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Experience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22초

종이책과 전자책의 적소 관계 분석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rinted Book and E-Book Formats Based on Niche Theory)

  • 양수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1-500
    • /
    • 2017
  • 본 연구는 적소 이론에 기초하여 종이책과 전자책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종이책과 전자책에 대한 독서 경험을 자진 독자가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종이책과 전자책의 경쟁은 충족 적소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종이책과 전자책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충족으로서 정보습득, 대인관계 의사결정, 정서 습관, 휴대성 보관성, 경제성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책이 휴대성 보관성과 경제성에 대해 경쟁적 우위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종이책과 전자책의 경쟁이 진행 중이며 전자책에 의한 종이책의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리뷰 텍스트 기반 감성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Sentim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based on Review Text)

  • 김유미;허고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97-417
    • /
    • 2021
  • 리뷰 텍스트는 이용자들의 경험과 의견이 구체적으로 담겨있어 이를 분석하면 리뷰 대상에 대한 많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뷰 텍스트에 대해 감성 분석을 진행하여 음식점의 각 요인에 대한 이용자의 평가 등을 파악하는 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이용자들의 선호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점 리뷰 텍스트의 별점 기반 만족도가 높은 음식점과 낮은 음식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감성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적으로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두 집단의 리뷰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차이로 음식점의 특성을 파악하여 좋은 음식점의 기준과 음식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WIKI cataloging 정신을 통한 공동목록 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the Union Cataloging by WIKI Cataloging Philosophy)

  • 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8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아웃소싱으로 반입된 서지데이터의 질을 담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위키 카타로깅 방식의 종합목록 작성을 제안하였다. 위키 카타로깅은 일련의 편목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는 사서의 협력을 통해 종합목록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의미하였다. 그 방안은 전문 사서들 의 협력에 기반한 1)위키 카타로깅의 정책, 2) 전용 위키시스템의 개발, 3) 위키 목록규칙의 제정 등이다. 특히, MARC의 기본서지요소 245, 260, 300 필드를 전문사서들이 담당하고, 확장부가요소는 일반 사서들이 담당하는 위키카타로깅의 질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한국 공공도서관의 RFID 시스템과 모바일 서비스 활성화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RFID System and Mobile Service of Korean Public Libraries in Ubiquitous Age)

  • 홍재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9-138
    • /
    • 2005
  • 유비쿼터스 개념은 이미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적용되고 있고, 유비쿼터스 기술은 RFID 시스템과 모바일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중 RFID 시스템이 구축된 15개 공공도서관의 관리자 집단과 RFID 시스템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259명의 이용자 진단을 대상으로 그 구축 및 운영, 시스템의 효율성, 이용의 만족도 기술적 윤리적 문제 등을 설문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20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그 구축 현황과 운영상의 문제점 등을 설문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서의 RFID 시스템과 모바일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커뮤니케이션학 관점에서 본 도서관 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ibrary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33-241
    • /
    • 2011
  • Modern society is heading towards a knowledge & information based society where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valued, or a knowledge creation society where information is analyzed and processed to be used as knowledge. This means that not only individuals but also every organization is always surrounded by information and that we are witnessing a transition into a society where the valu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increasingly higher so sometimes we must actively explore and use the information across the whole social structure involved with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Recently, while the amount of information at public libraries at home and abroad has greatly increased in volume and the kinds have become diverse, efforts for digitalizing and integrating knowledge & information resources are being pursued aggressively. A new paradigm of facilities and space configuration for public libraries is required so that along with traditional library service there will exist integrated links and exchange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and all users will be able to equally access that information. Therefore, assuming that human, information and space are important design factors as to space planning for public libraries, this study compared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structure and the form of exchange of knowledge & information through examples involved with public libraries having opened in the past three to four years from perspectives of space sociology and communication. This is a basic study to provide organized design guidelines about the form of exchange of creative knowledge & inform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the knowledge & information age. Also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a significance in activating communication with users through exchange, creation and experience of knowledge & information, which is a social role that modern public libraries support.

온라인열람목록의 탐색유형과 탐색성과에 관한 분석-국립중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

  • 장혜란;석경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139-16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arch pattern and search outcome of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OPAC users by measuring their success rate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of failure and the personal background which bring about the differences of the search outcome. 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for the study. Personal interview was used to find the pattern of the search, observation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earch process and the failure factors,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personal background of sear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7 days from April 17, 1995 through April 23, 1995. The search of 1, 217 cases, sampling systematically 25% out of the whole us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regard to the pattern, known-item search(72.6%) was preferred to the subject search(27.4%) and in case of known-item search the access point used were in the order of title, author, title and author. Second, the overall success rate of known-item search was 50.3% and the success rates were in order of author and date, title, and author. The failure factors of known-item search were divided into users factor of 67% and the database factor of 33%, respectively. Third, in case of subject search, its overall success rate was 44.1% and the keyword was the major access point, and the average of precision ratio was very low. Fourth, the analysis of the personal background related to the search outcome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the experience of using OPAC, education level, and the frequency of using other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o improve the search outcome : First, the system should be su n.0, pplemented online help function to assist users to overcome the failure during search. Second, user instruction in group or individual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users to understand the system.

