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ucocyte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5초

Herb Mix® 첨가가 이유자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 Mix®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 이우선;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21-328
    • /
    • 2007
  • 자돈 사료에 지황, 당귀, 작약, 감초, 오미자, 천궁으로 조제된 한방생약제제 Herb Mix(허브바이오 Co.)의 첨가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분내 미생물균총 그리고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총 4주간의 사양실험을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실험동물은 약 4주령 3원 교잡종(Y×L×D) 이유자돈 45두(거세돈)를 공시 하였으며 대조구, Herb Mix 0.15% 첨가구 그리고 Herb Mix Gold 0.15% 첨가구 등 3처리구에 처리당 5반복, 반복당 3두씩 대사케이지에 완전 임의로 배치하였다. 2차 시험은 1차와 같은 연령과 품종의 이유자돈 48두(거세돈)를 공시하였으며 대조구, Herb Mix 0.1%, 0.2% 그리고 0.3% 첨가구 등 4처리구에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3두씩 배치하였다. 1차 실험의 결과, 일당증체량은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p<0.05) 개선되었으나 Herb Mix와 Herb Mix Gold 첨가구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2차 실험의 결과,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에 있어서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나 첨가구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1차 시험에서는 건물과 NFE에서 유의적으로(P< 0.05)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낮았으며 2차 시험에서도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IgG 함량과 WBC수는 1, 2차 시험 모두 대조구에 비해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모두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으며 스트레스 지수(SI)도 감소하였다. 분 내 균총수는 1, 2차 실험 모두 E. coli 수는 한방제제 첨가구들이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Lactocbacilli 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우스에서 $IL-1{\beta}$가 염증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BI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IL-1{\beta}$ UPON INFlAMMATION IN MOUSE)

  • 윤덕상;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11-626
    • /
    • 1998
  • 이 연구는 염증반응에서 $IL-1{\beta}$의 생성을 관찰하고, $IL-1{\beta}$가 조직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여 염증반응에서 $IL-1{\beta}$의 역할을 검토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실험동물은 웅성과 자성 마우스 각각 100마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음의 3단계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리포다당(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한 염증발현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면역 B-세포에 대한 영향평가, 세포독성 없이 최대의 $IL-1{\beta}$를 생성할 수 있는 LPS의 양 결정 및 LPS투여로 생성되는 조직의 $IL-1{\beta}$를 동정하는 실험의 결과, LPS는 B-림포세포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높였으며, 10-50${\mu}g$ 투여로 세포독성 없이 $IL-1{\beta}$를 최대로 생성함을 나타냈고, 여러 장기의 조직 에서 $IL-1{\beta}$를 생성시키나 특히, 구강조직과 관절활액세포에서 많은 양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 2. 관절강에 50${\mu}g$의 LPS를 투여하고 $IL-1{\beta}$$TNF_{\alpha}$의 경시적 생성량 변화를 관찰하는 실험에서, $IL-1{\beta}$는 투여 2시간 후에 증가되기 시작하여 4-5시간 경과 후에 최고농도에 도달하고, 점차 감소하여 24시간 경과 후에는 미량만이 존재하였으며, $TNF_{\alpha}$는 투여 1시간 경과 후에 증가되기 시작하여 2-3시간 경과 후에 최고농도에 도달하고, 그 이후에 감소되기 시작하여 6시간 경과 후에는 미량만이 검출되었다. 3. $IL-1{\beta}$를 정상조직에 투여하여 $IL-1{\beta}$의 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관절강에 투여하여 leucocyte의 수가 투여 4-5시간 경과 후에 최고치에 도달하고 36시간 경과 후에 대조군 수치에 도달하였으며, 세포기질인 proteoglycaqn의 소실은 15시간 경과 후 시작되어 45-60시간 경과 후에 최대이었고, 90시간 경과 후에 대조군 수치로 복귀함이 관찰되었으며, 구강조직에 투여하여 cyclooxigenase 대사산물(prostandin $E_2$)의 축적이 일정농도 한계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PS로 유도된 마우스 관절염 활액에서 $IL-1{\beta}$는 염증반응 초기의 수 시간이내에 생성되어 4-5시간 경과후에 최대양이 생성되며, 염증 조직에서 leucocyte(염증세포)의 침윤, proteoglycan의 소실 및 cyclooxygenase 대사산물($PGE_2$)의 축적을 유도하는, 즉 염증반응을 중재하는 사이토카인 중의 하나임이 확인되었다.

