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Service

검색결과 2,001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the User Demand Forecasting and Improvement Plan of Gimpo City Library Service

  • Noh, Younghee;Chang, Inho;Kang, Ji Hei;Chang, Ros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7-27
    • /
    • 2020
  • With accommodation of a population of many young people and families due to Hangang River New Town Housing Project and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spheres, a need is increas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libraries service for Gimpo citizens and to establish more libraries.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book lending data of Gimpo City libraries, and the city's libraries-related social media big data in an effort to forecast the users, and thus to propose four library service improvement measures. First, in terms of book gathering and book development policy plans, a proposal was made to expand good books for children and youth, and to expand general original-language books related to learning of English, and English books for children. Second,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additional libraries or specialization strategy, a proposal was made to establish exclusive children's libraries or English libraries, and to establish library specialization strategy with a focus on children and English themes. Third, in terms of library culture programs, a proposal was made to provide library culture programs in relation to children education and to expand weekend library culture programs. Fourth, in terms of library facilities,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parking facilities, a proposal was made to establish libraries near apartment complexes.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rvice Image of Public Library: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65-280
    • /
    • 2014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대전광역시 지역대표도서관 이용자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에 대해 신뢰성과 공공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나 서비스충족은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서비스 품질의 이미지로 나타내면 큰 차이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절차품질이 높고, 인적품질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 중 긍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신뢰성의 '유용한 정보제공', 공공성의 '신분에 상관없는 처리', 유형성의 '편리한 시설'이었으며, 부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접근가능성의 '좋은 교통여건', 응답성의 '신속한 최신정보제공', 유형성의 '쾌적한 시설'이었다. 넷째,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10대에서 60대 이상에 이르기까지 연령이 높아질수록 평균이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ational Digital Library)

  • 노동조;곽승진;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95-308
    • /
    • 2008
  • 국립디지털도서관(NDL)이 국가대표 디지털도서관으로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최신의 정보환경인 IT 및 유비쿼터스 환경을 고려한 정보서비스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술한 필요성에 의거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이용자 및 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NDL의 정보서비스 정책을 수립하였다. 또한, 수립된 정보서비스 정책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중간 평가와 외부 전문가 및 자문단을 통한 1, 2차 검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NDL 정보서비스 정책의 비전, 사명 목적, 목표,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NDL의 정보서비스 정책은 초유의 연구사례로서 향후, 정보서비스 정책을 수립하고 세부지침을 마련하고자 하는 다른 디지털도서관에게도 경험적 사실과 근거를 제시하여 줄 것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An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 University Librar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윤기찬;이순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7-365
    • /
    • 2009
  • 본 연구는 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을 통한 이용자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의 향상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LibQUAL+에서 사용된 척도를 대상으로 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해 측정해 보고,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 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조방정식(SEM)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보통제, 도서관 장소, 서비스 영향력 순으로 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도서관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보통제, 도서관 장소, 서비스 영향력 순으로 우선순위를 두어 서비스 품질을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 PDF

수용자에 대한 법률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al Information Services for Prisoners)

  • 홍명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99-528
    • /
    • 2007
  • 본고는 교도소에 수감된 수용자의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교도소도서관의 설치와 수용자에 대한 법률정보봉사를 제시하고,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미국의 제도를 살펴보았다. 법률정보봉사가 정착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 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하여 시대 구분하여 분석하고, 법률정보봉사를 하기 위한 기본 여건으로서 법률장서, 인적요소, 공간과 시설 및 이용시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도서관봉사요금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n the library reference service fees)

  • 손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35-59
    • /
    • 1985
  • User fees have been employed by libraries as far back as the mid-1800s in both United States and England. By the late 1800s and early : 1900s, the charging of user fees for some library products and services had become a reality in many public and academic libraries. Yet the practice has created controversy when computer-aided reference service began to charge especially in the publicly funded libraries. There are two extream arguments on library reference service fees : one is for and the other is against. most fee o n.0, pponents base their stand on morality. They argue that charging fees for any service is wrong because it violates the user's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and regard it as an act of decrease human life chances as well as an act of censor. But those who favour fees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rhetoric from the reality and to distinguish what libraries are from what they do. The study revealed that library has two options. One is strict free of charge and the other is charging for selected library services. Whatever options the library may take, library had to decide an overall reference service policy. The level and scope of service, audience, necessary fund (who and how) and many other physical and metaphysical things must be considered. However, the first option will necessary be to limit services while there is no loss of traditional philosophical service element. Yet, if to provide a wide range of choices and to create conditions more hospitable to competition from the private information sector and for better evolutional selection, the second option(fee-based service) gives more benefit to the users while there is a loss of fundamental service philosophy.

  • PDF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의 도서관 면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Exemption of Document Delivery Service by Interlibrary Loan)

  • 홍재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1-45
    • /
    • 2005
  • 도서관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는 정보를 공동 이용하여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진보된 형태의 서비스이다. 현재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의 면책 적용에 관해서는 해석이 분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Fax 및 Ariel 시스템을 이용한 원문복사의 저작권 문제에 관한 법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에 관한 국제적인 면책 적용의 동향을 검토하였다. 우리 현행저작권법에 입각한 원문복사서비스의 면책 적용에 대한 해석들을 분석하였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원문복사서비스와 관련한 현행 저작권법상의 도서관 면책 규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법적 개정방안과 그 조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법적 개정 방안은 2005년 또는 향후 도서관 면책 규정의 개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 Special Library of Local Autonomous Entity Research Institution)

  • 이세라;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3-94
    • /
    • 2019
  • 이 연구는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하여 실제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을 파악하고 전문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연구원 소속 6개의 전문도서관 이용자 111명을 대상으로 LibQUAL+을 기반으로 수정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력품질이 공간품질과 정보품질 보다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서비스 품질 하위변수 중에서는 인력품질의 서비스 태도, 공간품질의 공간 편의성, 정보품질의 정보 유용성이 이용자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결과로 자료부족, 디지털 자료의 비활성화, 도서관 공간개념의 환경, 타 기관과의 자료공유 비활성화, 인력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연구원 소속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어린이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를 위한 평가지표의 개발과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the Evaluation Measures for Public Library Service to Children)

  • 오동근;김종성;최성열;여지숙;박상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65-385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 전반에 대한 평가지표를 제시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어린이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는 서비스품질영역 (담당인력, 자료 및 정보자원, 면적 기타 서비스)과 고객만족도를 각각 50%씩 반영하도록 설계되었으며, 4개 영역별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서비스품질영역의 평가지표에 따른 23개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 및 척도의 개발은 본 연구팀이 이 사업과 일련의 연구과정으로 수행한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기준 개발 연구'에 참여한 자문위원들과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참조하고, 학계와 어린이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담당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보완하였으며, 18개 샘플도서관에 이를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Library Mobile Service)

  • 한승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3-292
    • /
    • 2017
  • 이 논문은 서비스 품질 관점에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과 모바일 서비스 평가 연구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품질 평가에 필요한 4개 품질 차원, 10개 품질 요인, 39개 품질 측정 항목으로 구성된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개 품질 차원, 9개 품질 요인, 37개 품질 측정 항목으로 구성된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평가 모형은 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품질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