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brary service system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31초

Designing a Mobile Based Library Informa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A Model Plan for Libraries of Bangladesh

  • Elahi, Md. Hasinul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3호
    • /
    • pp.57-7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 of a mobile based library informa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in developing countries, identify the services that are possible to provide with the help of mobile phones and their applications, design a mobile based library informa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and identify major challenges regarding mobile based library informa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s.Design/ Methodology/ Approach The research is exploratory in nature. This paper is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survey information, and on the author’s own viewpoints. A comprehensive search of scientific literature has been done along with a survey for validating the necessity of designing mobile based library informa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s. Responses to closed-ended questions in particular on 7-point Likert scales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analysis techniques of SPSS 20.0 and responses to other closed-ended questions were analyzed using general statistics.Findings The research indicates that users of academic libraries, especially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have a positive notion regarding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mobile based library informa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 It also reveals user opinions regarding the possibl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based library informa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Originality The paper explores mobile based library information and service delivery systems for better and faster service provision to its potential users.

U-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Library Service)

  • 조찬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1-104
    • /
    • 2013
  • U-도서관 서비스는 기존에 방문을 통해서만 가능했던 도서 대출 반납서비스를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도서를 검색해 예약신청하고, 가까운 지하철역 등에 설치된 무인대출기를 통해 수령 및 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서비스이다. 그러나 U-도서관 서비스는 양적이나 질적으로 아직도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활성화에 일조하기 위하여 무인대출서비스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무인대출서비스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무인대출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무인대출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재 무인대출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을 조사하여 무인대출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무인대출서비스를 시행하는 도서관의 운영과정과 문제점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무인대출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Drive-thru Library Service in Korea

  • Lim, Seong-Kwa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2호
    • /
    • pp.33-4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se of 'drive-thru' services newly introduced and tried in libraries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and to develop and propose a service model so that this service can be continuously applied to all libraries in the future. Therefore, the method of study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selecting one of the representative libraries that provide related services in Seoul Special City,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Anyang City of Gyeonggi Province.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elve people in charge to find a way to apply the drive-thru service to the library. As a result, the library's drive-thru service is a way to fulfill the library's original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materials while minimizing faceto-face contact with user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a suitable method for a library of complex buildings, where there is a lack of parking space. In addition, it was deduced that it may be one of the ways to use the library efficiently for office workers who are unable to use library services during the opening hours. Therefore, if the drive-thru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developed model,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library visit rate and data utilization rate.

도서관의 이용패턴과 서비스품질이 정보화성과지각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e Patterns and Service Quality on Performance and Use Satisfaction on Library Information System)

  • 정형식;염승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17-244
    • /
    • 2008
  • 전자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도서관 서비스제공은 정보화시스템에 대한 의존 비중이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본 연구는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화에 대한 성과지각과 정보화를 통한 이용 만족은 전반적 만족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것으로 추론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는 대체로 도서관의 서비스제공측면에서 이용자의 인식이나 만족을 조사하였으나 본 연구는 시각을 달리하여 이용자측면에서 단순 열람목적의 일반적 이용과, 전문정보구득 목적의 전문적 이용패턴이 정보화 성과지각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서비스품질차원이 정보화성과지각과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품질차원이 정보화성과지각과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도서관 이용자의 열람 등 일반적 목적 이용이 정보화성과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나 유의한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둘째, 도서관 이용자의 특정 정보구득 등 전문적 목적의 이용이 정보화성과지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반적 서비스품질인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 물리적환경품질 차원은 정보화성과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정보화이용만족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도서관 이용자의 정보화성과지각과 정보화이용만족이 전반적인 만족을 선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도서관의 정보화시스템을 어떻게 이용자중심으로 체계화하여 발전시킬 것인지에 대해 심층적인 고찰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통일독일의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체계 정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the Library of Unified Germany and Its Information Service System)

