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Management

검색결과 2,770건 처리시간 0.025초

Knowledge Management Initiative: A Case Study of the National Library of Bangladesh

  • Sultana, Nazmin;Mostofa, SK Mamu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1호
    • /
    • pp.6-17
    • /
    • 2018
  • This paper confer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KM) in the National Library of Bangladesh (NLB).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NLB goes about creating, implementing, disseminating, and applying knowledge within the organization. The other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KM in NLB and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facets of KM by the staff of the National Library. The paper revealed that the situation of KM in NLB is not satisfactory. The paper also described the fact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supports the implementation but there needs to be some changes in the policies. Finally the research disclosed that NLB is a great place for implementing KM and has a large amount of possibilities for the adoption of KM. This qualitative research used the questionnaire as the main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Finally, data has been processed and analyzed using SPSS and MS Excel.

소규모 전문도서관에서의 정보관리 -동의대학교 도서관 메일링리스트를 중심으로- (Information Management Activities in Small Scale Special Libraries)

  • 김용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9-168
    • /
    • 2001
  • 소규모 전문도서관에서의 정보관리 활동을 고찰하기 위하여 동의대학교 도서관메일링리스트에 올려진 글을 분석하였다. 기업체 자료실을 비롯한 소규모 전문도서관에서의 활동은 도서관계에 거의 알려지고 있지 않다. 도서관메일링리스트에는 그들이 업무수행 중에 겪고 있는 어려움들이 질의 형식으로 제시되고 있다. 도서관리프로그램, 도서관 운영, 분류, 장서개발, 규정, 지식경영, 건의 사항 등 그들의 질의가 많이 나타난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PDF

정보화경영시스템의 도서관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Library)

  • 박재용;조윤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5-134
    • /
    • 2002
  • 비영리 조직인 도서관에서 정보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시스템에 대한 감리와 통제만으로 지식정보자원관리를 조직의 경영목표에 적합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그러므로 조직의 종합적인 경영체제 내에서 전체 경영활동과 통합되고 융화될 수 있도록 정보화 경영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 도서관에서도 조직의 전략적 측면이나 사회 ·경제적인 요구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지식정보화 촉진과 경영혁신을 추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모든 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규격으로 정보화경영시스템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가지 다양하게 개발된 도서관 성과지표와 정보화경영시스템의 수준평가표를 비교, 분석 하였으며, 도서관은 정보화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하여 조직의 효율성과 이용자 만족을 제고하고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ex for Library)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09-338
    • /
    • 2023
  • 사회적·환경적 이슈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ESG 경영평가의 영향력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으며, 도서관도 ESG 경영평가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ESG 경영을 도서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ESG 경영을 정의하고 범주를 확인한 후, 먼저 적용과 지속적인 환류를 전제로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을 포함하여 공공기관 ESG 경영평가지표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로부터 도서관에 적용가능한 ESG 경영평가지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SG 관련 선행연구 조사·분석, 선행연구 기반 도서관 ESG 예비경영평가지표 도출, 예비경영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 FGI 의견 수렴, 전문가 FGI 의견 수렴 기반 1차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 개발, 1차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의 적합도 조사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환경 영역은 총 25개 항목, 사회 영역은 총 56개 항목, 지배구조 영역은 총 32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지표를 기반으로 도서관을 대상으로 ESG 경영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도서관경영에 있어서 의사결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cision making system in library management with an analysis on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library in Seoul)