  • PDF

Beta-Glucan과 MOS의 복합제($Safmannan^(R)$)와 복합 생균제($World-Labs^(R)$)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Safmannan^(R)$(Beta-Glucan & MOS) and $World-Labs^(R)$ (Multiple Probiotics) on the Performance, Nutrient Availability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Broiler Chicks)

  • 우경천;정병윤;이문구;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1-158
    • /
    • 2006
  • 본 실험은 Beta-glucan과 MOS의 복합제 $Safmannan^(R)$과 복 합생균제 $World-Labs^(R)$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대조구에 $BMD^(R)$ 처리구, $Safmannan^(R)}$ 처리구 그리고 $World-Labs^(R)$ 처리구 등 4 처리구로 두었다.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생산성에 있어서는 처리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 동안에 밝혀진 선행 실험들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생산지수에서 $BMD^(R)$ 처리구 가장 높고 다음으로 $Safmannan^(R)$ 처리구와 $World-Labs^(R)$ 처리구였으며 대조구가 가장 낮았다. IgG, ND titer 그리고 장내 균총들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백혈구 및 적혈구 계통의 혈액 분석 결과는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World-Labs^(R)$ 처리구와 $Safmannan^(R)$ 처리구들은 $BMD^(R)$처리구와 대조구에 비해 leukocytes와 RBC 가 전반적으로 적었으며,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MCH)과 혈색소 농도(MCHC)는 높았다. 이렇게 뚜렷한 혈액 성분 분석치의 차이에 대한 임상 및 생리학적 의의는 앞으로 규명해야 할 과제이다. 장내 미생물의 결과는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괴사성 장염을 유발하는 Cl. perfringens가 $World-Labs^(R)$ 처리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영양소 이용율에서는 일부 아미노산과 조지방의 경우 $BMD^(R)$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조섬유의 경우 $World-Labs^(R)$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코발트-60 감마선(線) 조사(照射)가 흰쥐의 혈액성분(血液成分) 및 수종(數種)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balt-60 Gamma Ray Irradiation on Blood Cells and Enzyme Activity of Albino Rats)

  • 이상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8권2호
    • /
    • pp.47-63
    • /
    • 1985
  • 암수 흰쥐에 Cobalt-60 gamma선(線)을 200R, 400R, 600R, 800R, 1,000R, 1,200R, 1,300R. 1,400R, 1,500R, 1,600R 조사군(照射群)으로 나누어 1 일(日), 3 일(日), 5 일(日), 7 일(日)후에 나타나는 혈구(血球)의 수적(數的) 변화(變化)와 acid alkaline phosphatase (ACP ALP), lactic acid dehydrogenase (LDH),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GPT)등의 효소(酵素) 활성(活性)의 변화(變化)를 측정(側定)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적혈구(赤血球) 수(數)의 변화(變化)는 200R 조사군(照射群)에서 암수 모두 3일군(日群)에서 최저치(最低値)를 나타내고 5일군(日群)과 7일군(日群)에 이르면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백혈구(白血球) 수(數)의 변화(變化)는 모든 조사군(照射群)에서 1일군(日群) 이후(以後) 급격히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혈소판(血小板)의 수적(數的) 변화(變化)는 대체로 암수 모두 조사후(照射後) 1일(日)과 3일(日)에는 큰 변화(變化)를 보이지 않지만 5일(日) 이후에 급격한 감소현상을 보였다. 2. ACP의 활성도(活性度)는 암수모두 조사후(照射後) 3일(日)에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減少)하였고, ALP의 활성도(活性度)는 조사후(照射後) 5일(日)부터 감소(減少)하였다. LDH활성도(活性度)는 암수 모두 3일(日), 5일(日)부터 감소(減少)하였다. GOT활성도(活性度)는 암수 모두 1일(日)에는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가 3일(日)에서부터 감소(減少)하였다. 그리고 GPT활성도(活性度)는 숫컷은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하여 큰 변동을 볼 수는 없었다. 암컷에서는 600R, 800R, 1,000R에서 3일(日) 이후 증가(增加)된 경향(傾向)이다. 3. 1,200R 이상의 고선량(高線量) 조사(照射)에서는 4일(日)후 전부(全部) 치사(致死)하였으며 1,600R 조사(照射)에서는 3일후(日後) 전부(全部) 치사(致死)하여 고선량(高線量)의 조사(照射)에는 민감한 생체(生體) 반응(反應)을 나타내었다.

