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ythea celti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5초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earances of Lepidoptera Larvae and Foodplants at Mt. Gyeryong National Park in Korea

  • Han, Yong-Gu;Nam, Sang-Ho;Kim, Youngjin;Choi, Min-Joo;Cho, Young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245-254
    • /
    • 201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time span of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Twenty-one surveys in total, seven times per year, were done between April and June of each year on major trees on trails around Donghaksa and Gapsa in Mt. Gyeryong National Park in order to identify foodplants of the Lepidoptera larvae and their characteristic appearances. During the survey of Lepidoptera larvae in trees along trails around Donghaksa and Gapsa, 377 individuals and 21 species in 8 families were identified. The 21 species were Alcis angulifera, Cosmia affinis, Libythea celtis, Adoxophyes orana, Amphipyra monolitha, Acrodontis fumosa, Xylena formosa, Ptycholoma lecheana circumclusana, Choristoneura adumbratana, Archips capsigeranus, Pandemis cinnamomeana, Rhopobota latipennis, Apochima juglansiaria, Cifuna locuples, Lymantria dispar, Eilema deplana, Rhodinia fugax, Acronicta rumicis, Amphipyra erebina, Favonius saphirinus, and Dravira ulupi. Twenty-one Lepidoptera insect species were identified in 21 species of trees, including Zelkova serrata. Among them, A. angulifera, C. affinis, and L. celtis were found to have the widest range of foodplant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many species of Lepidoptera insects can utilize more species as foodplants according to the chemical substances in the plants and environments in addition to the foodplants noted in the literature. Also, it is thought that more species can be identified with a survey of various woody and herbaceous plants.

Monitoring butterflies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current possibilities and future potentials

  • Ivosevic, Bojana;Han, Yong-Gu;Kwon, Oh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3호
    • /
    • pp.72-77
    • /
    • 2017
  • The world of technology is pleasantly evolving to a stage where small robotic aid may be used to ease the work of researchers, and to one day bring more accurate results than the current human abilities allow. In the research field of species monitoring in biology,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have begu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how research is approached, analyzed, and then applied for further investigation, particularly by focusing on a single species. This paper uses data that has been collected from June to October 2015, to demonstrate how the innovative idea of using UAVs to monitor a particular species will bring a positive development in conservation research, and what it was able to achieve in this research field so far. More precisely, we examine the potential of UAVs to take center stage in future research, as well as their current accuracy. This paper describes the use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Phantom 2 Vision+ for the detection, assessment, and monitoring of the butterfly species Libythea celtis, demonstrating how it can help the monitoring of butterflies and how it could be developed for even more adventurous and detailed research in the future.

Developing a semi-automatic data conversion tool for Korean ecological data standardization

  • Lee, Hyeonjeong;Jung, Hoseok;Shin, Miyoung;Kwon, Oh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3호
    • /
    • pp.78-84
    • /
    • 2017
  • Recently, great demands are rising around the globe for monitoring and studying of long-term ecological changes. To go with the stream, many researchers in South Korea have attempted to share and integrate ecological data for practical use. Although some achievements were made in the meantime, we still have to overcome a big obstacle that existing ecological data in South Korea are mostly spread all over the country in various formats of computer files. In this study, we aim to handle the situation by developing a semi-automatic data conversion tool for Korean ecological data standardization, based on some predefined protocols for ecological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this tool works on only five species (libythea celtis, spittle bugs, mosquitoes, pinus, and quercus mongolica), helping data managers to quickly and efficiently obtain a standardized format of ecological data from raw collection data. With this tool, the procedure of data conversion is divided into four steps: data file and protocol selection step, species selection step, attribute mapping step, and data standardization step. To find the usability of this tool, we utilized it to conduct the standardization of raw five species data collected from six different observatory sites of Korean National Parks. As a result, we could obtain a common form of standardized data in a relatively short time. With the help of this tool, various ecological data could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nationwide common platform, providing broad applicability towards solving many issues i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system.

