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s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6초

Status of Medical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s in Teaching Hospitals in Enugu State, Nigeria: implications for quality health care services

  • Okeke, Oluchi C.;Eze, Samuel Godwin N;Eze, Jacintha U.;Asogwa, George 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21-40
    • /
    • 2017
  • Considering the need for quality health information and resultant health care services in any socie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the status of library and information resources and services provided by medical libraries in Enugu State, Nigeria.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ormation resources and services available for medical library users towards quality health care provision. Five (5) medical libraries of major teaching hospitals were used for the study with 980 registered users as the study population from where 245 users were sampled. Observation checklist was used to collect data on resources whil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respondents on the services provided.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Standard guided the analysis of data from observation while frequency counts and mean scores were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Major findings showed that even though some of the required resources and services are available and provided the medical libraries, most of the required resources and services are not adequately provided by these libraries.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omestic School Library Standard)

  • 목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34
    • /
    • 2011
  •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학교도서관 기준을 분석하여 기준별 특이성과 차이성을 조사하였다. 현행 적용되는 기준으로 7가지 학교도서관 기준이 조사되었으며, 분석결과, 예산편성, 교육서비스, 자료, 인력 등 4가지 주요 문제점이 진단되었다. 기존 학교도서관 기준을 검토하여 학교 도서관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학교도서관 기준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현황 분석 (A Study on the Present Stage of Children's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김종성;오동근;여지숙;박상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5-202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현재 수준을 조망해 보기 위하여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전국 공공도서관 중 171개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서관의 소재 지역과 예산 규모에 따라 영역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어린이 서비스를 시설 및 공간, 자료, 인력, 이용자봉사, 운영 일반 및 강좌 5개 영역으로 나누어 다양한 측면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 서비스의 수준과 내용에서 도서관 소재 지역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편차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전체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 어린이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투여되는 자원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놓여 있다는 사실이다.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제공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금준규;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35-368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외 1인 가구 대상 공공서비스 및 도서관서비스 운영 현황과 도서관 이용자 및 전문가 대상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방향 및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 제시된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방향은 1인 가구의 삶과 밀착된 정보자원을 확보하여 제공하고, 서비스를 담당할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자치구 도서관과 함께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자료 중심 도서관에서 벗어나 1인 가구를 포함한 이용자 중심의 시설 인프라를 조성하고, 1인 가구의 특성과 분포에 따른 권역별 특화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인 가구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으로는 취약한 1인 가구를 위한 사회적 활동지원, 사회적 유대, 돌봄, 봉사활동, 여가 및 문화활동 분야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보고, 청년, 중장년, 여성 1인 가구 대상의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Availability and Utilization of Library Portal Services for Research in University Libraries in Nigeria

  • Ejikeme, Anthonia Nwamaka;F., Obayi Uche.;Ukamaka, Eze Jacinth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49-64
    • /
    • 2021
  • This research paper delved into the availability and utilization of library portal services for research in university libraries in Nigeria. Two research questions and two null hypotheses were formulated to guide the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Nnamdi Azikiwe Library, University of Nigeria Nsukka (UNN) and Felix Aghagbo Nwako Library, Nnamdi Azikiwe University Library (UNIZIK), Awka. A total of 70 professionals (librarians and system analysts) in these libraries supplied data for the study.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se were us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hile the null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test statistic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and 68 degree of freedom. Major findings showed that portal services available in the library showed that the areas of availability of library portal services in Nnamdi Azikiwe Library, U.N.N. includes Agriculture, Health Sciences, Engineering, Environmental Sciences and information about institution, Social Sciences, Arts and Humanities, Natural Sciences. In Festus Aghagbo Nwako Library, Awka, the areas of Portal Library Services include Career Development, Federal Government Programs, Environmental Sciences, Biological Sciences, Social Sciences, Arts and Humanities, Engineering, and Health Sciences. Findings on extent of utilization of portal services available in the libraries indicated that portal services are utilized to a low extent in the university libraries. Furthermore, libraria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ir opinions on the availability of library portal services and on the extent of utilization of library portal services in the libraries under study.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provisions should be made by the universities and library management to provide and update required portal services in addition to creating enabling environment for enhanced access and utilization of these services. The governments must make an effort to provide funds for policy implementation, necessary technology training for librarians and users, and develop gener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대학도서관 경영환경의 변화가 정보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hanges in University Library Management Environment on Information Services)

  • 곽병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7-29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대학 도서관 경영환경의 변화가 정보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적 연구를 바탕으로 인적자원, 정보자원, 시설, 예산, 정보기술의 제 영역에서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증적인 검증을 위하여 대학 도서관에 근무하고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도서관이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첫째, 인적자원 요인, 둘째, 정보기술 요인, 셋째, 시설 요인 순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애인에 대한 공공 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olicies of the Public Librar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전재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57-173
    • /
    • 2002
  •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접근의 평등권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특히 정보소외계층인 장애인의 삶의 질과 문화적 향수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도서관도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서 예외일 수는 없으며, 장애인에 대한 도서관의 서비스는 그 지역사회의 공공 서비스에서 핵심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의 표준화 정책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참고하여야할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Commons as Model of Library Integrated Service)

  • 정미경;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7-363
    • /
    • 2007
  • 디지털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용자의 서비스요구는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도입 확산되고 있는 Information Commons의 정의, 개념, 유형 등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Information Commons는 단순한 도서관 시설이나 공간이 아니라 디지털 정보환경에서 비롯된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이행하기 위한 협력적 서비스의 제공, 인적자원의 제휴, 물리적인 공간 및 시설의 재정의가 수반된 통합적 서비스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Information Commons의 성공적인 도입 및 구축을 위해서는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 유기적이거나 연속적인 서비스의 제공,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의 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원거리 이용자들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te Library Users : Needs of Library Services and Preferences)

  • 김미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1-76
    • /
    • 2000
  • 가상 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정보 이용 형태와 선호도를 검토해 본 결과, 원거리 이용자들은 접근성과 이용의 편이성으로 인해 원문을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을 선호하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의 정보로는 만족하기 어려워,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도서와 논문을 주 정보원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상교육을 받는 원거리 이용자들의 86.7퍼센트가 전자도서관 서비스는 가상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고려대상이며 교수가 도서관 이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여 가상교육 프로그램과 전자도서관 정보서비스 체계의 파트너쉽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가상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웹 페이지의 디자인보다는 정보의 근거와 정확성 그리고 내용의 적합성을 우선적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은 많은 양질의 디지털화 된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컴퓨터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교육과 정보의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 많은 연구들이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 PDF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Resources and Services for Academic Activities by the Academics of Tertiary Institutions in Adamawa State, Nigeria

  • Suleiman, Idris;Joshua, Daud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7-3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resources and services for academic activities by the academic staff of tertiary institutions in Adamawa State. The researchers adopt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to collect data from the respondents. Multi-stage sampling techniques were used. Three hundred and thirty-three (33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the respondents in the eight (8) sampled institutions and two hundred and ninety-two (292) respondents representing (87.6%) were returned and found useful.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by the use of SPSS version 20.0. The findings revealed that respondents were aware of all the Internet resources, (e-books, e-journals, and online databases), but regarding the Internet services, they were mostly aware of only the e-mail. The study further found that online database and e-mail as the most Internet resources and services utilized by the respondents. There are inverse and weak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resources and services by the academic staff of tertiary institutions in Adamawa State. The study recommends increase awareness and use to other Internet resources such as the e-books and e-journal and Internet services, especially Usenet, Discussion group and Telnet by the management of the institutions through training, workshops/conferences for better academic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