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2.0

검색결과 887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도서관 직원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taff size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159-193
    • /
    • 1994
  •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14 factors related to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number of professional staff, nonprofessional staff, and total library staf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case of 1992, there a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library staff and 10 of 14 variables : the number of undergraduate enrollments, graduate enrollments, departments, faculty members, school employees and volumes in library, size of library building,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and library materials expenditure (coefficient: 0.70-0.99). However, there are littl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library staff and 2 variables : library open hours and university expenditure per student. Among the above factors, the correlations of the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and the library expenditur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more than ones of the other factors. 2. In the case of the analysis by 3 years interval in 1984-1992, there a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total library employees and 7 of the above 9 variables, excepted to library open hours and 4 factors related to expenditure (coefficient : 0.73-0.93 in 1984;0.77-0.88 in 1988;0.70-0-92 in 1992). But there are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y each year. 3. I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rofessional staff and the nonprofessional staff, the number of graduate enrollments, departments, volumes in library and school employees, library expenditure and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show higher positive correlation to the professional staff than the nonprofessional staff. However, the number of undergraduate enrollments, faculty members, volumes added in library and volumes loaned, size of library building and library materials expenditure show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rofessional staff and the nonprofessionalstaff.

  • PDF

대학도서관 2.0에서 사서의 업무 방향 (A Study on Trends of the Librarian's Task in Academic Library 2.0)

  • 이현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7-168
    • /
    • 2007
  • 본 연구는 전통적 업무의 관점에서 웹 2.0이라는 새로운 환경의 대학도서관 사서 업무를 분석하여 전통과 현대를 통합하는 업무개발의 근거를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이용자의 참여로 도서관 서비스를 혁신하는 대학도서관 2.0에서 사서의 업무를 분석한 결과 전통적인 도서관 업무인 $\ulcorner$장서개발과 수서$\lrcorner$$\ulcorner$자원개발$\lrcorner$로, $\ulcorner$분류와 목록$\lrcorner$$\ulcorner$기술개발$\lrcorner$로, $\ulcorner$대출$\lrcorner$$\ulcorner$정보교육$\lrcorner$으로, $\ulcorner$참고봉사$\lrcorner$$\ulcorner$서비스 개발$\lrcorner$로, $\ulcorner$보존$\lrcorner$$\ulcorner$아카이브 구축$\lrcorner$의 개념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사서의 업무는 전반적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보였으며 $\ulcorner$전문성 확장$\lrcorner$에 중요한 사항들은 '협력', '교육문화', '기술능력'이었다.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xt Generation OPAC's Interface and Function)

  • 구중억;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1-8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도서관에서 현행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여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갖추는데 실질적인 기초자료와 도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AC의 개념과 발전과정,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OPAC의 이용자 이용행태, 도서관의 위기인식, 도서관의 OPAC 인식 등에 관한 선행연구와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는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사례분석은 검색창, 검색항목, 검색기법, 정렬기능, 검색결과 디스플레이, 검색결과 피드백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최근에 개발된 국내외 도서관 상용 및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차세대 OPAC의 검색 인터페이스, 검색 기능 및 Library 2.0 서비스 측면에서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도서관에서 현행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Usage of Library Collection, Services & Assistance Among Ophthalmologists - An Opinion Survey

  • Govindarajan, R.;Dhanavandan, S.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39-49
    • /
    • 2020
  • Accurate and reliable Information improves decision making, reduces costs, and saves time. The ophthalmic Libraries supply quality ophthalmic information to the ophthalmologists to serve the patients in a better way and stimulate the growth of ophthalmic field.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usage of library collection, services and assistance among the Ophthalmologists - Eye Doctors in India. A survey method is used to obtain the ophthalmologists' usage of library collection, services and assistance. Through convenient sampling method, a structured questionnaire is circulated to the ophthalmologists in India and 633 ophthalmologists are responded. Among the 633 ophthalmologist, 82.15% of the ophthalmologists use the library collection - book. 73.46% of the ophthalmologists use the online data / journals. 89.73% of the ophthalmologists seek assistance to locate books/articles/documents.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phthalmologists use of Library Service and gender (p value 0.001**).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phthalmologists use of Library Assistance / help and designation category (p value 0.000**).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phthalmologists use of Library Assistance / help and working experience (p value 0.017**). There ex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brary Services (p value 0.009**), Library Assistance / help (p value 0.000**) and institution type. The study results will help the ophthalmic libraries to serve the user better.

