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Involvemen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초

청소년 놀이공간으로서 사이버 세계에서의 자기개념: 초, 중, 고, 대학생을 중심으로 (Leisure activity and self-concept of adolescents in cyberspace: With specific focus o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 박영신;김의철;탁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1호
    • /
    • pp.81-113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사이버 환경실태와 활동내용 및 활동시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청소년 놀이공간으로서 사이버 환경을 이해하고, 이러한 사이버 세계에서 청소년의 자기개념을 학교별 성별로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1,388명(초 337, 중 326, 고 361, 대 364; 남 696, 여 692)이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환경실태를 보면 청소년 대부분(96.9%)이 집에 컴퓨터가 있었고, 집에 컴퓨터가 있어도 PC방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사이버 활동내용으로 PC방 이용형태를 분석한 결과는, 청소년의 70.3%가 PC방에서 게임을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정보검색, 채팅, 사이버 커뮤니티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 활동시간으로서, 1주일 평균 온라인 게임하는 시간은 5.43시간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현저하게 많이 하였다. 1주일 평균 정보검색 시간은 2.60시간이었으며, 대학생이 가장 많이 하였다. 1주일 평균 채팅하는 시간은 1.69시간이었으며, 학교별 성별 차이가 없었다. 1주일 평균 인터넷 사용하는 시간은 9.65시간이었으며, 초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점차 많이 사용하였다. 1주일 평균 컴퓨터 사용하는 시간은 총 10.91시간이었는데, 학교별로는 초 중 고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욱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사이버공간에 있을 때의 자기로서,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재미있다를, 고등학생과 대학생은 평소와 같다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이외에도 여가활동을 한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이 부각되었다. 다섯째, 인터넷에서 게임할 때의 자기는, 학교별로나 성별로 모두 재미있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 몰입한다. 거칠어진다, 평소와 같다 등이 지적되었다. 여섯째, 인터넷에서 채팅을 할 때의 자기도, 학교별로나 성별로 모두 재미있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 관심없다, 평소와 같다, 채팅안함, 대화한다 등이 부각되었다. 일곱째, 인터넷에서 친한 친구와 교류할 때의 자기도, 학교별로나 성별로 모두 재미있다가 과반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 대화한다, 평소와 같다, 가까워진다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 청소년들에게 친숙한 놀이공간으로 작용하고 있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자기개념으로 재미라는 요소가 가장 특징적으로 부각되었다.

  • PDF

교육박물관에서의 "교육문화 페스티벌" 개최를 통해 본 가족 참여 교육 가능성 고찰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Family Particpation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Culture Festival" at the Educational Museum)

  • 엄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45-553
    • /
    • 2018
  • 최근 여가 문화 비중이 날로 증가하면서 레저 관광 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와 동시에 질 높은 문화 향유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초 중 고 자녀들의 견문 넓히기를 위해 주말이면 나들이를 떠나는 인구 비중 역시 문화 향유 기대치와 비례하여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관람객의 주말 가족 단위 여행을 통한 체험은 휴식과 놀이는 물론 교육적인 목적을 포함한 활동이기를 기대한다. 최근 교육 프로그램은 과거 아이들만 현장에 맡기는 탁아형에서 벗어나 부모가 교육 활동에 개입하는 공유형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이며, 가족간 결속과 가족 탄력성이 은연중에 스며들도록 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실현이 매우 중요해졌다. 교육의 효과는 한순간의 경험으로 끝나는 마침표가 아니라 반복된 훈련과 경험의 연속성을 통해 발현된다. 가족 간의 긴밀한 친화력과 소통, 공감 능력도 마찬가지이다.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체험과 교육의 기회 제공은 가족해체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결속력 회복을 위한 국가차원의 책무이다. 나아가 오늘날 박물관 미술관의 역할이자 의무이며 이를 통해 가족 결속력, 가족 친화력을 북돋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나 교육박물관에서의 교육적 목적 실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은 필수적이며, 사회적 차원의 '가족을 위한 교육'개발은 필연적이다. 본 고에서는 교육박물관에서의 가족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온가족 참여 교육 결과를 가족 대상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해보고 보다 적극적인 가족 형태의 교육활성화를 제고하고자 한다.

