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2.0

검색결과 885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 병원도서관 관련 기준 및 현황 (Guidelines and Status of Hospital Library in Korea: for Patients and Carers)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79-20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병원도서관 관련 기준 및 현황 파악을 위해 선행연구, 도서관법 그리고 한국도서관기준과 IFLA 가이드라인 비교 및 국내 병원도서관 제공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선행연구는 국외에 비해 매우 미흡한 수준이며 도서관법에서도 병원도서관에 관한 법과 기준이 명확하고 자세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도서관연감을 통해서 병원도서관 통계 및 실태를 파악할 수도 없는 상태이다. 한국도서관기준과 IFLA 가이드라인에 있어서도 구성 및 주요 요소에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병원도서관 제공 현황 조사 결과, 조사된 67곳 중 종합병원 49곳(1.3%), 병원 8곳(0.2%), 요양병원 5곳(0.1%), 어린이병원 4곳(0.1%), 군병원 1곳(0.0%) 순으로 병원도서관을 제공하고 있었다. 종합병원 49곳 중 42곳이 상급종합병원인데 이 중 17곳이 병원도서관을 제공하고 있었다. 병원도서관 제공을 위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도서관법, 한국도서관기준의 개정이다. 또한 병원도서관 제공의 의무화, 도서관계 잡지를 통한 홍보, 관련 연구 등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미 대학도서관의 구성요소와 직원규모와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the related factors and the staff size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1-44
    • /
    • 1996
  •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10 factors related to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number of professional staff, nonprofessional staff, and total library staff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case of Korea, there a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total library staff and 7 of 10 variables (coefficient : 0.76-0.99) ; between the number of professional staff and 7 of 10 variables, same as the above (coefficient : 0.76-0.99) ; between the number of nonprofessional staff and 4 of 10 variables (coefficient 0.73-0.93). In the case of America, there a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total library staff and 6 of 10 variables (coefficient : 0.74-0.97) ; between the number of professional staff and 5 of 10 variables (coefficient : 0.78-0.87): between the number of nonprofessional staff and 6 of 10 variables (coefficient : 0.73-0., 96). 2. All the. rank order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wo countries show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results of the Spearman's Rank Order Correlation analysis (coefficient : total staff, 0.9152: professional staff, 0.8667 ; nonprofessional staff, 0.9030) 3. In the case of Korea, among the above factors, correlations of the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and the library expenditur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more than ones of the other fa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merican professional staff, the correlations of the library expenditure, the library materials expenditure and the volumes in librar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more than ones of the other factors, while in the case of American nonprofessional staff, only the library expenditure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more than the others. 4. I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rofessional staff and nonprofessional staff in Korea, the number of graduate enrollments, volumes in library, library expenditure and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show higher positive correlation to the professional staff than the nonprofessional staff. However, in the case of America, the library expenditure and the library materials expenditure show higher positive correlation to the nonprofessional staff than the professional staff, while the university expenditure per student shows higher positive correlation to the professional staff. 5. I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orea and America, in the case of the total library staff, the undergraduate enrollments, the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and the library expenditure show higher positive correlation to Korea than America, and in the case of the professional staff, the graduate, enrollments, the volumes in library and the above 3 factors also show higher positive correlation to Korea than America. But in the case of the nonprofessional staff, the graduate enrollments, the volumes in library and library materials expenditure show higher correlation to America than Korea, while the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shows the o n.0, pposit phenomenon of the above. And the other factors by the type of staff are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 PDF

대학도서관의 OPAC 2.0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A Survey of User Perceptions of OPAC 2.0 Service in Academic Library)

  • 이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9-201
    • /
    • 2012
  • 현재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에서는 Web 2.0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검색엔진의 기능을 온라인목록에 적용시킨 OPAC 2.0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새로운 서비스 제공은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각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OPAC 2.0 이용자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OPAC 2.0 서비스(주요 기능)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이와 관련된 도서검색시 이용하게 되는 이용원 및 그 이유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과 OPAC 2.0 서비스에 대하여 이용자들은 '정확하고 만족스러운 검색결과'를 원하고 있었으며 단순히 '화면이 익숙하고 열람 및 대출이 편리하다.'는 이유로 '소속 대학도서관 온라인목록'을 도서검색 정보원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이용자들의 의견이 고려된 OPAC 2.0 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다.