  • PDF

생약제(Herbs, Plant Extracts)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Herbs and Plant Extract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우경천;김찬호;남궁연;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52
    • /
    • 2007
  • 육계 사료에 허브와 식물체의 추출물의 첨가가 생산능력, 영양소 소화율, 장내 미생물, IgG, 혈액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차례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은 대조구, 항생제($Aviilamix^{(R)}premix-avilliamycin$ 0.02 %) 0.03%구, Herb M (Herb $mix^{(R)}$-지황 10%, 산약 10%, 당귀 20 %, 오미자 5%, 감초 5%, 천궁 10%) 0.2%구, Plant extract B(BIOSTONG $510^{(R)}-Anise$ Extract 20%, Thyme Extract 17%, Quillaja 30%) 0.02%구, Plant Extract A($APEX^{(R)}$ - garlic, anise, cinnamon rosemary, thyme, Talin등 50%) 0.02%구 등 5개 처리구를 두었다. 시험 2는 대조구, 항생제($Aviilamix^{(R)}$premix- avilliamycin 0.02%) 0.03% 구, Plant Extract D($Digestarom^{(R)}$-peppermint oil, gentian, horse-tail herb, saponins, oak bark 50 %) 0.02 %구, Plant extract P($Phellozyme^{(R)}$ -Kilmora lavan extract, bromelain extract, bioflavonoid, propolis 15%) 0.1%구, Plant Extract G($Galicin^{(R)}$-allicin 10%) 0.05%구, Plant Extract C(CRINA $POULTRY^{(R)}$-cinnamon, lemongrase, savory, rosewood, spearmint, tea) 0.05%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시험 1은 1일령 육계($Ross^{(R)}$종) 1,000수(암 수 각각 500수)를 공시하여 5처리 4반복 반복당 50수(암 수 동수) 씩을 floor pen(가로: 2.0 m, 세로: 2.4 m)에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2는 1일령 육계($Ross^{(R)}$종) 240수(암 수 각각 120수)를 공시하여 6처리 4반복, 반복당 10수(암 수 동수) 씩을 케이지(가로: 35.5 cm, 세로: 45 cm, 높이: 55 cm)에 완전 임의배치하여 각각 35일간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 생산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고 herbs M구가 가장 높았다. 시험 2에서 $4{\sim}5$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항생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다. 시험 1의 RBC와 적혈구 용적 (HCT 또는 PCV), Hb는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2의 BA는 대조구보다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혈청 IgG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장내 미생물 균총과 영양소 이용율은 처리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한방제와 생약제제는 육계에서 항생제를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혈액의 성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개량 한방제제(Herb Mix Gold®) 첨가가 산란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Recipe Herb Mix Gold®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Birds)