대학도서관 시설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ndards for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y building areas)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363-404
    • /
    • 1995
  • This study is to set up a model of minimum and optimum standards for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y building area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inimum standards(proposal) At first, Areas needed by factors of space component are as follows: User space --- 0.45 $m^{2}$ per student. Collection space --- 0.0107 $m^{2}$ per volume Staff space --- 10.1 $m^{2}$ per person Space attached to user, collection and staff space --- 5% of the sum of user, collection and staff areas(0.041 $m^{2}$ per student). Nonassignable space --- 25% of the sum of user, collection and staff areas (0.21 $m^{2}$ per student). Next, the formula to calculate the total area of the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y building is as follows: N = 0.45T $m^{2}$(a) + 0.0107V $m^{2}$(b) + 10.1S $m^{2}$(c) + 0.05(a+b+c) $m^{2}$, NS = 0.25N $m^{2}$. 2. Optimum standards(proposal) At first, Areas needed by factors of space component are as follows: User spae --- 0.64 $m^{2}$) per student. Collection space --- 0.01 $m^{2}$ per volume Staff space --- 9.7 $m^{2}$ per person Space attached to user, collection and staff space --- 5% of the sum of user, collection and staff areas(0.073 $m^{2}$ per student). Nonassignable space --- 25% of the sum of user, collection and staff areas(0.38 $m^{2}$ per student). Next, the formula to calculate the total area of the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y building is as follows: N = 0.64T $m^{2}$(a) + 0.01V $m^{2}$(b) + 9.7S $m^{2}$(c) + 0.05(a+b+c) $m^{2}$, NS = 0.25N $m^{2}$.

  • PDF

웹 2.0 기반 교수 강의.연구지원 학술정보서비스 모델 개발 -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 (The Modeling of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in Order to Support Lecture and Research Activities for Faculties-Based Web 2.0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57-1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질적인 향상 및 이용자 중심적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와 미국의 주요 대학도서관들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수의 교과목 강의 및 연구활동을 지원하는 관련 프로그램을 조사 비교 분석 평가하여 이를 벤치마킹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학도서관 실정에 적합한 교수의 교과목 강의와 연구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웹 2.0(또는 라이브러리 2.0) 관련기술을 적용한 학술정보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제반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이용자관점에서의 도서관 2.0 서비스 활용현황과 활성화 방안 - 폭소노미 서비스를 중심으로 - (Current Usage and Proliferation of Library 2.0 from User Viewpoint: Focusing on Folksonomy)

  • 김성원;김정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69-288
    • /
    • 2013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진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들을 등장시키고 있으며, 도서관을 비롯한 정보관리분야에서도 새로운 기법들을 적용한 서비스의 개발과 제공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새로운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된 서비스들을 진화된 웹 서비스라는 관점에서 '웹 2.0'이라는 용어로 통칭하고 있으며, 이러한 웹 2.0의 기법이 적용된 도서관서비스를 '도서관 2.0'으로 특정하여 부르기도 한다. 기술적인 진보를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급변하는 정보환경 속에서 도서관의 가치와 역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이다. 국내외 도서관들도 새로운 기법을 적용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해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제공되는 서비스들 가운데 일부는 이용자의 관심과 호응을 얻지 못하고 저조한 사용률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도서관 2.0 서비스의 하나인 폭소노미 서비스의 제공현황과 그 활용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이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어린이.청소년 디지털도서관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ing the Digit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th)

  • 곽승진;강지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9
    • /
    • 2007
  •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의 구성을 위하여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도서관의 사례를 살펴보고, 디지털도서관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검토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제 어린이 디지털도서관과 LG 사이언스랜드를 사례분석하고 디지털도서관에 응용 가능한 Web 2.0에 기반한 새로운 도서관 2.0 기술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도서관을 설계하기 위하여 인포메이션 아키텍체에 기반한 네비게이션, 레이블링 시스템, 검색 시스템, 디자인 및 인터페이스, 콘텐트를 제시하였으며, 도입 가능한 도서관 2.0 등 신기술 등에 대한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활동의 경제모형 연구 (A search for economic model in library activities)

  • 정영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231-252
    • /
    • 1994
  • Library authorities are responsible for allocating its resources to best achieve library goals. This means the question of benefits and costs for library activities, as well as a n.0, pplication of economic theory to it. To consider these, this study dealt with theoretical analysis: 1) the nature of economic models, 2) economic theory to library activities, 3) and its a n.0, pplicability. However, economic model method allows us to use an analytic technique that is founded on library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us, its major contribution is creation of a framework or system for maximizing the efficient library activities.

  • PDF

OPAC 접근 향상을 위한 도서관 툴바의 제공 및 사서 평가 연구 - W대학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The Implementation of Library Toolbar and Librarian's Evaluation for Improving Accessability of OPAC)

  • 이현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57-1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OPAC 이용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도서관 툴바를 구현하였다. 도서관 툴바의 설계를 위해 OPAC을 중심으로 중요도가 높은 기능을 도서관 툴바의 구성요소로 도출하였다. 툴바의 구현은 툴바 구현방식을 비교 조사하여 원하는 툴바의 기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독자형으로 개발하였다. 사서들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도서관 툴바의 기능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사서들이 툴바 수정에 제시하는 의견을 수용하여 수정 툴바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향후, 수정된 툴바를 도서관 이용자에게 사용하게 한 후,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가 파악되고 수용이 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