북마크릿을 활용한 LibraryLookup 서비스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Lookup Services Using Bookmarklets)

  • 구중억;이응봉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9-68
    • /
    • 2006
  • 도서관 이용자에게 장애가 없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OPAC의 접근성, 사용성 및 검색성을 향상시키고, 도서의 검색, 식별 및 브라우징의 도구로써 ISBN의 활용가치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북마크릿은 웹브라우저의 '즐겨찾기에 추가' 또는 '툴바'에 드래그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자바스크립트이다. 그리고 오픈소스인 북마크릿은 웹페이지에서 ISBN을 추출한 다음, 해당 ISBN으로 도서관의 OPAC에서 도서를 검색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검색도구이다. 해외의 도서관 시스템 벤더, 도서관, OCLC등은 이용자가 온라인서점의 웹페이지를 살펴보면서 동시에 도서관의 소장 및 대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는 북마크릿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네 가지 유형의 북마크릿에 대한 적용사례 분석을 통해 북마크릿의 특징과 장 단점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북마크릿의 기본요건과 적용모델을 도출하고, 국내 도서관의 OPAC과 온라인서점에서 북마크릿을 활용한 Library Lookup 서비스 제공방안을 제안하였다.

A One-Size-Fits-All Indexing Method Does Not Exist: Automatic Selection Based on Meta-Learning

  • Jimeno-Yepes, Antonio;Mork, James G.;Demner-Fushman, Dina;Aronson, Alan R.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151-160
    • /
    • 2012
  • We present a methodology that automatically selects indexing algorithms for each heading in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s vocabulary for indexing MEDLINE. While manually comparing indexing methods is manageable with a limited number of MeSH headings, a large number of them make automation of this selection desirable. Results show that this process can be automated, based on previously indexed MEDLINE citations. We find that AdaBoostM1 is better suited to index a group of MeSH hedings named Check Tags, and helps improve the micro F-measure from 0.5385 to 0.7157, and the macro F-measure from 0.4123 to 0.5387 (both p < 0.01).

대학도서관의 온라인목록과 카드목록의 이용자 만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users' satisfaction about online catalog and card catalog)

  • 강미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163-187
    • /
    • 1996
  • The library catalog is considered an important tool to provide library users with conveniences making a search for necessary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ehaviors and attitudes" of library users in a university library using online and card catalogs together, to compare their distinctions between online and card catalogs and then to bring about reform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cataloging, thereby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online catalog and its service expansion. For this, this paper carried out a survey research which was randomly questionaired 280 library users of four universities in Seoul from March 28th to April 16th 1996.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 1. Library users tended to use more online catalog(50.0%) than card catalog (21.9%). 2. The main reasons the library users us online catalog were time saving(24.0%), convenience of use(21.3%), multiple searching possibility (16.2%), and the preferences of card catalog were location of library materials(34.6%), time saving(17.5%), Bibliographic information(14.9%). 3. The major access points which library users utilized mostly in their online catalog are title(30.3%), author(29.2%) and subject heading (17.6%), and for card catalog, title(40.5%), author(34.6%) and call no.(11.1%). 4. The methods library users learned to use online catalog are terminal screen(44.7%), online manual(26.1%), and for card catalog, library orientation(42.6%), librarian's help(18.5%). 5. It was shown that library users were not mostly satisfied about their searching results: the users satisfied with online catalog in the order of partly(46.2%), as expected(42.3%), more than expected(10.4%), and with the card catalog in the order of partly(54.6%), as expected(27.3%), more than expected(10.4%). It was found that although library users preferred online catalog more than card catalog, 54.8% of the total catalog users were not satisfied about the search results they have had. 6. The items which library users want to add to online catalog are catalogs of materials other libraries have(41.6%), catalogs of the materials the library has(29.3%), titles of serial articles(17.7%). And the additional services library users want are checking function of loan materials and reservation of materials(15.5%), subject headings(14.5%), more terminals(13.4%), catalog use explanations(12.9%), multiple access points(11.0%), searching function of contents, abstracts, and indexes(9.6%). Considering the fact that library users tend to use more favorably online catalog than card catalog and the trend that library change from card catalog to online catalog,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su n.0, pply students with formal and informal training programs for online catalog use.talog use.

