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검색결과 15,841건 처리시간 0.032초

조선총독부 도서관 분류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Library Classification)

  • 여지숙;오동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93-319
    • /
    • 2004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관립도서관이며 국립중앙도서관의 전신인 조선총독부도서관에서 사용한 분류표에 관한 것이다. 조선총독부 도서관 분류표는 신서부, 고서부, 양서부의 세 개 분류표를 편찬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당시 관립도서관이었던 조선총독부도서관분류표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조선총독부 도서관 분류표와 관련 있는 분류표를 비교 분석하여 그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 PDF

국가 수준의 도서관 계획을 기반한 학교도서관의 교육공동체 협력 방안 (A Plan to Cooperate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School Library Based on the National Level Library Plan)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9-15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과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주요 연계점으로 학교도서관이 교육공동체에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기본계획과 종합계획 사이에서 18개의 연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계점에서는 관종별 도서관이 교육공동체에 협력해야 하며, 학교도서관이 통로 역할을 해야 한다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었다. 학교도서관의 교육공동체 협력 방안으로 관종별 도서관 전문성 강화, 학교도서관 교육과정 설정을 제시하였다.

도서관학 교육의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으 교과과정분석을 중심으로-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1-29
    • /
    • 1981
  • Educational chang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 & IS) at Keio university in Japan, standard of L & IS established by Japanese university educational committee, and trend of library science education in three Korean university were comparatively studied. For the efficient conduct of investigation, the art of states of L & IS was also considered. By the influence of American education, public library-oriented Japanese curriculum had changed to special library-oriented curriculum. Late 60's information science was introduced to their curriculum, library science which based upon information science theory endeavor to make its own field in a n.0, pplied science as harmoniz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w. Korean library science education begun with university library-oriented curriculum, accepted speci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t almost same time in late 60's. It gave rise to many problems to organized systematic library science. Consequently, it have needed to harmonize these two fields in near future, reorganize curriculum based on this harmonized knowledge and acquire the consensus about fundamental essence of library science education further.

  • PDF

미국의 병영도서관의 발전과정과 한국전쟁 중의 병영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Process of Military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S. Armed Forces library Services during the Korea War)

  • 송승섭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7-273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진중도서관 설치 운동'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병영도서관의 의의와 발전과정을 미국의 병영도서관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의 병영도서관의 역사와 한국 전쟁동안에 있었던 미군의 병영도서관 활동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다음, 미국의 병영도서관 조직, 설치현황과 도서관서비스 프로그램 내용을 조사하였다.

  • PDF

기초자치단체의 도서관조례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Library Ordinances in Lower Tier Governments)

  • 정현태;정미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5-122
    • /
    • 2013
  • 기초자치단체에서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 관련조례는 모두 321개로 조사되었다. 그중에서 도서관운영조례가 185건(57.6%)으로 가장 많고, 작은도서관조례가 54건(16.8%), 새마을이동도서관조례 24건(7.5%), 독서진흥조례 29건(9.0%), 기타 관련조례 29건(9.0%) 등의 순이었다. 도서관조례는 지방자치제도가 본격화된 1996년 이후 제정되어,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새마을이동도서관조례는 1990년대에 주로 제정되었고, 작은도서관조례와 독서진흥조례는 2009년 이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도서관조례는 사업의 목적을 분명히 하기 위해 도서관이란 명칭이 반드시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다. 장차 도서관조례는 공공도서관, 작은도서관, 새마을이동도서관, 독서진흥 등 유사분야 조례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정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f K University's Library Service

  • Noh, Young-Hee;Choi, Min-Ju;Choi, Yong-Wog;Jeong, Sin-Won;Jung, Eun-Ji;Kang, Mi-So;Kim, Jin-Young;Lee, Kyung-Won;Lee, Sung-Jae;Oh, Seon-Hye;Park, So-Yeon;Shin, Sung-Chul;Suh, Da-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61-79
    • /
    • 2011
  • This study purposed to discover whether or not academic libraries reflect these changing roles. We selected K University as the research target and surveyed user satisfaction of materials, staff services, facilities, electronic devices, media, and so 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of University K was on the high side, 2) the primary purpose of using the academic library was associated with learning or reading, therefore, the most used library spaces were related to that, 3) the most used library materials were 'general books', the most unused were 'reference books', 4) the most preferred way to obtain needed materials when failing to find wanted materials was 'Contact librarian'. A similar phenomenon occurred in terms of facility use, 5) university K's users were usually satisfied with the loan policy, 6) the rate of users who don't know whether there is user education was very high, the rate of users who have no experience with user education was extremely low. These research findings can be referenced by library management to improve libraries' service quality and take advantage of complex spatial configurations.

