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Access Points of Children's Materials : Using "A" Online Library Catalog and "N" Children's Database in the U. S.

어린이자료의 접근점 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정진수 (덕성여자대학교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access points of two bibliographic databases specialized in children's materials: "A" public library's online catalog and "N" children's novel database. The analysis particularly focused on the access points that lead users to discover their own needs and on the ways users search and navigate.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elected bibliographic systems supported many access points that were taken from the materials as well as from other relevant information sources and that browsing and navigating with hyperlinks supported the users' 'recognition' of information through 'interactivity' between the users and the systems, 'information encountering,' and 'serendipity.' The findings of this paper have implications for librarians and systems designers who want to develop user-friendly bibliographic systems that give access to children's materials.

본 논문은 어린이 자료를 서비스하는 두 개의 영문 서지 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접근점과 접근점 제공방식을 분석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접근점과 접근점 제공방식을 확인하였다. 분석대상 서지정보시스템으로서 A 공공도서관 목록시스템과 N 어린이소설전문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이 두 시스템 모두 접근점은 자료의 내적 외적 접근점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접근점 제공방식은 키워드 입력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 부담이 적은 '인식' 단계의 인지활동을 지원하는 브라우즈와 하이퍼링크를 통한 내비게이션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와 서지정보시스템간의 '상호작용,' 이용자의 '정보만남,' 그리고 '우연성'을 지원하고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봉사하는 사서와 시스템개발자들이 어린이를 위한 서지정보시스템 접근점 개발시 참고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승진, 강지혜. 2007. 어린이청소년 디지털도서관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 발표논집, 16: 111-126.
  2. 대한출판문화협회. 2009. 2008 출판통계. [cited 2009. 9. 24]. .
  3. 장로사, 김성희. 2006.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의 인포메이션 스트럭처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발표논문집, 13: 252-258.
  4. 장지숙. 2006. 뉴베리 수상작 주제 분석을 통한 어린이 독서자료 선정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63-79.
  5. 정진수. 2003. 풍부한 정보환경에서 정보와 함께하는 학습: 인지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4(4): 135-158.
  6. 조월례. 2003. 최근 어린이책 출판 경향과 전망. 문학교육학, 12: 345-373.
  7. 최미숙. 2003. 어린이 책 출판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7. 139-169.
  8. Anderson, L. W., & Krathwohl. Ed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Longman.
  9. Belkin, N., Oddy, R. M., & Brooks, H. M. 1982. ASK for Information Retrieval: Part I. Background and Theory. Journal of Documentation, 38(2): 61-71. https://doi.org/10.1108/eb026722
  10. Chung, J. S., & Neuman, D. 2007. High School Students' Information Seeking and Use for Class Project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10): 1503-1507. https://doi.org/10.1002/asi.20637
  11. Erdelez, S. 2000. Towards Understanding Information Encountering on the Web. In D. Kraft. Ed. Proceedings of the 63rd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pp. 363-371). Medford, NJ: Information Today.
  12. Kuhlthau, C. C. 1993. A Principle of Uncertainty for Information Seeking. Journal of Documentation, 49(4): 339-355 https://doi.org/10.1108/eb026918
  13. Reuter, K. 2007. Children Selecting Books in a Library: Extending Models of Information Behavior to a Recreational Set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lege of Information Studies, University of Mary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