  • PDF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박재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9-88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 분석을 통한 향후 발전방향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이용현황은 대부분 소설대출이나 개인공부를 목적으로 방문하고, 도서관관련 정보나 행사는 오프라인을 통한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온라인서비스사용기간이나 웹사이트 방문빈도는 낮았으나, 컴퓨터 설치확대와 홈엑세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DB의 기술개선을 요구하였다. 셋째,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사회의 서비스중요성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도서관 운영지표 중 지역서비스의 중요성(m=3.86)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참고데스크(m=2.87), 체크아웃데스크(m=2.41), 컴퓨터가용성(m=2.47) 및 최신자료유용성(m=2.64)에서는 평균값이 3.0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운영정책이 실질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업무에 있어서 워드프로세서의 적용 (A n.0, pplication of the word processor in library work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2권
    • /
    • pp.199-232
    • /
    • 1985
  • Word processor having the functions of a typewriter and a computer together have been used as a powerful tools for office auto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le areas of the word processing a n.0, pplication in the library operations. For the study, the general concept, developmental process, structure, functions, kinds and suggested a n.0, pplicable areas in the library operations of word processor were investigated. Then, the cases of real a n.0, pplications of word processor in the library field were examplified. In conclusion, the areas where word processor can be of benefit to library work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rders of books and periodical acquisitions, 2) On-line searching, and storage and editing of input as required, 3) Production of catalogues, and abstracting and indexing bulletin, 4) Budget control, circulation control, and serial control.

  • PDF

국내 대학도서관의 정보화경영체제 인식차이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for Introduc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on University Library in Korea)

  • 박재용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9-158
    • /
    • 2006
  • 대학조직에서의 대학도서관은 정보화경영을 통한 경영혁신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에 대한 "정보화경영체제"(IM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의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즉, 여기서는 정보화경영체제에 대한 2년제와 4년제 대학간의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표본은 모두 67개 였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정보화경영체제 도입을 위한 인식에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의 결과, 정보화경영시스템의 도입시기와 필요성에 대하여는 F=0.469(p=0.497), sig=0.05. and F=2.410(p=0.125), sig=0.05으로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의 필요성에서는 F=7.470(p=0.008), sig=0.01으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정보화경영체계의 도입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정책수립과 관련하여 표준화되고 일관성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대학도서관에서 정보화경영체제의 도입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함으로써 도서관경영관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시맨틱 라이브러리를 위한 아키텍처 참조 모델 (Architectural Reference Model for Semantic Library)

  • 한성국;이현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5-101
    • /
    • 2007
  • 기술 환경의 변화는 문헌정보시스템의 혁신적인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정보 체계기술과 인터넷 정보기술을 융합된 차세대 문헌 정보 시스템의 원형으로 시맨틱 라이브러리를 정의하고, 시맨틱 라이브러리의 기능적 요구사항과 아키텍처의 참조모델을 제시하였다. 시맨틱 라이브러리는 온톨로지와 메타데이터 기반의 의미적 상호 운용성과 통합을 실현하고 정보 자원의 개방과 공유 참여와 협업을 통하여 이용자 정보서비스를 혁신하는 체제이다. 또한 시맨틱 라이브러리는 FRBR의 논리구조를 근간으로 하여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로 구현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구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문헌정보 시스템의 모델로 6개 수평 계층과 3개 수직요소로 구성되는 시맨틱 라이브러리의 참조 모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