월출산국립공원 나비군집 모니터링 (Butterfly Community Monitoring on Wolchulsan National Park in Korea)

  • 김도성;박두상;오해선;김동혁;정종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6-203
    • /
    • 2013
  • 월출산의 나비군집 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월별로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49종 1,151개체가 조사되었다. 우점종으로는 뿔나비 357(31.0%), 남방노랑나비 96(8.3%), 부처나비 75(6.5%), 굴뚝나비 72(6.2%)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로는 6월에 30종 516개체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기록하였고 구간별로는 저수지나 수원지와 인접한 구간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보였다. 전체 다양도지수는 1.71로 나타났으며 월별로는 8월 2.75로 가장 높게 10월에 1.7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 우점도지수에서는 0.12로 나타났으며 월별로는 6월에 0.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월에 가장 낮은 0.07을 나타냈다. 유사도지수는 큰골과 성전이 0.52로 가장 유사한 종들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큰골과 용산이 0.1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출산의 저수지나 수원지의 제방은 특정한 종의 서식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지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는 초지대와 열린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선조사법에 의한 설악산 천불동계곡 나비류의 다양성과 풍부도의 평가 (Assessment on Diversity and Abundance of Butterflies in the Chunbul-dong Valley of the Soraksan by Line Transect Method)

  • 권태성;박해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1-183
    • /
    • 1997
  • 설악산 매표소에서 양폭산장에 이르는 천불동계곡지역의 나비군집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6년 6월부터 10월까지 월별로 나비의 종구성, 다양도와 풍부도 및 생존전략별 분포특성 등을 선조사법으로 조사하였다. 다양도와 풍부도의 평가를 위해 강원도와 경기도 및 부산 등지의 8개 지역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7과 18종이 발견되었다. 과거기록을 포함하여 천불동계곡지역에서 서식이 확인된 나비류는 7과 48종이었다. 기분포종 44종 중 30종은 미발견되었고, 미발견종 중 청띠신서난비는 밀도감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출현종 중 큰줄흰나비, 애기세줄나비 및 뿔나비는 천불동계곡지역의 보통종이었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보통종들인 배추흰나비, 노랑나비, 호랑나비는 희귀하였다. PGA(Principal Component Analysis)좌표분석 결과 나비군집의 종구성과 종별분포를 결정하는 주요인은 인간간섭으로 추정되었다. 다양도는 간섭지역과 비간섭지역에서 차이가 없었고 풍부도는 간섭지역이 더 높게 나타났다. 비교지역들에 비해서는 천불동계곡지역의 나비군집은 풍부도는 현저시 낮게, 다양도는 약간 낮게 나타났다. 생존 전략별로 다소 다른 분포특성이 나타났는데, 비전문가(generalist)는 전문가(specialist)에 비해 간섭지역에 출현하는 종이 많았고, 간섭지역과 비간섭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 많았다.

  • PDF

백두대간 구룡령과 고직령의 나비군집 비교와 분포변화 (Comparison of Butterfly Communities between Guryongryeong and Gojigkyeong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and the Changes in Their Distribution)

  • 김도성;오기석;박성준;최승세;이승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33-245
    • /
    • 2015
  •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다양한 생물 서식지이며 동물의 이동통로로 새로운 서식지로의 이주와 재서식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2014년에 4월부터 9월까지 백두대간 구룡령(명계리)과 고직령(서벽리)의 나비군집을 모니터링 하고, 두 지역의 나비를 과거기록과 비교하여 분포지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명계리 65종 1098개체, 서벽리 63종 1161개체가 조사되었다. 두 지역의 비교에서 명계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5종, 서벽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3종으로 나타났다. 종 순위별 개체수에서는 명계리는 큰줄흰나비 127 (11.6%), 줄흰나비 100 (9.1%), 산제비나비 90 (8.2%), 서벽리는 뿔나비 146 (12.6%), 줄흰나비 134 (11.5%), 네발나비 69 (5.9%)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개체 이하를 보인 종은 명계리 24종, 서벽리 23종으로 나타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두 지역의 유사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적색목록의 나비가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출현종을 과거 분포자료와 비교한 결과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이에 백두대간의 나비는 아직까지 잘 보전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거시적으로 백두대간의 서식지 경관이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