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OPAC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1초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Searching Behavior of OPAC Users in Children's Libraries)

  • 사공복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43-171
    • /
    • 2012
  •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게 친근하게 설계되어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을 이용하는데 어떤 어려움을 갖고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통하여 검색도구로서의 온라인목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어린이 2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탐색자가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을 실제로 탐색하는 과정 중에 보이는 행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입수하였고, 탐색 후 질문지를 통하여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인명 전거제어의 현황 및 발전 방향 (Personal Name Authority Control in Korean Public Libraries)

  • 심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1-24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목록에서 개인저자명에 대한 전거제어의 적용 여부 혹은 적용 범위가 검색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전거제어를 활용한 검색 재현을 향상 방안을 제시한 후 궁극적으로 국내 공공도서관 전거제어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목록, KOLISNET, 및 열 개의 무작위로 선정한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목록에서 같은 외국이름의 다른 우리말표기 형태와 성명 도치 형태 및 같은 국내인물의 다른 이름의 사레를 검색한 결과로 부분적이며 불완전한 전거제어를 수행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을 제외한 다른 공공도서관들의 전거제어 미적용 현황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서지레코드의 불완전성, 부정화성 및 일관성 결여, 검색방법의 문제점 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명 검색 시 찾기와 모으기 기능의 향상을 위해 적절한 수준과 범위의 전거제어의 적용 필요성, 공유 전거파일의 구측 필요성. 국립중앙도서관의 전거데이터베이스 활용 가능성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검색시스템의 보완을 위해 LC 목록이나 AMICUS와 같이 검색 질의 시 서지레코드 건수를 포함한 이름표목 리스트를 거쳐 서지리스트로 갈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이에 관련된 개인명의 식별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오펙, 아카데믹 라이브러리 그리고 자네트 (OPACs, Academic Libraries and JANET)

  • Kwon, Chang-Woo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4년도 제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5
    • /
    • 1994
  • 1980년대 이래로 온라인목록은 꾸준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특히 UK(United Kindim)에서 JANET(the Joint Academic Network)의 출현은 도서관자동화, 온라인목록, 도서관 상호대차와 같은 다양한 부문에서 대학도서관의 혁신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가 JANET를 경유하여 UK 대학도서관들의 온라인목록을 어떻게 접촉하고 이용하는가를 고찰하였다.

  • PDF

디지털 정보시대의 전거통제 (II): 국내 목록 데이터 베이스의 일본 학술지명과 단체명 연구 (Authority Control in the Digital Age: A Study of japanese Journal Titles and Corporate Names in the OPACs in Korea)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61-175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주요한 목록 데이터베이스들에서 일본 학술지명 및 발행 기관ㆍ단체명의 다양한 표기와 접근 방법을 살펴보고 전거통제를 통한 표목의 표준화와 이용자 지원이 수행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회전자도서관 연세대학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연속간행물 목록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정보학과 과학 기술분야의 학술지명 및 관련 단체명의 표목의 형태, 다양한 독음과 표기방식을 갖는 비표준형과의 링크를 검토하였고 일본의 국립정보학연구소의 '학술지종합목록'과 비교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국내 목록에서 (1) 편목규칙 적용의 일관성 결여, (2) 단체명 표목처리를 위한 적절한 전거통제의 결여, 및 (3) 학술지명 및 단체명들과 다양한 이름 형태들 사이의 참조나 링크의 결여를 포함하였다. 이 연구는 소규모로 수행되었으나, 학술지 목록의 정확성 및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편목 실무의 전면적인 개선 및 표준형 표목과 다양한 형태들의 링크를 지원하기 위하여 전거통제의 적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난다.

