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Materials

검색결과 962건 처리시간 0.028초

이용자 인식조사를 반영한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by Reflecting User Perception Survey)

  • 이세라;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33
    • /
    • 2024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학교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 실태 및 선호도와 중요도 조사를 통해 이용자 인식을 조사 및 분석한 다음, 미래교육을 위한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공간구성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상남도 C시에 위치한 7개 고등학교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학교도서관 이용 실태 및 공간구성 방향에 관한 이용자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방안으로 1) 학생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 우선 선정, 2) 자료·열람공간 및 교수·학습공간 구성 시 교육과정과 학습 지원을 위한 양질의 자료와 장비 확보, 3) 공간구성 및 배치 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이용자 요구 고려, 4) 미래 환경 및 신기술 영향에 따른 기술력과 장비를 반영한 공간으로 구성하기 위해 노력 등을 제안하였다.

어린이자료의 접근점 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Access Points of Children's Materials : Using "A" Online Library Catalog and "N" Children's Database in the U. S.)

  • 정진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01-113
    • /
    • 2009
  • 본 논문은 어린이 자료를 서비스하는 두 개의 영문 서지 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접근점과 접근점 제공방식을 분석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접근점과 접근점 제공방식을 확인하였다. 분석대상 서지정보시스템으로서 A 공공도서관 목록시스템과 N 어린이소설전문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이 두 시스템 모두 접근점은 자료의 내적 외적 접근점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접근점 제공방식은 키워드 입력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 부담이 적은 '인식' 단계의 인지활동을 지원하는 브라우즈와 하이퍼링크를 통한 내비게이션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와 서지정보시스템간의 '상호작용,' 이용자의 '정보만남,' 그리고 '우연성'을 지원하고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봉사하는 사서와 시스템개발자들이 어린이를 위한 서지정보시스템 접근점 개발시 참고할 수 있다.

온라인 디지털자료의 납본체계 및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gal Deposit Process and Use of Online Digital Materials)

  • 최재황;곽승진;김정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09-232
    • /
    • 2009
  • 본 연구는 온라인 디지털자료 납본 및 이용에 관한 법률(안) 및 도서관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에 발의되어 있는 상황에서 국가의 디지털 문화 자산인 온라인 디지털자료에 대한 보존과 접근을 지속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세계 주요국의 납본 관련 법률 및 지침을 참조하여 온라인 디지털자료의 납본요소를 추출하고, 납본의 이해당사자인 저작권 소유.유관단체 및 관련 기업과 이용자의 의견 그리고 납본 관련전문가의 자문을 수렴하여 온라인 디지털자료의 납본체계 및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새 연대순 도서기호법의 연구 (A Study of New Chronological Book Numbers)

  • 리재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7-37
    • /
    • 1985
  • In most of the modern libraries throughout the world, it is popular to adopt the author number which arranges the books or entries in alphabetical order of their author's names within the same ultimate class. However, viewed historically, that was the Western practice never used in the East before. Traditionally chronological order was followed in the East. Book number not only individualizes the books within the same class but also makes it easy for the user to choose and find out the relevant materials. In this respect, chronological book number is decidedly superior to all kinds of book number systems ever have been existed. Especially in these days of rapid obsolescence of documents and with serious problems of storage of documents, the chronological order seems to be the most modern and future-oriented of all other book number systems because it distinguishes clearly new materials from aged materials by the date of publication and controls the stack spaces mechanically and effectively. This writer devised New Chronological Book Numbers adaptable to both the Eastern and Western materials, and the system has been adopted at Yonsei University Library. The features of the system are as follows: (1) It is easy to type the call number in cataloging the Eastern and Western materials. That is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chronological number is pure numerical notation by taking the last two figures of the year within twentieth century(e.g. 85 for AD 1985), that is 1900s, and the last three figures of the year from twenty-first century to thirtieth century, that is 2000s. (2) It does not make all classes have chronological number uniformly. Within the classes for individual biographies, genealogies and collections of biography of specific family, books about individual organization, individual literary and artistic works, philosophical works of the famous philosophers, books and its facsmile editions published before 1900, new editions, translations, commentaries, serials, chronological number is assigned to the author number as in the past. (3) It separates the Eastern materials from the Western materials and makes the typing easy in cataloging. That is because the subarrangement within the same chronological book number is made by the accession order which uses 'panjol-ponmun' or the characters of basic syllabic table of Korean alphabet in case of the Eastern materials and Roman alphabet in case of the Western materials.

  • PDF

감리교 기관의 자료 협력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Materials Collaboration between the Methodist Church Organizations)

  • 박현영;남태우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119-140
    • /
    • 2010
  • 감리교 자료는 자료의 생산 및 소장 기관별로 3가지 유형, 즉 1) 한국의 전체 감리교회를 관장하는 '감리회 본부 자료', 2) 신학관련 학술연구도서를 소장하고 있는 '신학대학도서관 자료', 3) '개별교회의 자료'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리교 자료들은 주제에 있어서 동질성을 갖고 있으나 각 기관별 특성에 따라 자료의 유형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기관의 특성에 따라 기관별 소장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시키기 위해서는 자료실 간의 상호협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3개 기관별 자료실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감리교 본부 자료실의 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직체계의 재구성, 감리교단 기관별 운영규정 개발, 자료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의 선결과제가 수행되어야 한다.