한국인의 일상에서 도서관의 의미 (Meanings of Library in the Daily Life of Korean)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5-5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일상에서 도서관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논점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는 한국인의 도서관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기존 조사와 연구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 도서관계의 통계조사와 학술연구가 한국인의 도서관 인식을 이해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는 한국인의 도서관 인식을 상대적 관점에서 평가하면서 그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도서관이 서구의 library를 모델로 삼아 발전해 왔음을 고려하면서, 서구인의 library 인식에 비교해 가며 한국인의 도서관 인식에서 드러나는 특징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셋째는 한국인의 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쳐온 토착적(구조적) 요인을 파악하고 '인식의 혁신'을 위한 방책을 강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서구의 library와 한국의 도서관 사이에 실재하는 기능의 차이와 역량의 차이에 주목하면서, 도서관이 한국인의 일상에서 '유용한 의미'를 갖는 시스템이자 제도이자 문화로 진화하기 위한 실효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 도서관의 컴퓨터 기술 도입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mputerization of the Korean Libraries)

  • 전명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7권
    • /
    • pp.161-201
    • /
    • 1989
  • 1. Introduction Korean society is moving toward an information society in 2000. At present a few Korean libraries are computerized and networks between libraries have yet to be formed. And there is no study done on the computerization of the Korean libraries. Therefore, this study will attempt to find elements that influence the computerization of Korean libraries.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three parts. 1) Survey on the present status of computerized Korean libraries. 2) The influencing factors for Korean library computerization on the level of organization. 3)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the access to the computer information on the level of librarians. 2. Hypothesis The basic hypothesis of this research is from the theory of the innovation of organization by Moch. He found that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specialization of the staffs, the task differenti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decision making were the underlying influence for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From this theory, hypothesis were formulated as follows. 1) The size of the library influences the library computerization. 2) Specialization of the librarians influences the library computerization. 3) Differentiation of the library services influences the library computerization. 4)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fluences the library computerization. 3. Collection of the data Questionnaires were sent to 21 computerized libraries among which were 8 experimental group and 7 other controlled group librarie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July 1988. 4. Findings 1)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library computerization. -Korean libraries are computerized mostly in cataloguing. -The computer technology gate-keepers are mainly librarians. -The computerization budgets are not specifically allocated or funded by the organization but librarians made decisions to allocate library budget for the computer application. Gradually, more libraries are being funded specially for library computerization. 2) Factors that influence library computerization. -The size of the western books and the number of western periodical subscription influence the library computerization. -The number of annual book increase influences library computerization. -The number of annual book use influences library computerization. -The number of annual library users does not influences library computerization. - The size of the library budget influences the library computerization. -Librarian's specialization influences the library computerization. -Differentiation of library service influences the library computerization. Information servi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library computerization while data service is not related to the library computerization. -Decentralization of decision making in library service influences the library computerization.

  • PDF

공공도서관 건립.운영에 대한 컨설팅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Plan of Consulting System fo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Public Library)

  • 정현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5-275
    • /
    • 2008
  • 최근 어린이도서관, 작은 도서관 기적의 도서관 등 소규모 도서관이 증가하면서, 도서관건립운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는 도서관컨설팅시스템의 구축이 요망되고 있다.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잠재적 수요는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사회적 경험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도서관컨설팅서비스가 공공기관에 의해 공공서비스로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서관전문가의 관련 위원회 참여와 도서관 정책제언 활동을 통한 도서관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ies by the Library Professionals' Participation on Library Related Committees and Advocacy)

  • 배창섭;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7-309
    • /
    • 2009
  • 21세기 다원화된 사회에서 도서관의 발전을 위해서는 도서관인 스스로가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 발전을 위해 많은 도서관인들이 함께 참여 할 수 있는 영역으로 도서관 관련 위원회 활동을 제안한다. 도서관전문가들이 도서관 관련 위원회에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다른 위원들을 대상으로 도서관과 사서배치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이해시키고 도서관 정책제언을 한다면, 이러한 활동이 개별 도서관과 더 나아가 국가 전체의 도서관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전문가들의 공공 및 대학도서관 운영위원회 그리고 학교도서관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을 통한 도서관 발전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