar gene expression pattern was observed in C. riparious that exposed environment waters up to 96 h when compared to C. plumosus exposed to waters that grown in lab conditions. In summary, this comparative gene expression analysis in Chironomous between field and laboratory condition gave useful information to select candidate molecular indicators in heavy metal contaminations in the environment.

거북등윤충 (Keratella) 피갑 형태의 연도 및 계절별 변화 (The Annual and Seasonal Changes of Lorica Morphology in Keratella.)

  • 라긍환;최지민;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42권2호
    • /
    • pp.253-259
    • /
    • 2009
  • 낙동강 물금 지역에서 채집된 동물플랑크톤 중 윤충류인 Keratella 속을 대상으로 10년 전후(1995, 1997, 2005 그리고 2007)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고, 피갑형태에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 K. cochlearis의 피갑 크기, 후돌기의 발현 여부 및 길이 그리고 후두돌기 길이의 연도와 계절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였다. Keratella 속의 밀도는 봄에 높고 겨울에 낮은 뚜렷한 계절성을 보였다. 군집 내에서 K. cochlearis가 우점종이었으며 상대풍부도는 1995년과 1997년보다 2005년과 2007년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K. cochlearis의 피갑 폭은 유사하였으나, 피갑 길이의 경우 여름에 감소하고 겨울에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모든 연도에서 후돌기를 발현하는 개체의 비율이 낮았고 특히 여름과 가을에 출현빈도가 낮았다. 후돌기의 평균 길이는 여름에 짧고 겨울에 길였으며 후두돌기 펑균 길이는 겨울에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Zooplankton Grazing on the Suppression of Harmful Algal Blooms by the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in Freshwater Ecosystems

  • Baek, Seung-Ho;Hong, Sung-Su;Song, Shin-Young;Lee, Hae-Ok;Han, Myung-Soo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67-74
    • /
    • 2009
  •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on harmful algal bloom suppression, we focused on assessing the rotifer's abilities using several prey species : Microcystis aeruginosa, Synechocystis sp., Chlorella vulgaris and Coelastrum sp. of the warm-weather species and the cold-weather centric diatom Stephanodiscus hantzchii. Grazing effects and growth rates of rotifers B. calyciflorus were 94.5% and $1.29d^{-1}$, respectively, for Synechocystis sp., 87.4% and $0.60d^{-1}$, respectively, for M. aeruginosa, 95.2% and $0.65d^{-1}$, respectively, for C. $vulgaris^{TM}$, 78.6% and $0.45d^{-1}$, respectively, for C. vulgaris UTEX., 86.5% and $0.99d^{-1}$, respectively, for Coelastrum sp., and 82.6% and $0.40d^{-1}$, respectively, for S. hantzchii. Of these, although the growth of Synechocystis and Coelastrum was effectively suppressed by rotifer grazing, efficient suppression effects on Stephanodiscus blooms were unexpected.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reproduction of B. calyciflorus was greatly influenced by its food types in the initial stages and the efficiencies of bio-agents as sole food sources vary depending on the target algae and the agent.

연곡천에 서식하는 북방종개 Cobitis pacifica (Cobitidae)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bitis pacifica (Cobitidae) in the Yeongok Stream)

  • 최준길;변화근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26-31
    • /
    • 2009
  • 북방종개(Cobitis pacifica)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2006년 5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연곡천 하류에서 조사하였다. 본 종은 하천 하류역과 중 하류수역 여울에 걸쳐 분포하며 하상구조는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식지 수심은 $20{\sim}50cm$ 유속은 $0.23{\sim}0.56m\;sec^{-1}$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성비는 1 : 0.93이었고 산란시기는 $6{\sim}8$월이며 산란기 수온은 $25{\sim}27^{\circ}C$이었다. 만 2년생 이상부터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체장이 $40{\sim}59mm$의 집단은 만 1년생, $60{\sim}89mm$의 집단은 만 2년생, $90{\sim}109mm$의 집단은 만 3년생, 110 mm 이상은 만 4년생으로 추정된다. 포란수는 평균 809개이었다. 먹이생물은 하루살이목(Ephemeroptera)와 파리목(Diptera)이 생체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국내에 서식하는 잉어과 어류의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ag 적용에 따른 생존율 평가 (Survival Rate of the Korean Cyprinidae Subject to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agging)

  • 윤주덕;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134-138
    • /
    • 2009
  • 국내에 서식하는 5종의 담수 잉어과 어류(참갈겨니, 피라미, 누치, 납자루, 끄리) 173개체를 대상으로 PIT 태그를 체내 삽입 후, 30일 간 매일 생존율을 파악하여 태그의 적용성과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생존율 테스트 결과, 참갈겨니가 가장 높은 생존율을, 피라미가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개체의 전장이 길수록 생존 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사망률은 외과적 수술과정에서 내부 장기의 손상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본 실험결과 피라미를 제외한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소형 담수어류에도 PIT 태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PIT 태그의 야외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전장 150mm의 개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