  • PDF

청대 전기의 활자인쇄 (The Type Printing of First Ch'ing Dynasty Term)

  • 조형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345-382
    • /
    • 1995
  • The type printing of first Ch'ing dynasty term in China is worthy to be studied because the type printing during that period included metal type, wood type, and clay type as well as the development phase was similar to Chosun dynasty culturally and technologically. This paper studied typography during the first Ch'ing dynasty term, including Shunzhi(1662-1722), Yongaheng(1723-1735), Qianlong(1736-1795), Jiaqing(1796­1820)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main body of type printing was bookstore, lecture-hall, and individual as well as the royal court that is the central government. 2. The content of type edition covers classics, history, philosophy, and literary works. Specifically, even though Wuyingdienjuzhenban series is excluded, the content includs study of the classics, class of the history, class of the philosophy, literature works that include collection works and novel and government official bulletin. 3. The printing technique of bronze type was very popular In Beijing. Jiangsu, and Taiwan. It's scale and production technique was more elaborate than in Ming dynasty. 4. Wood type was very popular in Beijing, Jiangsu, Zhejiang, Anhui, Sichuan, and Fujian. In addition to wood type, chinese ware type was applied to book printing in Shandong. However, most of them were wood type and they were used after Qianlong period. 5. The production technique of type was skilled enough to present the fine view of a style of type. The typesetting technique was improved as much as woodblock printing. With regard to the making technology of Chinese ink, the light and darkness of chinese ink was not even sometimes. But, the technology was improved significantly when comparing with the failure experience of printing that chinese ink was not developed in early type invention. 6. In case that the book was printed in bookstore with the intention of profit and the number of book was large, the proofreading attitude was rough. However, overally, it was made correction carefully applying the various methods of proofreading. 7. The support of government made a great contribution in the area of all printing technology, including production, typesetting, and brushing of type.

  • PDF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도서관과 정보생활』교과의 I·II 영역을 중심으로 - (A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 Gap and Information Literacy)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9-19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가진 경제적 여건의 차이, 즉 교육격차에 따른 기초적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학교별 정보활용교육 경험의 차를 통제할 수 있는 고등학교 1학년 629명을 대상으로 3월에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학교 정보공시에 제시되는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로 학생들의 경제적 여건에 따른 학교별 교육격차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로 설명할 수 있는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강하게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육격차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I II 영역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점수의 회귀방정식을 도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켜 갈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체계적 정보활용교육의 제도화를 통해 이상적인 수준의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함양으로 교육격차를 보다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해소하는 발판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민자치와의 협력을 통한 한국형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Strategies for Improving Communities of Practice in Korea by Cooperating with Residents Autonomy)

  • 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301-326
    • /
    • 2018
  • 이 연구는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환원시키기 위한 매개자인 공무원의 협력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공동체는 가치지향적인 개념으로 현대사회에서는 지역공동체, 실행공동체, 공동체성을 가진 조직 등으로 존재한다. 공공도서관 공동체는 지역공동체의 성격과 실행공동체의 성격을 동시에 띠며,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해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동 단위의 주민자치에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환원시킨다는 목적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공동체의 매개자에게 필요한 공동체 의식, 업무 필요성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의식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업무협력에 대한 필요를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의식이 높거나 주민자치 업무에 많이 노출된 집단은 직무기대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동체에 관련된 업무를 원활하게 협력하기 위해서 공동체 업무에 대한 적극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할 것이다.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경험 및 인식 연구 (A Study on Awareness and Experience of Data Publishing by Scientists)

  • 황혜경;정영임;조성남;서태설;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5-68
    • /
    • 2023
  • 본 연구는 오픈사이언스 연구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공유의 새로운 채널로 인정받고 있는 데이터 출판에 대한 국내 연구자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와 국내 과학기술분야 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와 GeoAI 데이터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 출판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연구자들은 데이터에 대한 설명제공, 데이터로의 안정적 접근, 인용, 동료심사를 통한 품질확인을 데이터 저널의 장점으로 인식하였으나, 연구실적으로써의 데이터 논문 인정에는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또한 데이터 상세설명, 메타데이터 기술, 영구식별기호 부여 순으로 데이터 출판 속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리포지터리에 데이터 제출과 동료심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데이터 출판 촉진 요인으로 데이터 논문작성과 리포지터리 연계를 지원하는 투고심사시스템 개발과 데이터 인용을 지원하는 리포지터리 개발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국내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 경험과 인식은 향후 데이터 출판 서비스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