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brary Experience

Search Result 36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f K University's Library Service

  • Noh, Young-Hee;Choi, Min-Ju;Choi, Yong-Wog;Jeong, Sin-Won;Jung, Eun-Ji;Kang, Mi-So;Kim, Jin-Young;Lee, Kyung-Won;Lee, Sung-Jae;Oh, Seon-Hye;Park, So-Yeon;Shin, Sung-Chul;Suh, Da-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61-79
    • /
    • 2011
  • This study purposed to discover whether or not academic libraries reflect these changing roles. We selected K University as the research target and surveyed user satisfaction of materials, staff services, facilities, electronic devices, media, and so 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of University K was on the high side, 2) the primary purpose of using the academic library was associated with learning or reading, therefore, the most used library spaces were related to that, 3) the most used library materials were 'general books', the most unused were 'reference books', 4) the most preferred way to obtain needed materials when failing to find wanted materials was 'Contact librarian'. A similar phenomenon occurred in terms of facility use, 5) university K's users were usually satisfied with the loan policy, 6) the rate of users who don't know whether there is user education was very high, the rate of users who have no experience with user education was extremely low. These research findings can be referenced by library management to improve libraries' service quality and take advantage of complex spatial configurations.

문헌정보학과 교육실습실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dia Center of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9-210
    • /
    • 2002
  • 문헌정보학과 교육실습실에는 분류와 편목의 실습 수업을 할 수 있는 분류·편목 실습실과 첨단의 매체나 시청각 기재 또는 실습용 교구를 사용하여 수업을 할 수 있는 영상매체 실습실,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정보 검색 방법을 체득하게 하고, 정보착용 능력을 길러 주며, 컴퓨터 관련 정보학 교과 수업을 할 수 있는 정보처리 실습실을 둔다.

  • PDF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mart Learning in the School Library)

  • 이승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7-5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을 정보활용교육 측면에서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모형은 ADDIE 모형과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맞게 도서관의 시설, 자료, 인적자원, 정보문제 해결과정, 협동수업 및 블렌디드 학습,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용 등이 고려되었다. 수업 모형은 "학습목표 설정${\rightarrow}$학습자 분석${\rightarrow}$학습환경 분석${\rightarrow}$학습과제 분석${\rightarrow}$교수 전략${\rightarrow}$매체 선정 및 개발${\rightarrow}$수업적용${\rightarrow}$평가"의 순서로 개발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스마트러닝의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수업 예시를 제시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Job Seeking College Degree Candidates and the Librarians Concerning Library Specialized Services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81-108
    • /
    • 2019
  •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ubject specialization services and the opinions of student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eparing for librarianship, librarians operating in the field, and library directors on the status and ways of nurturing subject specialization for librarians, among others. To this en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analysis, we have presented a policy to train subject librarians. First, we have proposed a plan for systematizing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with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 have also suggested ways to secure subject expertise based on curriculum management, minor programs, multi-major programs, and interdisciplinary major programs based on the standard curriculum model. Second, we have presented a subject specialization educational system for field librarians, and further suggested details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help build subject expertise and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methods as well as the personnel in charge of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programs. Third, we have propose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the subject librarian where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have been organized considering academic background, major program, library career, and career experience in the subject specialization service, further suggesting the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ystem.

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노출경험이 도서관 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Library Exposure Experience to Freshmen's Academic Library Anxiety in South Korea)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71-296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이 대학도서관을 이용할 경우, 대학 입학 이전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선행적 이용경험이 대학도서관 이용에서 발생하는 도서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A대학교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LAS)를 수행하였다. 445명의 대학도서관을 이용한 신입생 이용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초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대학 입학이전의 도서관 이용경험이 대학도서관 이용시의 도서관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성별, 초 중 고등학교의 소재지, 학교도서관운영자, 도서관이용교육, 도서관이용, 도서관활용수업이 도서관불안감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도서관불안과의 관계는 영향이 없었으나 초 중 고등학교의 소재지가 도시지역일수록, 학교도서관운영자가 사서(교사)인 경우, 도서관이용이 많을수록, 도서관활용수업 참여경험이 높을수록 대학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도서관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관한 소고 - 덕성여자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Review of the Remodeling Project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 유재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5-436
    • /
    • 2012
  • 대학도서관의 리모델링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리모델링프로젝트의 추진방향인 목표를 잡는 것이다. 대학도서관은 주요 이용자인 학생들을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최종목표로 삼았을 때, 공간배치나 내부 인테리어 디자인은 자연스럽게 이용자중심적 설계로 이어진다. 본 대학도서관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목표를 수립하고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첫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인 학생들의 생활의 중심장소가 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가 문화적인 체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복합문화공간이 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가 오래 머물고 싶은 장소가 되어야 한다. 이용자가 도서관에 오래 머물게 될 때, 이용자는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이용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은 매력적인 장소가 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대학도서관 리모델링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준비한 내용과 진행의 전 과정을 소개함으로서 비슷한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관련자들과 유용한 정보와 경험을 나누고자 한다.

