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tinus edodes mycelia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7초

표고버섯의 영양요구성 및 약물내성주의 분리 (Isolation of auxotrophs and drug resistant mutants of Lentinus edodes)

  • 김채균;심미자;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35-141
    • /
    • 1996
  • 맛과 향이 탁월하며 항암작용을 지닌 표고버섯 Lentinus edodes의 균사체 균질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돌연변이주를 유도, 선발하였다. 자외선 조사시 생존율은 3분 조사시 2.45%, 10분 조사시 0.024%이었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돌연변이주 선발율은 0.40%이며, ethidium bromide (EtBr) 농화 법에 의해 glycerol 함유 배지에서 자라지 못하는 균주 34종을 선발하였다. 독립영양형으로 되돌아가는 비율은 $4.81{\times}10^{-4}{\sim}8.46{\times}10^{-4}$이었다. 돌연변이 주의 영양요구성을 검정하여 다양한 amino acid, nucleic acid, vitamin 요구성 균주를 선발하였다. 항진균성 약물의 MIC는 cycloheximide 2.0 ug/ml, p-fluorophenylalanine 1000 ug/ml, benomyl 2000 ug/ml이었다. p-fluorophenylalanine 1000 ug/ml에 내성 균주 5종과 benomyl 1000 ug/ml에 내성인 균주 8종을 선발하였다.

  • PDF

Reutilization of Enokitake Cultural Waste as Lentinus edodes Cultivation Substrate

  • Chai, Jung-Ki;Lee, Sung-Jin;Kim, Young-Ju;Wi, Kye-Moon
    • Plant Resources
    • /
    • 제3권3호
    • /
    • pp.226-232
    • /
    • 2000
  • The availability of enokitake cultural waste for Lentinus edodes cultivation was investigated, although hardwood sawdust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substrate for this fungus. Firstly,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waste were analysed. Secondly, mycelial growth characteristics and fruiting yields of L. edodes on waste treated in some methods were determined.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nokitake cultural waste showed that the millwaste complex was a little degraded by enokitake fungus and suggested the probability that most component lost by enokitake could be rice bran. Mycelia of L. edodes grew and fruited well on waste supplemented by fresh rice bran and Quercus sawdust although didn't on waste only. Mycelial growths of these fungi on waste were accelerated when supplemented by rice bran to the percent of 40(w/w) but decreased or suppressed at above ratios(30, 40%, w/w). Supplementations of oak sawdust at above 40%(w/w) of the waste and rice bran at 20%(w/w) of the sawdust allowed such a good mycelial growth as to be selected as a pertinent mixing ratio for fruiting medium. A fruiting yield on enokitake cultural waste supplemented by oak sawdust (at 40% of the waste, w/w) and rice bran (at 20% of the sawdust, w/w) was not inferior to that on oak sawdust supplemented by rice bran only (at 20% of the sawdust, w/w). These results indicated strongly the potentiality of enokitake cultural waste as raw materials for shiitake cultivating substrates.

  • PDF

참나무류(類) 칩을 이용(利用)한 표고버섯 재배(栽培) (On the Mushroom Cultivation of Oak(Quercus spp.) Chip)

  • 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1호
    • /
    • pp.7-14
    • /
    • 1993
  •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mushrooms and the economic efficiency of mushroom cultivation, the pinchips(PC) and sawdusts(SD) of three Korean oak species were tested as cultivating media for Lentinus edodes with varing the composition of the med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rganic acids(tannic acid and citric acid), which were added in the PC medium to enrich the quality of mushrooms, did not increase the growths of the mycelia and the quality. 2. The mushrooms were able to be harvrested from six months after beginning the cultiv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qualities of the mushrooms produced by various treatments. 3. The production rate of mushroom was relatively high with, 28.4~29.3% (700~730gr./2,500gr pack). The net profit estimated was about 1,450 won per pack.

