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 boa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8초

Air-gap effect on life boat arrangement for a semi-submersible FPU

  • Kim, Mun-Sung;Park, Hong-Shik;Jung, Kwang-Hyo;Chun, Ho-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8권5호
    • /
    • pp.487-495
    • /
    • 2016
  • In the offshore project such as semi-submersible FPU and FPSO, the free fall type life boat called TEMPSC (Totally Enclosed Motor Propelled Survival Craft) has been installed for the use of an emergency evacuation of POB (People on Board) from the topside platform. For the design of life boat arrangement for semi-submersible FPU in the initial design stage, the drop height and launch angle are required fulfill with the limitation of classification society rule and Company requirement, including type of approval as applicable when intact and damage condition of the platform. In this paper, we have been performed the numerical studies to find proper arrangement for the life boats consider drop height in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ave, wind and current. In the calculations, the contributions from static and low frequency (LF) motions are considered from the hydrodynamic and mooring analysis as well as damage angle from the intact and damage stability analysis. Also, Air-gap calculation at the life boat positions has been carried out to check the effect on the life boat arrangement. The air-gap assessment is based on the extreme air-gap method includes the effect of 1st order wave frequency (WF) motions, 2nd order low frequency roll/pitch motion, static trim/heel and set down.

구명정 배터리의 폭발사고 예방을 위한 대안 (Preventive Measures of Battery Explosion in Lifeboat)

  • 임명환;안병원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849-855
    • /
    • 2011
  • 구명정은 선박이 좌초나 침몰 시 인명구조용으로 구조는 황천시 물이 구명정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밀폐형으로 되어 있다. 밀폐형 구조로 인해 구명정내부는 온도가 상승되고 이 온도 상승으로 인해 엔진시동용 배터리가 폭발 가능성이 있고, 실제로 목포해대 실습선의 구명정에 탑재된 배터리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폭발에 대한 원인조사를 바탕으로 폭발방지를 위한 대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생된 사고의 방지를 위한 구명정의 구조개선, 충전장치, 법규개정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안하였다.

폴리에틸렌 보트의 열피로 손상의 실험적 평가 (A Experimental Estimation of Thermal Fatigue at Polyethylene Boat)

  • 조석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559-2565
    • /
    • 2013
  • 2000년 이후 FRP 보트 선체 제작에 대한 국제적 법적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트 선체 재료로 폴리에틸렌을 제안하였다. 폴리에틸렌은 저융점 재료로서 보트가 야외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심각한 열피로를 받을 수 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트 선체에 대한 열적 내구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삼점굽힘하중조건하에서 변형률 게이지를 이용하여 열응력을 측정한 뒤 열응력 데이터를 기초로 통계학적으로 열피로 손상을 분석하였다.

Optimal Dual Pricing and Passenger Safety Level for Cruise Revenue Management

  • Cho, Seong-Cheol;Zhang, Mengfei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3-70
    • /
    • 2017
  • Despite the remarkable continual growth of the world cruise industry, studies have yet to be attempted on many revenue management problems in cruise operations. This paper suggests two schemes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cruise revenue management: optimal dual pricing and passenger safety level. In optimal dual pricing, a pair of higher and lower prices is applied to cabin reservation through market segmentation. This scheme can be executed with a linear price-response function for the current unreserved cabins. A cruise line could benefit from this scheme to maximize reservation revenue while attaining full occupancy. The dual pricing scheme is also devised to produce only integer demands to suit real management practices. The life boat capacity is an additional service capacity unique to the cruise industry, catering to passengers' safety. The concept of passenger safety level is defined and computed for any passenger life boat capacity of a cruise ship. I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passenger safety of a cruise ship in operation, as well as to determine the number of life boat seats required for a new cruise ship. Hypothetical examples are used to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se two schemes.

연안 소형선박 수리용 해상 상가시스템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a Marine Docking System for Repair of a Small Coast-Boat)

  • 박충환;장동원;양향권;진종룡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8-83
    • /
    • 2008
  • In recent years, small boats used for marine leisure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because of the increase in national income and the desire for marine leisure. But the repair of such small boats in dry dock has pointed out many faults in small FRP-shipbuilding in terms if workspace and manpower. Lifting a boat from the water to land is done with a crane or by hand using a sling around the bottom of the boat. But dry dock work is limited by the scale of the boat, which corresponds to the crane capacity, with carelessness making it possible to capsize a boat and endanger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a marine docking system that would improve economical efficiency and safety, for which we carried out concept design, model tests, structural analysis, etc.

