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brary Facility Planning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정보환경조건에 따른 대학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도서관 건축 디자인에 관한 연구(II)- (A Study of the Space Planning of a University Librar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 A Study on the Design of Library Architecture(II)-)

  • 이상호;신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호
    • /
    • pp.31-37
    • /
    • 1999
  • This study aims to provide architectural basis of the new space planning in university library and anticipate direction in futu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transition in the existing facility, based on field observation of the domestic university library and on theoretical data from the related article. The result that include a transition of the existing facility and the present is as following as below. 1) Spatial transitions by networking are making specific system room. The minimum area of this specific system room is 33.95$m^2$. 2) Spatial transition by information service is forming computer room. the minimum area of a environmental carrel, which is possibly located to computer room, is 2.98~3.42$m^2$. 3) Spatial transition by spreading multimedia information is to make the multimedia information is to make the multimedia room. It is necessary to independent, flexibility, and extensionable space. 4) Library interior spatial transition by developing information technology is prospected that in case of reading room, office enlarge the scale, in case of stack decrease the scale. The university library must be kept up their function and also be functioned as electronic library which serve new information.

  • PDF

다기능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일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ial Configuration of Public Libraries by the Multi-Functionality - Focus on the Japanese Public Libraries -)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05-115
    • /
    • 2009
  • As database become more variable and multimedia, the integration between conventional library based on printed matter and digital library on IT makes it accelerated that the changes in today's information circumstances. Due to more leisure time modern people who get intellectual and interested in variety so they need continuing education, intellectual satisfaction and cultural life. Consequently today's public library expands to become a source of every kind of information, an educational facility and community facility to fulfill the cultural needs. On the assumption above, this study aims at offering database for planning public library that meets the needs for multifunctional library through analyzing space, structure, and character of modern public libraries and chooses 8 cases in Japan provide both primary and additional functions. Quantitative data from blueprints, websites and publications has been collected to analyze the space arrangement corresponding with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 (An Analysis on the Needs Assess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93-112
    • /
    • 2016
  •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학생과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에 사용된 요구조사 도구는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10개의 시설특성과 세부요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설문대상은 전국 18개 학교에 소속된 507명의 학생과 134명의 사서교사이며, 이들로부터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학생과 사서교사는 모두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의 중요도를 현재 수준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학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설특성은 자료 접근성, 편리성, 공간성 순서이며, 사서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쾌적한 환경, 확장성, 자료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시설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 Library Facilities)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73
    • /
    • 2015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시설을 계획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표준화된 조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을 파악하였고, 요구조사 도구에 반영되어야 할 특성으로 교육적 활용성, 시설 접근성, 자료 접근성, 쾌적한 환경, 심미성, 공간성, 편리성, 정보기술, 업무 효율성, 확장성의 10개 특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요소를 우리 도서관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요구조사 도구는 설문지 방식으로 계량적 데이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학교도서관 상황에 따라 조사도구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공동체 문화 활성화를 위한 APT단지 부대복리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Facilities Plan for APT Community Culture Activation)

  • 이광영;조진만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55-62
    • /
    • 2008
  • This study is researched to provide design guidelines of service facilities and programs that apartment residents want along with the increased quality of life. This study is signifiant because it sought effective methods to activate the com-munity culture through service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and the design standard and planning direction for resid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mportancy of service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the following order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 man-ager office, open space, resident community facility, elderly people meeting and activity facility, walking paths, resident athletic facility, a children's playground, library, and rest areas in the complex. and result of the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the following: service facilities whole importance (y) = 1.413$+0.262^*{\times}1$ (manager office importance)$+0.271^*{\times}2$ (open space importance) $+0.185^*{\times}3$ (resident community facility importance) $+0.136{\times}4$ (elderly people meeting and activity facility importance)$+0.036^*{\times}5$ (walking paths importance) $+0.031^*{\times}6$ (resident athletic facility importance) + $(-0.042)^*{\times}7$ (a children's playground importance) + $(-0.045)^*{\times}8$ (library importance) + $(-0.0097)^*{\times}9$ (rest areas importance).