대학도서관 구성요소의 역할 및 그 실태분석 (An analytic study of components of university libraries)

  • 전재봉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1-32
    • /
    • 198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n future. To acquire the basic information, the equipments and facilities, materials, personnels and budget elements of university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University outhorities primary concerned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rather than university libraries. 2. University libraries do not secure the facilities, materials and personnels sufficiently. 3. The realities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re very poor condition.

  • PDF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자원요소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Library Resources for Evaluating Efficiency of Academic Libraries)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88
    • /
    • 2010
  • 디지털시대의 도래로 도서관의 자원요소의 구성 및 각 자원요소의 중요도 비중이 매우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과거의 전통적인 요소만으로 대학도서관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있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도서관 시대에 적합한 도서관효율성 평가를 위한 자원요소를 재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 투입요소로 예산, 직원, 면적, 단행 본 수, 연속간행물 수, 전자저널 수, 비도서 수, 웹DB 종수, 전자책 수, 컴퓨터 수, 원문DB구축건수 등이 선정되었고, 산출요소로 대출책 수, 이용자 수, 홈페이지 접속건수, 웹 DB 이용건 수 등이 선정되었다. 재발견된 자원요소 중 전자자원 요소가 상당히 발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통일 독일의 상호대차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interlending system in Germany)

  • 노문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303-350
    • /
    • 1992
  • In the modem information society any library can not meet the need of its user without cooperation with other librari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old West Germany in the general kept the traditional library system, but (the library system of) the old Estern Germany was influenced by the Soviet Union. The East and West Germany have developed their library interlending system on their own way, but their system was based on the regional principle. After the Unification the library interlending system of two parts of Germany is on the way to an uniform system. Above all East Germany libraries must now collect the materials which they could not buy during about 40 years due to the ideological aspect and lacking financial resources. The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tries here to help the East German libraries. Before reaching the final settlment of two different library interrlending rules the East and West German libraries temporary serve their user on the previous way, it means in the regional princeple. During this periode the East and West German libraries agree to cooperate on the base of partnership between their regional central catalog. If the East German user's wish can not be satisfied in the East German library, then this wish is sent to its Western partner regional central catalog.

  • PDF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 -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 (Developing Strategies for a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y at a Regional Level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

  • 노지현;조용완;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7-195
    • /
    • 2013
  • 현행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 시행령"에서는 지역 도서관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책임을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도서관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수장공간의 부족 문제를 '공동보존서고'의 설치를 통해 해결하도록 유인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실정법에 따라 지역대표도서관을 설립하였거나 지정하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빠른 시일내에 공동보존서고의 건립과 운영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도서관의 수장공간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공동보존서고가 갖는 의미를 세밀히 검토하고, 공공도서관 중심의 '지역 거점형'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수장공간의 부족 정도를 객관적으로 산출하고, (2) 공동보존서고에 대한 부산시 공공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요구를 조사한 다음, (3) 국내외의 대표적인 공동보존서고 사례를 참조해 가면서 부산시에 가장 적합한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안)을 제안하였다.

종합대학 도서관장서의 적정량기준 설정에 관한 고찰 -미국의 종합대학도서관기준을 중심으로- (Problems in Quantification of Adequacy of Academic Library Collections -Critical Analysis of Standards for Academic Libraries in the U.S.-)

  • 정용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183-207
    • /
    • 1981
  • Library standards have been the source of considerable controversy, whereas many problems are involved in developing stardard for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s. For evaluation purposes, standards should be precise, quantifiable and measurable.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standards for academic libraries are limited to qualitative statements and principles. Quantitative standards, when given, are ususally related to the number of population in the institution being served, or the prescribed quantitative objectives are often arbitrarily formulated by value judgements. The study in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problems involved in developing quantitative standard for academic library collections. Two problems facing in the formulation of the optimal size of collection are identified. One is the theoretically faulty concept of adequacy of collection to meet the situations of diversity of university libraies, and the other is the difficulties in quantification and measurement, along with the lack of concept of adequacy of collection. However, quantification of adequate size of collection is proved to be useful on the pratical level, even though not valid theoretically. ACRL, Clapp/Jordan and Voigt developed formulas or models for setting the optimal size of a library collection for any particular university librar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above formulas. ACRL standard was drawn from obervation and analysis of statistcs in leading library collections. In academic field, this judgement appears to have bee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high-grade institution would be apt to have a good library collection. This study criticizes ACRL standard for its failure to include some determinants of measurements,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standard. In contrast. Clapp/Jordan developed a formula rather scientifically based upon bibliographical sources. This is similarly empirical but has the advantage of bringing into play the elements which make universities diverse in nature. Both ACRL and Clapp/Jordan formulas share two major defects. (1) the specific subject needs of the collection are not indiacted directly, and (2) percentage rate of growth is an indicator in measuring the potential utility of a collection. Thus both formulas failed to provide a basis for meaningful evaluation. Voigt further developed a model for determining acquisition rates for currently published materials based on bibliographic technique. Voigt model encourages experimentation with different programs and different allocations of input resources,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the library's particular population. Standard for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s can be formulated in terms of input(traditional indicator), or additionally, in terms of output(cost-effectiveness). Cost effectiveness is expressed as user satisfaction, ability to provide wanted materials within a reasonable time period. Thus simple quantitative method does not cover all the situations of diversity of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s, nor measures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ons. Valid standard could not be established without further resear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