  • PDF

전자도서관 모형 및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Electronic Library Model and the State-of-the-Art of Electroniz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 박재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3호
    • /
    • pp.1-31
    • /
    • 1995
  • 지식과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매체의 발달과 기술의 진보는 도서관의 기능을 다각적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즉 도서관은 전통적 도서관에서 발전하여 이용자가 도서관을 방문할 필요 없이 컴퓨터를 매개로 하여 자관의 전자정보는 물론 원거리의 도서관에 직접 접근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게 되는 전자도서관으로 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자도서관 서비스를 지향하는 관점에서 어느 정도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정보를 구성, 활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외국에서의 전자도서관 구축현황을 살펴 본 후 OPAC, 온라인 상용 데이터베이스, CD-ROM 데이터베이스, 전자문헌구축, 타 도서관 OPAC에의 접근, 기타 인터넷 정보자원을 그 구성요인으로 하여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실제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 PDF

Z39.50 확장서비스를 이용한 도서관 상호대차 요청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ILL Request System Using Z39.50 Extended Services)

  • 정영미;오정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26
    • /
    • 1998
  • 이 연구에서는 타 도서관의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한 후 바로 원하는 자료를 요청할 수 있는 이용자 주도형 상호대차 모형을 제시하고, Z39.50 자료주문 확장서비스를 이용하는 상호대차 요청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모형에서 이용자의 상호대차 요청은 Z39.50 확장서비스 요청 PDU를 통해 소속도서관으로 전달되며, 소속도서관과 자료의 소장도서관 사이의 상호대차 트랜잭션은 IL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처리된다. 자료주문 확장서비스 요청 PDU의 파라미터로 ILL-REQUEST PDU를 포함시킴으로써 Z39.50 확장서비스와 IL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단계의 요청과정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 PDF

A Study Analyzing Reference Linking Service in Digital Libraries

  • Noh, Younghee;Ladd, Patricia R.;Na, Kyoung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69-88
    • /
    • 2015
  • This study seeks to present an option for inclu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resources in a reference linking service system. Discussion on reference linking service in journals began in 1999 and applied to real systems, but linking to research papers and patent registers has more recently emerged. This study further suggests that system construction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such as books and dissertations. This paper also presents principles and prerequisites that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when building such systems, including expansion of resources and media formats, development of identifiers on every sort of information resource, linking methods to existing DB, publication revolution and managing copyright-holders, use and improvement of OPACs, and building perfect authority DB.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53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기능성 및 그에 관련된 검색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청주기적의도서관, 노원어린이도서관의 OPAC과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공도서관과 핀란드의 HelMet어린이용 OPAC을 대상으로 간략 및 상세검색 화면의 구조. 간략 디스플레이 서지레코드의 간략 및 완전 디스플레이, 다수 검색 결과와 검색 실패 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특성은 IFLA의 'OPAC 디스플레이 지침(초안)'에서 제시된 38개 권장사항 및 Nielsen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을 참조하여 검토하였다. 청주기적의도서관과 노원어린이도서관 OPAC 디스플레이가 어린이들의 요구와 행태를 특별히 반영하지 않은 한편. LAPL은 매우 단순하고 시각적인 특성을 지닌 어린이용 OPAC을 제공했으며, HelMet 어린이용 OPAC도 상당히 단순하고 어린이용으로 조정된 특성을 보여주었다.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정보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rc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사공복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53-381
    • /
    • 2007
  • 우리나라 초등학교 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게 친근하게 설계되어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을 이용하는 데 어떤 어려움을 갖고 있는가.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통하여 온라인목록의 검색도구로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초등학생 35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탐색자가 온라인목록을 실제로 탐색하는 과정중에 보이는 행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입수하였고, 탐색 후 질문지를 통하여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 PDF

FRBR 기반의 OPAC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OPAC Prototype based on FRBR Model)

  • 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21-24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이용자의 요구와 행태에 기반 한 FRBR 기반 OPAC 프로토타입을 실험적으로 구현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시스템 개발방법 중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민감하게 반영되어야 할 경우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인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1) 국외 FRBR형 검색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 평가결과를 토대로 하여 프로토타입의 논리적 구조를 설계하고, (2) 설계한 논리적 구조에 따라 FRBR 기반 프로토타입을 물리적으로 개발한 다음, (3) 프로토타입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때, 만족도 평가는 대학생 50명과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