공공도서관을 위한 지역 공동보존서고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Regional Cooperative Preservation Program for Public Libraries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Busan Metro Area -)

  • 강은영;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7-232
    • /
    • 2017
  • 최근 지역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 도서관자료를 체계적으로 이관받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지역별로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계획 수립단계에서 첫걸음은 지역 내 단위도서관의 자료보존현황을 파악하고 현장 사서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동보존서고 계획과정에 반영하는 일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자료보존현황을 바탕으로 부산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자료보존 현황과 부산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대한 사서들의 의견을 조사하고, 2) 부산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방안을 자료이관방안과 공간운영방안 등으로 나누어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피공공도서관의 장애인화장실 편의시설 설치실태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Installation Condi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on Toilets for the Disabled in Public Libraries -Focused On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 서경자;김종영;공성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03-111
    • /
    • 2013
  • In view of the fact that modern society has a range of origins causing disability, the population of acquired crippled is escalating. Hence, it is obligatory to facilitate every visitors can utilize facility equitably because public libraries are being changed to compounded service area. Particularly, it is urgent to manage space planning and accommodation by considerate the requirement traits of disabled who are a susceptible social group about knowledge information. This study analysis installation of toilet, the inevitable factor of hygiene facility, for disabled equipped in four different public libraries in Daegu with related on the standards of establishment for prolonged stay through advanced research and legislation connected on handicapped.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 data to establish construction plan for disabled to alleviate inconvenience of taking service of public library, and to compose satisfying hygiene facility.

교육 시설 생활인프라 특성을 고려한 지역 프로파일링 연구 - 서울시 광진구 중심으로 - (Regional Profiling by Considering Educational Facilities - Centered on Gwangjin-gu, Seoul -)

  • 강우석;이희정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10
    • /
    • 2019
  •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ofile local sectors into meaningful groups by using facilities rates of Social Overhead Capital(SOC) for daily life. Comparing SOC for daily life among the meaningful groups, the profiling and comparison results bring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educational facilities in local sectors. For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tilized Latent Profile Analysis(LPA) by using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road information, SOC for daily life, usage of land, possession of land, and appraised value of land from the 2018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dataset of Gwangjin-gu, where is one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oul City.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our latent groups of sectors among 904 local sectors(100 squared-meters sector per each) in Gwangjin-gu. By comparing the four latent groups by using LPA, the results diagnose each sector's status and help to improve the policy about educational facilities. Specifically, by using dataset for SOC of daily life, there are four groups of local sectors and each group has different features. Based on the different features of local sector groups, there can be improved manag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matching with each group's features.

한국학(韓國學) 고문헌자료(古文獻資料) 전문도서관(專門圖書館) 건축계획(建築計劃)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Architectural Design of Library Building for Preserving Ancient Documents of Koreanology)

  • 이근영;박지훈;공순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43-157
    • /
    • 2009
  • 본 연구는 시설 프로그램, 면적 구성비, 공간 구획, 순환 시스템 등 공간 구성의 분석을 통해 고문헌 전문도서관의 건축 계획 및 설계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사례의 공간구성은 크게 자료영역, 이용자영역, 사무/유지관리영역, 서비스/공공부분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은 세부영역으로 구분된다. 둘째, 자료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큰 면적을 차지한다(39~56%). 셋째, 서고의 위치, 보존처리영역의 위치, 하역장의 설치 유무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인다. 넷째, 각 사례의 공간구성체계를 분석하면 각 사례별 공간구성은 자료의 이동경로와 관계가 있다.

국립세종도서관 직무개발 및 조직개편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Job 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Strateg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윤희윤;오선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9-182
    • /
    • 2023
  • 2013년 12월 출범한 국립세종도서관은 한국 정책정보 특화도서관과 세종시 복합문화시설로 각광받아 왔다. 그럼에도 본질적 정체성, 조직적 위상, 사무분장과 핵심역량, 정책자료 수집과 서비스 등은 여전히 취약하고 부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체성 정립 및 고품질 정책정보서비스의 전국적 제공을 위한 직무모형을 개발하고, 전략적 조직개편 방안을 제시하였다. 직무모형은 기존 72개에 38개를 추가하여 총 110개로 제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단기 조직개편 모형(2023-2024)은 관장 직급을 현재 4급(서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직무등급은 나급)으로, 과장을 5급(사무관)에서 4급으로 상향 조정하였다. 하부조직은 현재 3과(기획관리과, 정책자료과, 서비스이용과)를 4과(기획행정과, 자료수집개발과, 정책정보서비스과, 대중서비스문화과)로 개칭·확대하고 인력은 총 51명으로 구성하였다. 중장기 모형(2025-2032)은 하부조직을 4과 1실(기획행정과, 자료수집개발과, 정책정보서비스과, 대중서비스문화과, 정책정보연구실)로 확대하고, 소요인력을 총 61명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거시적·전략적 목표인 '한국 정책정보센터'를 표방한다는 논지로 이해집단을 설득시키고, 전략적 조직개편 및 직제개정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