중요도-수행분석을 이용한 전문도서관 서비스 평가 (Evaluating Special Library Service Quality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57-1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요도-수행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질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더 나은 도서관 서비스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근무연수 요인을 중요도-수행분석에 적용하였다. 총 127명의 국내 정책 연구소와 리서치 연구기관 직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중요도-수행분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서비스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어 서비스 성과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들이 정보서비스는 비교적 잘 제공되지만, 사서 서비스나 도서관 공간 이용에 대한 서비스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도서관서비스를 인구통계학적인 요소로 분석하였을 때, 근무연한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8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은 도서관 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며 도서관 서비스 중에 더 이상 제공이 필요치 않은 서비스가 없다고 하였다. 하지만 3년 이하 근무한 직원들은 사서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불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귀분석으로도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더 나은 전문도서관 서비스를 위해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정보탐색의 효과변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y Online Search Effect)

  • 김선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361-396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the online searcher's search experience and their search effec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28 online searchers working at the chosen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ubjects. The subject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two types of cognitive style by Group Embedded Figure Test. As the result of the GEFT, two groups have been identified: the 15 Field Independance ( FI ) searchers and the 13 Field Dependance ( FD ) searchers. The subject's search experience consists of the 3 elements: disciplinary, training, and working experience. In order to get the data of these empirical elements, a questionnaire have been sent to the 28 subjects. An online searching request form prepared by a practical user was sent to all subjects, who conducted searches of the oversea databases through Dialog to retrieve what was requested. The resultant outcomes were collected and sent back to the user to evaluate relevance and pertinence of the search effect by the individual. In this study, the search effect has been divide into relevance and pertinence. The relevance has been then subdivided into the 3 elements : the number of the relevant documents, recall ratio, and the cost per a relevant document. The relevance has been subdivided into the 3 elements: the number of the pertinent documents, utility ratio, and the cost per a pertinent documen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3 elements of the subject's experience and the 6 elements of the search effect has been analysed in the FI and in the FD searchers separately. At the standard of the 0.01 significance level, findings and conclusions made in the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 1. There a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training and the recall ratio, the number of the pertinent documents, and the utility ratio on the part of FI searchers. 2. There a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working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the relevant documents, the recall ratio on the part of FD searchers. However, there is also a significant co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working experience and the search cost per a pertinent document on the part of FD searchers. 3. The amount of working experience has stronger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the pertinent documents and the utility ratio on the part of FD searchers than the amount of training. 4.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raining and the pertinence on both part of FI and FD searchers.

  • PDF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re-service Teacher Librarian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 권선영;박장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1-3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정을 체험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실습과정 전반과 실습과정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총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 교육실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사서 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구성요소는 '성장과정을 통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의 형성', '진로설계에 대한 구체화와 실행전략', '실습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의 욕구', '조직문화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인지',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현실 직시'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의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사서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수준이 직무만족 및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Level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Library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in Public Library Librarians)

  • 김수진;강순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3-184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수준이 직무만족 및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감정노동수준을 독립변수로, 직무만족과 도서관정보서비스 제공수준을 종속변수로,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사서 22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넷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계수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공도서관 사서는 이용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실제 감정과는 다르게 더 긍정적으로 표현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서들은 감정노동을 경험하지만,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오히려 성취감을 느끼고,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자랑스럽고 기쁘게 생각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신이 하는 일이 전문적인 일이라는 인식이 강하므로, 감정노동을 경험해도 그것을 극복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직무에 대한 긍지를 가질 수 있다. 셋째, 사서들은 감정노동을 경험하게 되더라도, 합리적인 직무평가가 목표를 가지고 실시되고, 직원들 간의 관계가 좋다면 업무에 있어 성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직원의 평가가 실적위주이더라도, 사서들은 이용자가 그들의 서비스에 만족하고, 그 서비스 수준이 적절하다면, 봉사 정신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