  • 이우선;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7-42
    • /
    • 2007
  • 한방제제 Herb $Mix^{(R)}$(Herb BIO Co.)에 당귀, 작약, 천궁을 강화한 개량 한방제제(Herb Mix $Gold^{(R)}$)의 상대적 효능과 적정 첨가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45주령 산란계(Hy-Line Brown) 720수를 대조구 포함하여 총 6개 처리구로 처리당 6반복 반복당 10케이지, 케이지당 2수씩 수용하여 난괴법으로 배치한 후 5주간의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T1), Herb $Mix^{(R)}$ 0.2% 첨가구(T2), Herb Mix $Gold^{(R)}$ 0.1% 첨가구(T3), Herb Mix $Gold^{(R)}$ 0.2% 첨가구(T4), Herb Mix $Gold^{(R)}$ 0.3% 첨가구(T5) 그리고 항생제 $Avilamycin^{(R)}$ 2%를 함유한 $Avilamix^{(R)}$ (CTC BIO Co., Ltd)를 0.03% 사용하여 6 ppm 첨가구(T6)를 두었다. 실험 결과 산란율은 Herb Mix $Gold^{(R)}$ 0.2%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P<0.05) 다음으로 Herb Mix $Gold^{(R)}$ 0.3% 첨가구, Herb $Mix^{(R)}$ 0.2% 첨가구, Herb Mix $Gold^{(R)}$ 0.1% 첨가구, Avilamycin첨가구 그리고 대조구 순이었다. 산란 지수도 산란율과 같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P>0.05). 난중, 연파란율,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과 계란의 품질 평가 항목인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 색깔, Haugh unit 및 난황 색깔에서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장내용물 중 Cl. perfringens와 E. coli의 수는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고 Lactobacilli의 수는 Herb Mix $Gold^{(R)}$ 첨가구들이 높은 경항을 보여주었다(P>0.05). 백혈구 (WBC) 수와 heterophil(HE)의 경우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으며 림프구 (LY)의 경우 모든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Stress indicator로 알려진 HE/LY는 Herb Mix $Gold^{(R)}$ 0.2% 첨가구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P>0.05). 적혈구나 헤모글로빈은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Herb Mix $Gold^{(R)}$ 0.2%구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 생산성 개전을 위해 Herb Mix $Gold^{(R)}$ 0.2% 첨가가 적당하다고 사료되며, 이는 선발 원료로 강화된 한방제제가 장내 미생물 균총, 혈액 내 백혈구 및 적혈구 수에 유익하게 미치는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β-Glucan 제제들이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 성상과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β-1,3-glucan Supplements on the Performance, Blood Parameter,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박광월;이아름;이인영;김미경;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3-190
    • /
    • 2008
  • 본 실험은 Beta-glucan 제제들이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실험은 40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72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36수씩 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일조+조명:16 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 $BetaPolo^{(R)}$ (미생물 발효 ${\beta}-glucan$, 수용성)구, $HiGlu^{(R)}$(미생물 발효 ${\beta}-glucan$)구, $OGlu^{(R)}$(Oat ${\beta}-glucan$)구 그리고 $BGlu^{(R)}$(Barley ${\beta}-glucan$)구 등 5처리구로 두었다. 생산성에 있어서 일계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en-housed egg production에 있어서 OGlu구가 HiGlu 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모든 ${\beta}-glucan$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계란 품질에 있어서 난각 강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beta}-glucan$ 처리구들이 유의하게 높았고 그 중에서 BGlu구가 가장 높았다. 난각색과 Haugh unit는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는데 특히 OGlu구가 가장 낮았다. 혈액성상에 있어 leucocytes는 전반적으로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Erythrocytes 중 적혈구 용적율(HCT)과 평균적혈구용적(MCV)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MCV는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beta}-glucan$ 처리구중에서 OGlu구가 leucocytes와 erythrocytes 수준이 가장 높았다. 소장내 미생물 균총도 처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Cl. perfringens 의 경우 모든 ${\beta}-glucan$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난황내 IgY 함량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시험 마지막 5기에 ${\beta}-glucan$ 처리구 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내 IgG, IgA 함량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산란계에 ${\beta}-glucan$ 제제들의 급여가 사료 요구율과 난각 강도를 유의하게 개선시켰는데 혈액성상, 장내 미생물 균총, 면역 기능 등에 순기능적 개선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Bacillus Calmette-Guerin (BCG) 투여가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생쥐 샘창자 상피세포의 DNA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cillus Calmette-Guerin (BCG) on the DNA Synthesis of Mouse Duodenal Mucosal Epithelial Cells Inoculated with Ehrlich Carcinoma Cells)

