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Websit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3초

과학기술분야 전문정보센터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방안 (A Study on the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of Specialized Information Center in Scientific & Technological Fields)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9-7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지정하여 지원하고 있는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 전문정보센터를 대상으로 정보서비스 체계 전반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cdot$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최신의 정보기술을 반영$\cdot$적용한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 전문정보센터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 설문조사, 해당기관 직접방문을 통한 관련자 면담, 해당기관 홈페이지의 관련 사이트 분석, 그리고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상시협의체의 회의를 통한 Brainstorming 방범 등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장소애착이 장소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Users' Place Attachment on the Value of Public Libraries)

  • 이정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09-234
    • /
    • 2011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 간의 영향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해보고, 이용빈도, 거주기간, 이용목적, 웹사이트 이용경험이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계층적 회귀분석결과, 이용빈도와 거주기간이 '장소의존성'과 상호작용하여 '체험가치인식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에 대한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용목적별로 집단을 구분하고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와의 관계를 집단별로 분석하였다. 도서관 웹사이트 이용경험은 장소애착도와 장소가치인식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장소애착도라는 이용자의 감정적인 지표가 장소로서의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서 활용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도서관의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의 플랫폼에 따른 사용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bility by the Platfrom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Service in Library)

  • 민영태 ;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3-203
    • /
    • 2023
  • 본 연구는 도서관의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의 특징을 분석하고 도서관에 적용된 챗봇 서비스의 플랫폼에 따른 사용성을 비교한 연구로 도서관의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의 사용성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사용성 비교 요소를 추출하였고,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도서관에 적용된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를 플랫폼에 따라 자체 웹사이트 기반과 SNS 기반의 챗봇 서비스로 구분하였다. 실험과 질문지 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여 도서관에 적용된 웹사이트 기반과 SNS 기반의 챗봇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의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에 대한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Library Websites to Students with Visual and Physical Disabilities in Public Universities in Kenya

  • Kiruki, Beatrice Wamaitha;Mutula, Stephen Mudogo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55-75
    • /
    • 2021
  • This article examines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library websites to students with visual and physical disabilities in public universities in Kenya. The study used survey research design and adopted a mixed methods approach. Data were gathered using survey questionnaire, focus group discussions, structured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six public universities that had a longstanding tradition of enroll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Census was used to obtain a study sample comprising of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86),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91), University Librarians (6), Personnel from Disability Mainstreaming departments (6), Systems Librarians (6) and Library Personnel who provided information servic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133).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and IFLA Access to Librar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hecklist were used as conceptual and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study. Study results revealed that all the libraries had library websites. However, the websites did not have disability services page or information specific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lso a se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cked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library websites and e-resources available through them. Additionally, the website design posed various access challenges. The study conclude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excluded from access and use of library websites in public universities. The authors recommended that library websites must contain disability services page containing information specific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Moreover, libraries should evaluate their websites to ensure compliance with W3C requirements for web content accessibility. Additionally, libraries should develop disability policy to provide guidance on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 이용자 만족도 분석: D 어린이도서관 사례중심으로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n a Case of D Children's Library Website)

  • 배영미;김희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3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용자 만족도, 충성도, 불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만족도 분석 방법은 김희섭과 박용재의 모형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이용자 만족도는 크게 콘텐츠품질, 서비스품질, 그리고 시스템품질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었다. 자료 수집은 D 어린이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 중 유효자료 130부를 SPSS 18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충성도는 높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불평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용자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요인들로는 (1) 콘텐츠 차원에서는 유용성, 정확성, 이해용이성, 신뢰성, 최신성, (2) 서비스 차원에서는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공감성, 그리고 (3) 시스템 차원에서는 응답시간, 상호작용, 접근용이성, 사용용이성 등으로 나타났다.

대학 웹사이트의 정보구조 및 레이블링 시스템 분석 (The Analysis of Informational Structure and Labeling System of Academic School Websites)

  • 이승민;남태우;김성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9-5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접근 도구로서의 대학 웹사이트 설계를 위한 정보구조 및 카테고리 레이블을 마련하기 위해 현재 미국 문헌정보학과 웹사이트 17개를 메인메뉴구조, 하부 카테고리, 레이블링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메인메뉴구조는 현재 17개 조사대상 웹사이트에서 모두 공통으로 제공하고 있는 9개 카테고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그 다음 수준의 서브 카테고리는 9개의 카테고리의 내용의 의미를 고려해서 35개 카테고리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카테고리 테이블로 사용되는 용어는 17개 웹사이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전후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C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age Behavior of Universities Library Website Before and After COVID-19: Focusing on the Library of C University)