  • 김순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235-256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concerns and activities related to the library of Germany as well as to look over recent trends referred to the maintenance of the library and its information service system since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1990. In fact, since the unification, many libraries in old East Germany have been closed with some precious books being lost. Also since most of libraries are short of funds and proper materials, it is real situation that they can not actively respond to the demand of information by library users who want to adapt themselves to changes, while only urgently requesting some support from old West Germany. In the meantime, the new government and libraries of Germany are giving a great effort to building an efficient document delivery system through financial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books and the purchase of urgently necessary library equipments in the poor libraries of old East Germany and support for the course to re-educate the in-service or unemployeed librarians, and also systematic organization between similar libraries, integration of national bibliographies, and maintenance of the interlibrary loan system. The nationwide interlibrary loan system, an expanded form of the system of old West Germany, allows the delivery of document to be easily performed, centered on both central cataloues for East Germany and West. However, in order to build an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 system which covers whole Germany, it seems there needs more time required.

  • PDF

미국 대학도서관의 수업지원 시스템과 연계한 맞춤형 정보검색 서비스에 대한 고찰 - 머레이 주립 대학(MSU)의 사례를 중심으로 - (Introducing an Integrated Library Information Service with Learning Management System: Library on Blackboard from Murray State University Libraries)

  • 김동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9-50
    • /
    • 2010
  • 본 연구는 미국 켄터키 주에 소재한 머레이 주립대(Murray State University)가 제공하고 있는 주제별 맞춤형 정보제공(Library on Blackboard) 시스템의 기능들을 중심으로 현존하는 대학도서관 서비스가 온라인상에서 어떠한 정보기술을 통해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미국 대학교육에서 온라인 강의와 원거리 교육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는 새로운 대학 환경변화의 중요한 도구이다. 대학도서관의 정보제공 기능도 대학교육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발전해 왔고, 이에 따라 이용자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LMS와 연계한 맞춤형 정보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LMS와 연계한 도서관 서비스는 학생들의 연구형 과제해결을 위한 정보수집에 적합한 검색시스템과 유용한 정보들을 한곳에 모은 가상 분관의 기능을 제공하기에 더욱 사용되고 발전해야 한다. 이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Contents Management Systems의 사용과 과목별 접근방식으로 변환이 중요하다.

전자도서관의 개념 및 구축 사례 - 아주대학교 학술정보센터 운영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Library : A Case of Ajou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 박철균
    • 정보관리연구
    • /
    • 제30권4호
    • /
    • pp.1-26
    • /
    • 1999
  • 본고에서는 도서관의 변천과 전자도서관의 출현, 개념 정의 등을 통하여 전자도서관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전자도서관을 구현한 실질적인 사례로서 현재 아주대학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학술정보 종합서비스 시스템의 개발 개념과 서비스 내용에 대하여 이용자중심의 서비스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건립.운영에 대한 컨설팅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Plan of Consulting System fo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Public Library)

  • 정현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5-275
    • /
    • 2008
  • 최근 어린이도서관, 작은 도서관 기적의 도서관 등 소규모 도서관이 증가하면서, 도서관건립운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는 도서관컨설팅시스템의 구축이 요망되고 있다.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잠재적 수요는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사회적 경험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도서관컨설팅서비스가 공공기관에 의해 공공서비스로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 모델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towards Knowledge Service)

  • 이현실;배창섭;이은주;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7
    • /
    • 2009
  •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과제와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Prospects of Ubiquitous Library Through Ubiquitous Computing)

  • 노동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9-240
    • /
    • 2004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도서관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함께 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서비스 실태와 과제, 발전 전망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문헌연구와 주요 도서관의 홈페이지 내용 분석, 전문사서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비쿼터스 도서관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소장 자료의 검색, 대출 및 반납, 참고질의, 공지사항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모바일 도서관은 구현 기술의 표준화, 서비스의 단순성, 컨텐츠와 인터페이스의 문제가 제기된다. 셋째, RFID 도서관은 도서관리 프로그램과의 연계성, 시스템의 호환성 및 표준화, 시스템 도입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 방식의 변화, 정보 보안과 개인 프라이버시, 시스템 장비의 가격 등이 문제가 된다. 넷째, 유비쿼터스 도서관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통합 및 표준화와 함께 정보기술 인프라와 프로세스의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정보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환경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개발과 함께 개인별 맞춤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