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Management

검색결과 2,770건 처리시간 0.027초

전산화를 전제로 한 대학도서관 운영의 과학화 모색 (A Note on Scientific Managemen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for the Library Automation)

  • 정준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7권
    • /
    • pp.275-298
    • /
    • 1989
  •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s stressed prior to the library automation. Several tools and techniques for scientific management are introduced. And, to evaluated the library effectiveness, divided the library operations into 5 categories, each categories are summarized and analyzed in terms of how much the users succeed or fail in accession to the information they seek.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63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S curriculum, determined demand from field librarians through a survey, carried out job analysis by library types, and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for LIS curriculum by synthesizing all of these results. Finally, we suggested a course of study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based on this model. As a result, the six required courses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The four core courses for the civil service concentration are: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ources by Subjects,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Digital Libraries. Suggested electives best suited to this career path include Using Web Resour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Services in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Library Marketing, Libraries and Cultural Programs, Reading Guidance, Library History, Small Library Management, Studies in Library Buildings, Library Cooperation,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공공도서관 지식경영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Management Model in Public Libraries)

  • 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9-240
    • /
    • 2002
  • 도서관은 인류문화 유산을 집대성하여 계승하고 현재의 모든 지식정보자원을 기반으로 미래사회를 개척할 수 있는 전략과 전술,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모든 분야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곳이다. 더군다나 공공도서관은 공중의 지식정보와 이용 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을 증진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를 도서관기능과 환경의 변화 측면에서 다루었고 디지털 도서관의 등장과 그 의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새로운 공공도서관문화 및 조직구조 창출, 도서관 정보조직구조의 변화를 다루었다. 공공도서관의 현황분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공공도서관에서 지식경영의 필요성과 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지식경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지식경영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성과와 한계 (Outcomes and Limitations of the Library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4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도서관경영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성과와 한계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문헌정보학분야의 5개 학술지를 대상으로 2001에서 2010까지 발표된 총 2,56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경영논문의 비중은 전체의 21.8%(560편)로 나타났다. 도서관경영분야의 하위영역 중에서 연구성과가 높은 분야는 경영일반, 정책과 제도, 인사관리, 측정과 평가인 반면에 조직 및 예산관리, 건물과 시설, 마케팅과 홍보분야의 연구성과는 매우 미약하였다.

도서관 리스크관리와 보험 (Library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 정혜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31권4호
    • /
    • pp.1-12
    • /
    • 2000
  • 도서관 운영에 수반되는 잠재적 리스크들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바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리스크의 인지, 리스크의 측정, 리스크 처리기법의 선택, 실행, 평가를 통한 리스크 관리과정은 대물(對物)리스크, 배상책임(賠償責任)리스크, 인사(人事)리스크를 가장 보편적인 방법인 보험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제시하고 있다. 도서관의 체계적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리스크 관리자를 선임하여 프로그램 개발과 보험가입에 책임이 주어져야 한다. 또한 제한적인 공제회의 보장대상은 보험상품 개발을 통해 충분한 리스크의 담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보다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도서관 리스크 관리의 개선과 보험의 적용을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

도서관 관리론의 교육 (Education of Library Management)

  • 엄영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83-107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future education of Librar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are traced based on the historical events, the standards provided by international and 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ories suggested through researches. And the percentages of library management subjects in the curricula of te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s are calculated divided by compulsory and elective ones, along with the contents analyses of a few textbooks in the field. The hypotheses to be tested are as follows: 1. The American postgraduate library education was introduced into Korea as an undergraduate course. So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of library management was recognized as in America, and the numbers of subject Would have been increased, and the contents detailed. 2. The contents of the subject taught would not have changed much since its introduction. It means that they will be almost the same as those were preval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e 1950s, when the American education was brought into Korea. The hypotheses can be accepted as being true. Based on the conclusions, some suggestions, including the teaching of the subject should be directed more towards management aspects rather than administrative ones, are provided.

  • PDF

도서관 CRM 시스템의 효율적 추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ent Propulsion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for Library)

  • 유양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1-27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이용자중심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경영과 사서와 이용자간의 관계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CRM을 수행하였다. 또한 도서관 고객의 요구사항의 특성과 일반적인 CRM 시스템의 설계를 고찰하고, 도서관에서의 CRM 시스템에 대한 개념적 모델링 설계와 데이터사전, 이벤트 클레스를 작성하여 도서관 CRM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민간 아카이브의 구축과 관리: 느티나무도서관의 사례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ivate Archives: The Case of Neutinamu Library)

  • 최진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7-173
    • /
    • 2020
  • 이 글은 용인 수지에 위치한 느티나무도서관의 아카이브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쓰여졌다. 느티나무도서관은 2000년 개관 이후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 역할을 해오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민간 도서관운동의 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도서관문화 발전을 위해 2003년 느티나무도서관재단을 설립하여 여러 기관들과 협력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교류와 활동으로 느티나무도서관은 많은 자료들을 생산, 수집하게 되었고. 지금까지 모여진 생산 기록과 수집 기록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2013년 아카이브를 구축하였다. 이 글을 통해 느티나무도서관의 아카이브 조성 과정과 관리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Library Course Pages)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7-163
    • /
    • 2010
  •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는 하나의 게이트웨이에서 강의정보와 도서관자원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 대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이는 여러 검색게이트를 갖는 기존의 도서관 자료 제공방식과 달리 강의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강의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강의와 도서관자원을 더욱 밀접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 국외 대학도서관의 경우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를 대학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내용으로 구축하며, 대학에 개설된 전체 강의에 대한 페이지를 구축하기 위해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처리 프로그램을 도입하거나 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구축 프로그램도 자체 개발혹은 상업 벤더시스템 등으로 다양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지 않으며, 시스템 개발에 대한 구축방안도 모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방법을 이용해 국내 대학도서관의 적극적인 서비스 방안의 하나인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강의별학술정보페이지 구축 방안을 통해 도서관의 적극적 서비스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도서관 설립과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 Library for Older Adults)

  • 임성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323-348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도서관 설립과 운영 방안 제시라는 목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노인도서관은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주 이용자로 하고 노인에게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여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라는 개념을 정립했고, 노인도서관 설립을 위한 기본 방향, 세부 추진 방향, 조직 구성안,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도 작성해 제시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사전 준비된 질문지를 기초로 반구조화 면담을 진행 후 그 결과를 분석한 결과, 도서관 이용 목적은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서라는 응답이 20명으로 가장 많았고, 노인도서관에 꼭 필요한 서비스로는 자서전 쓰기 등 노인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응답이 12명으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노인 학습실과 건강 정보실을 운영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두 곳의 운영 사례를 조사한 결과, 노인도서관의 운영은 지역적 특성과 노인이라는 대상의 특징을 잘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