  • PDF

표고버섯 균사체 식이섬유 소재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the Dietary Fiber Prepared from Lentinus edodes Mycelia)

  • 이병우;김태종;최수현;임근형;유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7-150
    • /
    • 1995
  • 새로운 DF 소재 개발을 위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발효 후 산출되는 식이섬유의 물리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일반성분의 함량은 조단백질 16.16%, 조지방 2.96%, 조회분 3.25% 그리고 탄수화물은 77.63%로 나타났으며 total dietary fiber는 54.5%이었다 물리적 특성으로 40 mesh pass에서 보수성은 7.39g water/g sample이며, 보유성은 2.03g oil/g sample이다. 또 $40{\sim}80{\;}mesh$에서 보수성은 평균 7.80g water/g sample이며, 보유성은 2.77g oil/g sample로 나타났다. 한편 안정제로 사용되는 pectin을 첨가한 점도변화에서 식이섬유의 입자크기에 관계없이 pectin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이다.

  • PDF

목분 첨가 액체배양에 의한 잣버섯 및 표고 균사배양의 촉진 효과 (Eeffect of Wood Xylem Flour in Liquid Culture on Mycelial Biomass of Lentinus lepideus and Lentinus edodes)

  • 이위영;안진권;박응준;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5-50
    • /
    • 2008
  • 잣버섯 균사체의 액체배양을 촉진하기 위해 소나무 목분의 첨가배양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소나무의 여러 부위 중 목부의 목분에서 균사체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분을 액체 배양에 첨가하기 위한 전처리로서는 알카리 처리 조건에서 균사체 생장이 우수하였으나, 전처리를 하지 않아도 균사체 배양 촉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체배양 배지에 적정한 목분의 분말도 $200\;{\mu}m$ 이하로 낮을수록, 목분의 첨가 농도는 0.5%(w/v)로 또한 배지내의 탄소원인 glucose 농도는 10 g/l로 하는 조건에서 균사체 생장 촉진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양 조건에서 표고버섯 균사체를 배양한 결과도 균사배양 촉진 결과가 우수하여 액체배지에 목분 첨가에 의한 다른 목재부후균의 균사체 배양 촉진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버섯 균사체에 의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Antiturmor Activitie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Mycelia of Mushroom)

  • 권석형;김춘년;김철용;권석태;박기문;황보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21
    • /
    • 2003
  • 버섯 균사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Th1 cell 증식효과 및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단백다당체 시료는 영지버섯, 아가리쿠스, 표고버섯, 운지버섯, 그리고 상황버섯을 10$0^{\circ}C$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는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Th1 cell의 세포증식을 조사한 결과, 10mg/$m\ell$ 농도에서 모든 시료가 40% 이상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종류의 암세포를 이용한 암세포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mg/$m\ell$ 농도에서 P388D1와 L1210에서 아가리쿠스는 2.4%와 39.7%, 표고버섯은 48.4%와 52.5%의 생존율을 보였다. Sarcoma 180으로 복수암을 유발시킨 마우스에게 아가리쿠스와 표고버섯으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를 섭취시킬 경우 생존율이 27~40%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지와 표고의 융합체의 면역활성 증강작용 (Immunostimulating Activity by Protoplast Fusants between Ganoderma Iucidum and Lentinus edodes)

  • 문철;현진원;김하원;심미자;김병각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8권2호
    • /
    • pp.199-205
    • /
    • 2000
  • On the inter-order protoplast fusants of Lentinus edodes and Ganoderma lucidum was the antitumor activity test performed and the fusant P22 was selected.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cultured mycelia of P22 were purified by DEAE-cellulose chromatographya and the resulting purified fraction was designated as P22A. It was found to be a proteoglycan whose molecular weight was 47 kDa. When examined for immunopotentiation activity, P22A increased the number of colony forming unit in the bone marrow stem cells to 3-folds. It also potentiated the secretion of nitric oxide in activated macrophages to 2-folds. In humoral immune response, it increased the activities of the alkaline phosphatase in differentiated B cells to 1.6-folds and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s to 1.8-folds. In cellular immune response, it restored the depressed response of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in tumor bearing mice to normal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22A have potential to restore the decreased immune activity of the tumor bearing mice to normal level.

