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Big Data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초

도서관 장서를 위한 재난대책 수립 (Developing the Disaster Plan for Materials in Library)

  • 방준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5-15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and all kinds of library in Korea to develop a disaster plan. The materials in the library are apt to get damaged at once by such disasters as fire or flood etc. It is fortunate that we Have not found any big disaster at libraries in Korean. considering many cases of big disaster which distroy materials at library in foreign countries. In spite of the posibility of disaster any time, that will make librry loss of function, there are no library that have a disaster plan in Korea. Disaster plan is a guidance by which materials are conserved at ordinary times, protected and recoverd in contingency. It consists by four elements: prevention, preparedness, reaction and recovery. As libraries function by biblogrophic data and user data in automation system, it is also recommended to prepare system protection in the disaster plan.

  • PDF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 동향 분석 연구 (Analysis Study on Trends of Library Development Plan by Using Big Data Analysis)

  • 김동석;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5-10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대한 언론보도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시기별 동향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를 통해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텍스트 마이닝 과정을 통해 정제된 단어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및 중심성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제1 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시행되는 동안 도서관 정책의 흐름이 외연적 성장에서 도서관 운영의 내실화 고도화의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었으며, 도서관 시설 확충과 같은 특정 정책에 국한되어 언론보도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으로 대변되는 도서관 정책을 어떤 관점에서 인식하고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비전을 모색하는데 활용되기를 바란다.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트위터 이슈 트래킹 시스템 (Twitter Issue Tracking System by Topic Modeling Techniques)

  • 배정환;한남기;송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9-122
    • /
    • 2014
  • 현재 우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 상에서 수많은 데이터를 만들어 내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와 SNS의 결합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대량의 데이터를 생성하면서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렇게 방대한 SNS 데이터 안에서 사람들이 많이 이야기하는 이슈를 찾아낼 수 있다면 이 정보는 사회 전반에 걸쳐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중요한 원천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SNS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트위터 상에서 어떤 이슈가 있었는지 추출하고 이를 웹 상에서 시각화 하는 트위터이슈 트래킹 시스템 TITS(Twitter Issue Tracking System)를 설계하고 구축 하였다. TITS는 1) 일별 순위에 따른 토픽 키워드 집합 제공 2) 토픽의 한달 간 일별 시계열 그래프 시각화 3) 토픽으로서의 중요도를 점수와 빈도수에 따라 Treemap으로 제공 4) 키워드 검색을 통한 키워드의 한달 간 일별 시계열 그래프 시각화의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는 SNS 상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빅데이터를 Open Source인 Hadoop과 MongoDB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는 빅데이터의 실시간 처리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현재 매우 주요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둘째, 문헌정보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 영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픽 모델링 기법을 실제 트위터 데이터에 적용하여 스토리텔링과 시계열 분석 측면에서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실험을 바탕으로 시각화와 웹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실제 사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소셜미디어에서 생성되는 사회적 트렌드를 마이닝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주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파일 포맷의 1억 5천만개 가량의 2013년 3월 한국어 트위터 데이터를 실험 대상으로 한다.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개방된 도서관 관련 데이터 분석 (A Study about Library-Related Open Data through Public Data Portals)

  • 조재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5-56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개방된 도서관 관련 데이터의 현황을 다각도로 살펴보며, 공개된 데이터의 수준과 공개 주체에 따라 데이터의 활용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공개주체를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및 공공기관으로 구분하여 데이터에 부여된 키워드를 활용해 PathFinder Network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양 주체가 공개한 데이터의 주제 군집과 중심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 및 공공기관이 공개한 데이터로부터는 연구자료 등을 중심으로 4개의 주제군집이, 지방자치단체가 공개한 데이터로부터는 소장자료, 평생교육프로그램 등을 중심으로 8개의 주제 군집이 형성되었으며, 국가 및 공공기관이 공개한 데이터가 학교 및 공공도서관의 단순 현황을 주로 공개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공개 데이터보다 높은 활용도를 나타냈다.