  • 이선우;장우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41-174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COVID-19 발병 전후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실제 이용 데이터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바이러스 발병 이전과 이후의 데이터를 대조하여,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도서관이 보다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C대학교 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진 이용자 트래픽을 '구글애널리틱스를 활용하여', COVID-19 바이러스가 발병하기 이전인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와 바이러스 발병 이후인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웹 트래픽 변수는 세션, 사용자, 페이지뷰 수, 세션당 페이지 수, 평균 세션 시간, 이탈률을 측정지표를 기준으로 '이용자 정보', '경로', '사이트 행동' 3가지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COVID-19 발병 이전 1월 1일부터 1월 20일까지의 데이터와 대조했을 때, 2018년 이후 사용자, 신규방문자, 세션 모두 3년 동안 감소하였지만, 2020년은 2019년 대비 사용자, 신규 방문자, 세션 모두 증가하였으며, 2020년 바이러스 발병 이전 상승세를 보였던 사용자당 세션 수, 페이지뷰 수, 세션당 페이지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로 격상함에 따라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이용 추이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재학생이 가장 적었던 2020년, 2018년 대비 2020년에 페이지뷰가 10만 뷰 더 증가했으며, 세션당 페이지 수 역시 2018년 대비 약 2페이지를 더 조회한 10.46을 기록했다. 이탈률 역시 2018년, 2019년 14.38을 기록한데 반해, 2020년 1% 포인트 가량 감소한 13.05를 기록하여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격상한 시점에, 더욱 활발한 홈페이지 이용이 이루어졌다.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공유: 성별과 나이의 영향을 중심으로 (Health Information Sharing on the Web: The Influences of Age and Gender)

  • 김지현;이정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61-77
    • /
    • 2012
  • 이 연구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건강정보 웹사이트에서 정보공유내용과 인구통계학적인 특징이 건강정보 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강정보 웹사이트 토론방에 있는 메시지 중에서 1,042개를 임의로 선택하여 내용분석한 결과, 건강정보 웹사이트 회원들은 서로간 감정적인 공감과 정보제공, 그리고 관계형성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 웹사이트 회원 중 2/3는 루게릭병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과 감정을 나누었고, 루게릭병을 가진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노력한 회원은 1/4 정도였다. 절반 정도의 회원들은 적극적으로 다른 회원의 질문에 답하였다. 이 연구는 전체적으로 분석했을때 나이와 성별에 의한 정보공유의 효과는 없었지만, 50대 남성의 경우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나 자신의 삶에 대한 관리에 다른 연령대 그룹보다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광역대표도서관 법정업무의 웹서비스 분석 (An Analysis of Web Services in the Legal Works of the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 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77-198
    • /
    • 2024
  • 2006년 12월에 전부 개정된 「도서관법」 제22조 제1항은 지역대표도서관을 법정기구로 규정하였고, 2021년 말에 재개정된 「도서관법」 제25조 제1항은 그 명칭을 광역대표도서관으로 개칭하고 수행해야 할 업무도 확장하였다. 시·도가 광역대표도서관을 지정 또는 설립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동법 제23조에 규정된 공중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평생학습 등 공공도서관으로서의 역할에 더하여 제26조에 규정된 광역대표도서관의 법정업무를 주관하고 시·도 내 모든 공공도서관을 위한 정책도서관, 종합지식정보센터, 지원·협력 구심체, 조사연구, 공동보존서고 운영 등을 수행하여 도서관 및 지식문화 발전을 견인하는데 있다. 그렇다면 지난 15년간(2009-2023) 광역대표도서관은 법정 업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여 왔는가, 특히 디지털·모바일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법정업무의 계획 및 추진실적을 웹사이트에서 제대로 제공하고 있는지를 분석·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역대표도서관의 현행 법정 업무를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수행실적을 조사·분석한 후 웹사이트를 통해 어느 정도로 제공하는지를 평가하여 웹서비스 강화를 위한 보완책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광역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하는 법정업무에 대한 웹서비스는 상당히 부족하고 부실한 것으로 분석되어 홈페이지에서 법정업무를 위한 웹사이트 구축, 독립된 웹사이트 제공을 통한 접근 편의성 및 가시성 제고, 다양한 정책정보 및 웹서비스(포털검색, 상호대차와 원문제공, 공동DB 구축, 자료이관 및 보존 등) 방안, 지식정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보장 등을 보완책으로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자원요소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Library Resources for Evaluating Efficiency of Academic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88
    • /
    • 2010
  • 디지털시대의 도래로 도서관의 자원요소의 구성 및 각 자원요소의 중요도 비중이 매우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과거의 전통적인 요소만으로 대학도서관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있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도서관 시대에 적합한 도서관효율성 평가를 위한 자원요소를 재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 투입요소로 예산, 직원, 면적, 단행 본 수, 연속간행물 수, 전자저널 수, 비도서 수, 웹DB 종수, 전자책 수, 컴퓨터 수, 원문DB구축건수 등이 선정되었고, 산출요소로 대출책 수, 이용자 수, 홈페이지 접속건수, 웹 DB 이용건 수 등이 선정되었다. 재발견된 자원요소 중 전자자원 요소가 상당히 발견된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