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gneous biomass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gional Economic Impact of Potential Utilization of Ligneous Biomass (목질계 바이오매스에너지의 지역별 잠재적 파급효과 추정)

  • Bae, Je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17-220
    • /
    • 2006
  •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국내 잠재량이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주요 공급원인 간벌목 부산물의 10%, 폐목재의 1/3 정도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관련법제도 개선 및 지원을 통해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경우 잠재적 기여도는 2005년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의 29.4%에 달하며, 신재생에너지의 일차에너지 소비대비 2.13%에서 2.76%로 증가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16개 시도별로 잠재되어 있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 가능량을 추정하고 이를 바이오열병합발전소의 주연료로 이용할 경우 지역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경기, 서울, 전남, 경북, 강원, 충남 등에서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 파급효과를 합할 경우 부가가치 파급효과가 15,736억원, 고용효과가 2,630명으로 나타났다.

  • PDF

Investigation of Water Evaporation from Biomass with Different Torrefaction Environments (반탄화 환경변화에 따른 바이오매스의 수분증발에 관한 연구)

  • Go, Gun Yung;Kim, Man Young;Lee, Chang Yeop;Kim, Sae W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10
    • /
    • pp.901-909
    • /
    • 2013
  • Owing to the Increasing use of fossil fuels, worldwide concerns over environmental pollution are increasing. As a solution, ligneous biomass has emerg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fuel in recent times. Therefore, in this study, a moisture evaporation model that largely influences the energy density and efficiency of ligneous biomass is studied using a numerical approach. Furthermore, the therm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terms of torrefaction temperature and moisture fractions in the wood, and the type of wood spec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fractions of wood de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torrefaction temperature. In particular, when the torrefaction temperature is lower than 423K, there were little changes in the moisture fraction in the wood.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charcoal is produced more slowly as the moisture fraction in the wood increases.

The Study on CDM Project of Ligneous Biomass Co-fired in Coal Thermal Power Plant (석탄화력에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혼소시 CDM 사업 연구)

  • Jeong, Nam-Young;Kim, Lae-Hy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0 no.3
    • /
    • pp.231-235
    • /
    • 2011
  • Ligneous biomass such as wood pellet is characterized as carbon neutral which has no carbon dioxide emission ; additionally, i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uel by co-firing without additional plant reformation as well as for maintaining stability of fuel supply. We can develop CDM project while co-firing by using biomass into conventional coal fired thermal power plant with AM0085 CDM methodology, and it's possible to prove additionality as fuel cost per kWh is higher than bituminous. The study shows that the electricity by biomass can reduce green house emission by $0.6737tCO_2$ per MWh.

Comparison of Different Policy Measures for Fostering Climate Friendly Fuel Technology Applying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기후친화적 연료 생산 확대를 위한 정책 수단간 일반균형효과의 비교)

  • Bae, Jeong-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9 no.3
    • /
    • pp.509-546
    • /
    • 2010
  • Although coal has been utilized as major fuel, it is known as 'most climate unfriendly' fuel. Carbon tax or tradable permit policy has been discussed as major measure for reduc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oal, but it might be more efficient to remove subsidy on co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is study examines econom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recycling revenue from reducing subsidy on the use of coal to foster climate friendly fuel (ligneous biomass) by price subsidy or increased public expenditure. A static CGE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welfare consequences and economic impacts of two policy measures. The result shows that price subsidy policy is more desirable than creation of public demand in terms of welfare as well as overall economic impacts.

  • PDF

Characteristics of pyrolysis gas production in charcoal production process of lignocelluloisic biomass (목질계 바이오매스 숯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분해가스 생산 특성)

  • Park, Soo-Nam;Ku, Jae-Hoi;Lim, Yong-Taek;Xu, Lihua;Seo, Yong-Kyo;Lee, Il-Kyu;Ha, Hu-Ch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443-446
    • /
    • 2009
  • 바이오매스 에너지라 함은 생물체를 구성하는 유기물을 이용하는 에너지이다. 바이오매스는 에너지 위기 및 $CO_2$에 의한 지구온난화 및 화석자원의 고갈이 진행되면서, 화석연료와 달리 재생이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다른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국내 잠재량이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 중의 하나이다. 바이오매스 에너지 기술로는 직접연소, 열화학적 변환, 생화학적 변환의 기술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를 원료로 한 부분산화 조건의 숯 생산 공정에서 목재의 열분해 가스 생산특성을 고찰하였다. 열분해가스 중에 응축된 목초액의 pH는 3.58~3.92 정도로 분석 되었고, 산도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2.74에서 4.44%로 농도가 증가 되었다. 숯 생산 공정에서의 목재의 열분해는 초기부터 48시간까지는 열분해가스의 조성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48시간 경과 후에는 열분해가스 중에 가연성가스인 $H_2$, CO, $CH_4$가 약 5%정도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