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nxiety Scal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Anxiety of Domestic Undergraduate Students)

  • 남태우;박현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1-168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도서관불안 현상을 밝히고 도서관불안의 요인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도서관불안척도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국내 4개 대학도서관 이용자 360명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 후기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대학도서관 이용자들도 도서관불안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도서관 불안감으로 47개 항목을 추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Users)

  • 김보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3-43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다양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면서 느끼는 도서관불안에 대해 측정하고자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K-LAS)를 활용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연령, 성별, 학력, 이용 목적, 이용 횟수, 도서관 규모에 따라 도서관불안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도서관불안을 극복하고 이용 만족도 제고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 해소방안으로 도서관 이용 안내 및 이용교육 실시, 도서관 리모델링을 통한 환경 개선, 직원 확인을 위한 큰글자 명찰 패용 및 이용자 이해 교육, 사용자 경험에 따른 기기 및 장비 설명서 제공 등을 제언하였다.

도서관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Anxiety Scales)

  • 박현영;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99-120
    • /
    • 2006
  •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도서관불안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K-LAS)를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도서관 이용 후기 보고서 분석, 3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한 재측정법을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대학의 재학생수와 도서관 규모를 고려하여 4개 대학을 대상으로, 2005년 9월 3일부터 2006년 3월 23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은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성을 검증하고. Cronbach's ${\alpha}$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K-LAS를 이용하여 도서관의 규모, 이용자의 성별과 학업 연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빈도 등 일반적인 변인들과 도서관불안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6요소 40문항으로 구성된 K-LAS가 개발되었다. 6요소로는 물리적 환경적 요소, 도서관이용 및 지식 요소, 과제 및 연구 요소, 디지털 정보 요소, 도서관 직원에 관한 요소, 심리적 정서적 요소 등으로 설정되었다. 도서관불안과 변인과의 사후검증에서는 도서관 직원에 관한 요소를 제외한 5개 요소는 각 2개 이상의 변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Mindfulness-based Practices in Workers to Address Mental Health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 Quentin Durand-Moreau;Tanya Jackson;Danika Deibert;Charl Els;Janice Y. Kung;Sebastian Straube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3호
    • /
    • pp.250-258
    • /
    • 2023
  •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 techniques in addressing mental health conditions in workers is uncertain. However, it could represent a therapeutic tool for workers presenting with such conditions. Our objective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practices for workers diagnosed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articipants included were workers with a mental health condition. Interventions included any mindfulness technique, compared to any nonmindfulness interventions. Outcomes were scores on validated psychiatric rating scales. A total of 4,407 records were screened; 202 were included for full-text analysis; 2 studies were included. The first study (Finnes et al., 2017) u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associated or not with Workplace Dialogue Intervention (WDI), compared to treatment as usual. At 9 months follow-up, for the ACT group, depression scores improved marginally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0.06, p = 0.021), but anxiety scores were worse (SMD: 0.15, p = 0.036). Changes in mental health outcom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ACT + WDI group. In the second study (Grensman et al., 2018),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mental health scales has been observed after completion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compared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ubstantial heterogeneity precluded meta-analysis. This systematic review did not find evidence that mindfulness-based practices provide a durable and substantial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outcomes in workers diagnosed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