전폐형 Life-boat 국산화 기술 개발

  • 진송한;박충환;장동원;최병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3회 정기총회
    • /
    • pp.19-21
    • /
    • 2007
  • 우리나라 조선산업은 생산성 향상을 통한 건조척수의 증가를 통하여 일본과 더불어 세계 $1^{\sim}2$위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는 등 세계 최고의 수준이다. 그러나 국내 중소형 조선소나 조선기자재업체의 경우에는 기술 인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독자적인 기술의 확보와 기술개발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구명정(Life boat)은 선박의 비상 탈출 장비로써 법적으로 의무 설치가 강제화 되어 있는 선박 안전에 있어 필수적인 장비로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의 구명정 제작업체로는 현대라이프보트가 유일하며 2004년 기준 국내 신조선박에 탑재되는 수량의 25%, 세계시장의 4% 만을 공급하고 있다. 이외의 수량은 $7^{\sim}8$ 개의 유럽 등 외국업체와 중국업체들이 제작, 공급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명정의 신선형 개발과 선형시험 통한 성능 검증 및 품질 향상과 풍수절감을 위한 생산성 향상 방안, 기존 몰드 개선 방안 연구 등을 수행하고 시제선을 건조하여 저가의 외국 구명정에 대응하여 국내 구명정 기술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폐형 구명정의 국산화를 달성하였다.

  • PDF

폴리에틸렌 보트의 내구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Fatigue Performance of Polyethylene Boat)

  • 오정석;조석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7-54
    • /
    • 2014
  • 선체 내구성은 기존 선급 규격에 의하여 구조 치수를 결정한 후 이러한 치수의 선체구조에 대하여 스펙트랄과 결정론적 및 간이 방법에 의하여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선체재료를 선급 규격에서 제안하고 있는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있으나 선체 재료를 신소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보트 선체에 대한 피로 손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선체에 부하되는 단기간 선체 가속도를 직접 측정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기초로 구조설계와 피로수명평가방법이 확립되지 못한 소형 선박의 선체 내구성을 선형누적손상 법칙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폴리에틸렌 보트의 경우 최대 가속도 상태에서 보트에 부하되는 최대 Von-Mises 응력은 1.8MPa로서 $1{\times}10^9$ 사이클 피로강도 5.9MPa 아래에 있고 유한피로수명개념을 적용한 폴리에틸렌 보트의 내구수명은 415년으로 평가되어져 거의 무한수명을 가지고 있다.

소형선박용 팽창식 구명뗏목(Inflatable life raft) 개발 (Development of inflatable life raft for small vessel)

  • 박종오;이성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99-104
    • /
    • 2015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명뗏목은 국제항해 선박용으로 SOLAS 협약 규정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제품이며, 20m 미만의 소형어선이나 레저선박, 평수구역을 항해하는 화물선에 적합한 크기와 용도로 개발된 제품은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소형선박 및 연안 선박에 적용하기 위한 자국 규정을 개발하거나 ISO 9650에 충족하는 구명뗏목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등 경량화 소재와 열접착(Heat sealing), 고주파접착(Radio-frequency welding, RFW) 등의 경제적인 생산방법을 적용하여 성능이 우수한 제품을 시장에 보급함으로써 이들 선박의 인명안전에 기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선박의 해양사고 시 인명피해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경량화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를 사용하고 고주파 접착 등의 제조공법을 이용하여 소형선박용 구명뗏목을 개발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원통형 실린더의 입수 충격 해석 (The Impact Analysis for Water-Entry of Cylindrical Body)

  • 독고욱;김인학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02
  • 물체가 수중에 입수할 때, 원래의 운동에너지는 물체와 그 주위의 물에 부가질량 형태로 분배된다. 이러한 에너지 혹은 운동량의 전달에 기인하여 물체는 유체동력학적 충격력과 가속도를 받는다. 이러한 충격거동은 수중운동체의 공중 발사에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구명정 모델을 바탕으로 원통형 물체의 입수에 대한 충격거동을 해석하는 근사기법을 제안하였다. 충격력은 von Karman의 운동량 이론으로 계산하고, 운동, 특히 가속도는 유체동력학적 힘의 평형에 의하여 유도된 운동방정식의 수치 적분으로 계산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입수충격을 받는 물체의 초기설계나 운동 해석을 위한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operative Fishing Boat Robots Model for Extreme Worker

  • Sin, Seunghan;Yang, Kyeongae;Kim, Jaeheon;Shin, Se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2호
    • /
    • pp.79-83
    • /
    • 2018
  • According to the Korea Robotics Industry Association, the number of robots companies, sales and production are steadily increasing until 2016, and the global robot market outlook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until 2025. We need to develop more attention to robots that can make life easier for us and can replace human tasks that we cannot do. It is predicted that robots will be more developed in the future with the above statistics, and future robots will be more activated by robots that can depend on each other, fix each other, and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without humans. Therefore, the shape of the robots in the future will be developed as a group robot(swarmbot) that cooperate with each other while the robot works. These robots have been studied for a longtime, but there are only two community robots that are applied in real life, only two of which are jailbreaking robots made in KAIST and KIVA robots made in Amazon company. In the future, as these robots develop more and more, and environment where robots can live without human intervention is created, so that a plurality of robots can collaborate and do individual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