  • 이우범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0권
    • /
    • pp.163-222
    • /
    • 1991
  • This dissertation are studying the conceptual structure of decision making situation in libraries, by analyzing the library function, decision makings of library and then seeking economic and efficient alternative decision making by programming the· decision making situations, and finally, introducing how to appl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r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analyzing necessary factors for the decision making system, the questionnaire used Lickert method were distributed to 400 librarians of 36 universities in Seoul by means of mail. 193 librarians, $48\%$ of the questionnaire, are returned are studied by using 'SYSTAT' statistical software to figure out the factors of the decision making system. This dissertation was put six hypotheses and tested with the returned questionnaire. The following five result can be asserted. First, to the higher degree of the librarians' participation in the important library decision makings, the quality of formal library services are improved regardless of seniority of the work. Secondly, the t-test results show that all of t-test scores of seniority of the work,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sponsibilities of the work are exceeding significant level and perception of decision making was prov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seniority of the work,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sponsibilities of the work in libraries. Thirdly, as the results of factor af factor analysis, the encouragement on participation in the library academic activities, the extent to get useful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s of library and the improvements of library works were grouped by similar posibilities of distribution and therfore the academic activities,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the improvement of library performances is proved to be interrelational each other. Fourthly, the fifth hypothesis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ision making situation and types of advisor by it was more or less interrelational, but their relationship was not seen some significancies. Lastly, as the dynamic organization of library management forming a special commitee or a project team with librarian can improve the extent and quality of the librarian'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 making of library works, and thus library will become to performance more rational and effective library management.

  • PDF

설계사무소의 BIM 운영을 위한 LMS(Library Management System) 프레임워크 개발 (A LMS (Library Management System) Framework Development for BIM Oper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Office)

  • 김진식;김연수;마영균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10
    • /
    • 2013
  • In order to boost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 accumulates materials and details which are repeatedly used. According as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ave proliferated, a number of data are being produced. BIM data constructed in a stage of architectural design reduces repetitive works of design and can be used in estimate and construction, maintenance. BIM library gathered these data are able to enhance participants collaboration and design improvement. Library is a vital factor in BIM and a number of libraries are needed as BIM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have proliferated in architecture industry. However, BIM Library establishment and related research development are incomplete. And specific standard setting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BIM library building have not been achieved. As such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are generated but there is no systematic plan and reuse frequency is low. So it is necessary to build system for effective data sharing and operation management. In this study, through establishment of BIM standard system and construction of management environmental system, it has an object in view for developing framework which can efficiently manage various libraries happened in BIM architectural design field.

지식경영을 위한 도서관의 역할 (The new Role of the Library for Knowledge Management)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9-232
    • /
    • 1999
  • As growing internet,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 is newly introduced in business. And the KMS is very similar with traditional library. By grafting the KMS on the library, to input effectively in production line the knowledge that is important to knowledge society as a production factor, it is necessary to unificate with KMS and library. That unification is finally a new model for 21centry library.

  • PDF

SOUTHEN 미시시피 주립대 도서관의 경영 방식에 따른 업무 만족도 및 도서관 서 비스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Management Style on Job Satisfation and Library Performance in the Usm's Cook Memorial Library)

  • Park, Sumg-ho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3-52
    • /
    • 1988
  • 본 연구는 Southem Mississippi 주립대학 도서관을 표본 도서관으로 하여 경영 방 식에 따른 업무 만족도 및 도서관 서비스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 세변수 사이에 작용하는 상관 관계에는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전문직과 비전문직 사이의 변수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 PDF

공공도서관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 Safety Management Manual for Public Libraries)

  • 이정수;김태경;김보일;정재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77-100
    • /
    • 2016
  • 이 연구는 이용자의 안전과 도서관의 재난대비를 비롯한 위기관리와 관련한 최근의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는 한편, 공공도서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하여 도서관 업무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안전관리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안전관리 매뉴얼은 '안전관리 계획의 수립', '위기별 안전관리', '정보자원 복구', '안전관리 점검 체크리스트'의 4가지 영역과 각각의 영역별 세부 위기별 안전관리 요소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개별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자관의 상황에 맞추어 안전관리계획의 수립과 직원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서관 서비스 시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Services Market)

  • 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3-197
    • /
    • 2015
  • 이 이론적 논문의 목적은 도서관서비스 시장을 확인하고 일반 상품시장과 대비되는 도서관서비스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여 연구 및 실천 부분에서 도서관 마케팅 및 경영의 논의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 데에 있다. 도서관서비스 시장은 일반 시장의 모형을 기반으로 확인하였으며, 일반 상품시장과 비교하여 도서관서비스 시장은 간접 교환, 제한 경쟁, 그리고 시차적 교환이라는 특성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하여 도서관 경영의 목표 및 목적의 개발과 도서관 마케팅에의 적용이라는 두 가지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