  • 고정식;김흥노;박경호;박대균;김덕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193-200
    • /
    • 2010
  • 이 실험은 Ehrlich 종양세포를 샅부위에 이식한 후 고농도의 BCG(Bacillus Calmette-Guerin)를 피부밑조직에 반복 투여하였을 때, 샘창자점막의 형태학적 변화와 함께 DNA합성지수를 비교 연구하고자 3H-thymidine을 투여한 후 자기방사법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5 g 내외의 ICR 흰생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종양대조군과 BCG투여군의 동물에는 샅부위 피부밑조직에 각각 $1{\times}10^7$의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하였다. BCG투여군은 종양세포이식 다음날부터 농축 건조된 BCG를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다음, 일정량을 하루건너 한 번씩 7회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다. 종양대조군은 종양세포이식 후에 생리식염수를 하루건너 한 번씩 7회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고, 정상대조군은 종양세포를 이식하지 않은 동물을 사용하였으며 각 군에는 5마리씩의 동물을 배정하였다. 자기방사법적 관찰을 위하여는 약제를 마지막으로 주사한 다음날 3H-thymidine $0.7{\mu}Ci$/gm를 꼬리에 한차례 정맥주사하고, 70분 후 도살하여 샘창자조직을 떼어내어 10% 포르마린으로 고정하였다. 관찰은 샘창자조직이 세로로 잘 절단된 창자움 부위를 택하여 점막근육판을 따라 점막길이 3.5mm의 창자샘상피에 분포하는 3H-thymidine 표지세포의 수를 계수하였으며, 일반조직 관찰을 위해서는 hematoxylineosin (H-E)염색을 시행하였다. 일반조직관찰에서 종양대조군과 BCG투여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샘창자 점막 고유판에 림프구와 호산성백혈구가 다수 관찰된 것 이외에는 형태적으로 큰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자기방사법적 연구에서 정상대조군, 종양대조군 및 BCG투여군은 점막길이 3.5 mm 당 출현하는 표지세포수가 각각 632.3 (${\pm}14.47$), 761.7 (${\pm}27.65$) 및 505.0 (${\pm}17.09$)개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생쥐에 BCG를 반복 투여하면 샘창자 점막상피세포의 DNA합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면서도 형태적인 변화가 경미하였으므로 BCG는 항암치료시 항암효과를 높일 수 있는 좋은 약제라고 생각된다.

혼합(混合)된 식품첨가물(食品添加物)이 흰쥐의 생리(生理)에 미치는 상승적(相乘的) 독성(毒性)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f the Additional Toxicity of Mixed Food Additives to Rat)