공공대출보상권 제도 논의를 위한 공공도서관 대출 통계 분석 (Analysis of the Loan Statistics of Public Libraries for Discussion of the Introduction of Public Lending Right)

  • 이흥용;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7-238
    • /
    • 2019
  •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공공대출보상권 제도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전국 820개 공공도서관의 대출통계를 분석하여 공공대출보상권 제도의 보상금 산정 논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대출 분석을 위해 국립중앙도서관이 관리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 정보나루'가 제공하는 11억 7,830만건의 대출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공공도서관 대출 통계 분석을 통해 지난 5년간 가장 많이 대출된 도서 상위 125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도서들을 대상으로 저자별 현황, 저자의 국별 현황, 일본 저자의 현황, 출판사별 현황, 학습만화의 대출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Library Services Based on Cloud Computing)

  • 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7-84
    • /
    • 2012
  • 정형, 비정형의 정보자원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른 빅 데이터 시대의 도래와 함께, 도서관에 있어서 정보자원의 효과적인 저장, 관리 및 보존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서 도서관 간의 협업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가고 있다. 이와 같이 도서관을 둘러싼 변화와 도전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방안으로써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 도서관 시스템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 기대효과, 단계별 전략 및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재 도서관 분야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한 사례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에 따른 도서관 적용 분야 및 접근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단계별 접근방법을 통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도입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사회의 도서관 경영 (Library Management in Information Society)

  • 전명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151-183
    • /
    • 1993
  • As many Korean libraries has begun to be automated and become a part of the worldwide, open library system, they need a new man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library management in automated libraries and to establish a theory of the library management in information society, The automated libraries could be well explained by the systems theory and the environment of the libraries could be well explained by the contingency theory, The following hypothesis were set to direct this research. 1. As the libraries are automated and become a part of one big, worldwide library system, the libraries interact closely with the environment so that the library and the environment become one. 2. As the libraries are automated and become a part of one big, worldwide library system, the librarians need to work in the environment for the library networks, standardization of cataloging, or government information policy making. 3. As the libraries are automated and become a part of one big, worldwide library system, the librarians only manage the library, The various other library staffs take over the traditional library services directly related to book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the research done previously, Also the date were collected from the American and Japanese librar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environment of the library integrated all types of the library services such as school library, university library, etc. And it also integrated all the services of the media centers and the press centers, etc. to library services. And the new library services began in the environment. Librarians worked for these new services. In the library, the librarians distingushed the library system from the environment by planning : mission, goal, objectives, policy, procedures and rules. Library organization became temporary such as forming task forces or matrix or free form. The environment controlled the library. Staffs were controlled by plans or computers. And the professional librarians were controlled by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raised outside the libraries. Library leaders brought in the technology to the library from its environment. The librarians led the formal and informal organizations so that the staffs cooperated well in their work. And librarians tought the library procedures to the partime workers or the temporary staffs. Participative management and management by objectives were the means of motivating staffs. Budget was based on the ever changing environment. The zero based budget method was applied. Therfore,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professional librarians become the able managers in the library and global librarians in the environment.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Creation Shared Value Activitie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in Korean-Chinese Library Big Data Service: Focusing on Brand Quality and Social Resistance

  • Dong, JingWe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29-137
    • /
    • 2019
  • 본 연구를 통해 중국과 한국에 있는 도서관의 CSV활동이 브랜드 자산, 사회적 자리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브랜드 자산, 사회적 자리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마지마으로 중국과 한국 집단에 따라 각 변수의 영향관계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 도서관의 빅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사용해본 적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들에게 각 250부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460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타는 통계프로그램 SPSS22과 AMOS22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빅 데이터의 CSV활동이 브랜드 자산과 사회적 자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브랜드 자산과 사회적 자리가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한국과 중국 도서관의 CSV활동의 영향력이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토론 부분을 통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와 향후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제시했다.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 발전방향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 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첨단기술을 적용한 디지털도서관서비스들을 발굴하고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의 국내 도서관 적용가능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을 논하고 있는 주요 논문을 검토할 뿐만 아니라 기술관련 기사 및 논문 등 미래의 도서관에 응용될 수 있는 주요 기술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 핵심적인 기술, 개념, 도구는 클라우드서비스, 무한창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실, 상황인식기술, 구글글래스, 혁명적 디스플레이기술, 개방형의 연결된 콘텐츠제공방식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나 개념을 적용한 구체적인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