  • PDF

표고버섯 균사체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의 항암효과 (Anti-tumor Activity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Mycelia of Lentinus edodes)

  • 이병우;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65-671
    • /
    • 1998
  • 한국산 표고버섯(Lentinus edodes SR-1) 균사체를 액체배양한 후 균사체로부터 추출, 정제한 PBP의 항암효과 및 면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PBP의 항암효과는 in vitro 배양에서 암세포의 배수시간을 2배로 연장하는 활성단위 1 unit은 mouse leukemic cell인 $P_{388}$$L_{1210}$의 경우 1 mg 정도였으며, 인체의 장암세포인 HCT-48, HRT-18, HT-29 및 간암세포인 Hep G2의 경우 각각 4.4, 3.6, 6.6, 2.6 mg이었다. 그리고 $P_{388}$$L_{1210}$의 경우 배지 1 mL당 4 mg 정도, HRT-18 및 HT-29, Hep G2의 경우 9 mg의 PBP를 첨가했을 때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P_{388}$$L_{1210}$, HCT-48, Hep G-2의 PBP 처리에 따른 암세포의 크기 분포도 변화는 PBP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리고 PB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적은 쪽으로 이동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 대조군보다 PBP를 첨가한 군에서 비장의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용혈반 형성실험에서 PBP를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항체 형성세포가 2배로 증가하였다.

  • PDF

식용(食用)버섯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분리(分離)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Protoplast Isolation from Edible Fungi)

  • 유영복;존 페버디;유창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1985
  • 고등균류의 유전연구와 균주개발을 위한 원형질체 조작의 기초 연구로서 몇가지 주요 버섯류의 원형질체 분리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 ostreatus와 V. volvacea의 원형질체 분리에 알맞는 효소는 ${\beta}-D-Glucanase+Novozym234+Snail enzyme$이었으며, 삼투압 조절제로는 0.6M $MgSO_{4}$였고, 이들을 Na-Maleate buffer로 pH 5.8에 조절하여 사용했을때 가장 많은 원형질체를 생성하였다. 2. P. ostreatus, P. florida, P. sajor-caju는 MCM에서 각각 4, 5, 3일간 배양한 균사체에서, L. edodes, F. velutipes는 PDA 배지에서 각각 2일과 5일간 배양했을때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A. bisporus와 V. volvacea는 분리량이 극히 적었다. 3. V. volvacea의 균사체에 2-mercaptoethanol의 전처리는 효과가 없어 원형질체 분리는 적었으며, 액체배양 보다는 agar 배지상의 cellophan방법이 원형질체 분리에 있어서 효과가 좋았다. 4. 균사체에 효소처리후 1시간 부터 원형질체가 분리되면서 점차 증가하여 9시간경에 가장 많은 원형질체를 얻었으며, 시간이 갈수록 액포화현상으로 원형질체의 크기가 커졌다.

  • PDF

항암성과 향미가 개선된 재래식 버섯균사체메주의 제조 (Preparation of Mushroom Mycelia-cultured Traditional Meju with Enhanced Anticaricinogenicity and Sensory Quality)

  • 김영숙;박철우;김석종;박숙자;류충호;조현종;김정옥;임동길;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86-993
    • /
    • 2002
  • 항암성과 향미가 개선된 기능성 재래식 버섯균사체메주는 버섯균을 액체배양하여 재래식메주의 각 면에 5개씩 만든 구멍(1X3 cm)에 버섯균배양액을 메주 무게의 10%를 접종한후 $25^{\circ}C$에서 4주간 배양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버섯균사체 메주 중 상황, 영지, 또는 신령버섯균사체메주가 항암성과 향미완화능이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