  • 정호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2호
    • /
    • pp.71-97
    • /
    • 1975
  • To improve the food qualities in Korea, two hundred and fourtynine kinds of food additives have been allowed in food processing, of which one hundred and nineteen kinds could be used under the limitted conditions. Hence, in practical uses in food processing, many kinds of them are mixed at random within the permitted amounts for their special purposes. For last several years, many kinds of the food additives were prohibited because they have been proved to be toxic even with the single dose. Until recently a few studies on the toxicity in the mixture of food additives were reported, however, they were shown to be no severe additional effect on the anima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e if any elevation of chronic or subacute toxicity of food additives occur especially when they are mixed with each other, using three kinds of food additives (DHA, AF-2, BHT) most widely used as food preservatives, antiseptics and antioxidants. One hundred and fifty young male rats were taken and divided into ten feeding groups, one first control group (food additives blank), three second control groups (DHA 0.1%, AF-2 0.1%, BHT 0.5%), three mixture groups of low level (mixture of each 60% of two second control level) and three mixture groups of high level (mixture of each 90% of two second control level). As the methods of biological and clinical tests, the change of body weight (growth rate), daily intake of diets, organ to body weight ratio,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organs, hematological observation, liver and kidney function tests were checked three times during the periods of 24 week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low level group of DHA, AF-2 mixture and DHA, BHT mixture revealed a little retardation in growth rate than the first control group, however, they were similar to the second controls, while all the mixture groups of high level showed a more remarkable retardat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s. 2. Average daily intake of the diets was the same in each group, showing a similar decreasing tendency (70-100g/kg of body weight)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rate. It was observ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taste and appetite in each group of rats. 3. Abnormal enlargements of kidney and lung were not seen in all the mixture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s, while a slight hepatomegaly was observed in all mixture groups of low level as in the second controls. Significant differences (almost 1% level) were observed between the high level groups and the first control group. 4. Histopathological effects of the food additives on lung, kidney and liver tissues were found in all mixture group of high level. The less frequencies of the same effects were also seen in the low level groups. 5. The esterified cholesterol to total cholesterol ratio in the mixture groups of high level showed a little lower values, and the activities of serum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nd alkaline phosphatase decreased almost with significance of 5% level compared with the first control group. The serum A/G ratio in the mixture groups also decreas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liver function was decreased in the mixture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s. 6. In all groups throughout the test period, kidney functions (concentration of protein and creatinine excreated per hour in urine and renal filtration rate) were shown almost as normal as the first control. 7. Average values of hematocrit, erythrocytes and leucocytes in the mixture groups were in the normal ranges as in the controls, which denotes that the production of blood cells in bone marrow were also normal in all groups. With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when the food additives (DHA, AF-2, BHT) were given together to the rats in several combinations even in less amount, they showed more toxic signs than the single doses.

  • PDF

알코올로 인한 흰쥐의 백혈구 및 간 DNA 손상에 미치는 미더덕과 오만둥이 분말의 보충섭취 효과 (Ethanol Induced Leucocytic and Hepatic DNA Strand Breaks Are Prevented by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Supplementation in Male SD Rats)

  • 김정미;박해룡;이승철;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271-1278
    • /
    • 2007
  •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독특한 향과 맛이 있는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나 경상남도 마산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해양생물이다. 한편, 과량의 에탄올 섭취는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MEOS)에 의한 에탄을 산화를 증가시켜 superoxide ion,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1-hydroxyethyl radical과 같은 활성산소종을 생성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를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보충투여가 과량의 에탄을 투여로 인해 유도되는 간기능 관련 지표와 간세포 및 백혈구 DNA손상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SD계 수컷 쥐를 세 군으로 나누어 6주간 25% 에탄을 용액을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면서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식이의 3%(w/w) 수준으로 보충투여하였다. 6주간의 미더덕과 오만둥이 투여는 체중증가 량, 식이 및 에탄을 섭취량, 간을 비롯한 각종 장기무게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미더덕과 오만둥이 보충투여는 총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혈장 지질 수준에는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지만, 혈장 ALT, ALP, LDH 활성 등 간기능 관련 지표들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과량의 에탄을 섭취로 유도된 흰쥐의 백혈구, 간세포의 DNA손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세포 DNA 손상도는 혈장 ALP와 LDH 활성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미더덕과 오만둥이 분말의 보충투여는 알코올 섭취로 인해 유도된 간조직 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간의 TG와 TBARS 수준은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GTP의 첨가가 간에서의 GSH함량 및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의 1일 변중의 총 지방 및 TG 배설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OVX-C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OVX-C군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난소 절제 흰쥐에서 5% GTP를 제공받은 군에 비해 20% GTP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군에서 혈액과 간에서의 지질농도 감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높은 수준을 보여 GTP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난소절제 흰쥐에서 GTP 첨가가 변의 총지질과 TG및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켜 혈청과 간의 총 지질 농도와 TG및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GTP의 섭취가 체내 총 지질 농도를 감소시켜 항 동맥경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녹차가공품의 폐경기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용적중 등 품질 평가 기준에서 차이가 없었다.50 에서는 43% 발효주에는 0.95 cm, 45% 고은 발효주에는 0.95 cm의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관능평가에서도 가장 높게 났다. 관능평가에서는 45% 고온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항산화성 실험에 나타난 저온 45%의 갈색도의 측정과는 항산화성에서는 좀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항균성이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