수술적 방법으로 유도된 3단계 발목염좌에 대한 전침의 진통기전 연구 (The Mechanism for Analgesic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Surgical Ankle Sprain Model Classified as Grade 3 in Rats)

  • 양승범;최석준;이성호;김민수;손인철;김재효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0권4호
    • /
    • pp.220-229
    • /
    • 2013
  • Objectives : Electroacupuncture(EA) has been used effectively in producing analgesia on ankle sprain pain of humans and animals. Currently to examin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EA-induced analgesia, the effects of EA on weight-bearing forces(WBR) were examined at ankle sprain classified as grade 3 in rats. Methods : The severe ankle sprain classified as grade 3 was induced surgically by ankle ligament injury in the Sprague-Dawley rats. WBR of the affected foot were examined to evaluate effects and mechanism of EA(2 Hz, 1 ms pulse width, 2 mA intensity, for 15 min) which was applied to either SI6, GB34, or GB39 acupoints. The rats were pretreated with naltrexone(10 mg/kg, i.p.) as an opioid receptor antagonist or phentolamine(5 mg/kg, i.p) as an ${\alpha}$-adrenoceptor antagonist at 30 min before EA. Results : The daily repeat EA at either SI6, GB34, or GB39 showed significant analgesic effects on the severe ankle sprain. Particularly, daily EA at GB34 showed more potent analgesic effect than the others. In addition, the naltrexone pretreatment completely blocked the analgesic effect of EA at GB34, indicating the involvement of the endogenous opioid system in mediating the effect of EA at GB34. However, the phentolamine pretreament blocked analgesic effects of EA at either SI6 or GB39, indicating the involvement of ${\alpha}$-adrenoceptors in mediating the effect of EA at either SI6 or GB39. Conclusions : These data suggest that EA-induced analgesia on ankle sprain pain is mediated through either endogenous opioids or ${\alpha}$-adrenoceptors dependant on acupoint specific pattern.

기부캠페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유형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 Ways of Charity Campaigns - focused on a Classification of Charity Case Studies)

  • 박진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27-234
    • /
    • 2017
  • 기부문화가 활성화되지 못한 한국에서 기부는 아직도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경제적인 여유나 시간적인 여유를 가진 사람들의 몫이라는 선입견이 팽배하다. 게다가 몇몇 기부단체들의 비리로 인해 기부금의 쓰임새에 대한 불신 또한 많은 사람들이 기부를 주저하게 하는 이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부에 대한 불신과 잘못된 시각에 대한 인식개선과 함께 사람들이 행동의 변화로 기부에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부 캠페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기부 캠페인 성공사례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각 유형별 특징을 토대로 기부문화 확산과 정착을 위한 기부 캠페인의 제작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재미와 즐거움이 제공되었을 때 공감하고 기부로 이어지는 효과가 좋았다. 또한 기부과정이나 결과를 투명하게 보여 주는 것이 신뢰를 형성하고 지속성 있는 기부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관광서비스 종사원의 소진 현상과 대처 전략 (Burnout and Coping Strategies among Tourism Service Employees)

  • 김판영;송성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03-115
    • /
    • 2008
  • 연구의 목적은 소진 현상과 대처전략에 대한 모형을 국외여행업체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소진현상(감정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과 직무만족, 이직 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고, 대처 전략의 각 유형들이 소진 현상과 직무 태도와의 영향 관계에 어떠한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조절 변수로 사용된 대처전략의 변수로는 사회적 지원, 자아 존중감, 그리고 여가 활동의 참여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여행사 직원들이 겪게 되는 소진 현상과 대처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에서는 국외여행업체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증 조사를 통한 연구 결과에서는 소진 현상을 경험하는 종사원들은 직무 불만족을 경험하게 되며, 회사를 옮기고자 하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 유형(사회적 지원, 자아 존중감, 여가 활동)은 소진현상과 직무만족과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 현상을 감소하기 위한 감정의 조절과 여가 활동의 참여 등이 필요하며, 사회적 지원 등의 대처 전략이 필요하다.

여성 베이비부머의 사회참여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Female Baby Boomers)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1호
    • /
    • pp.89-11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female baby boomers. The key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in what kind of activities do female baby boomers engage as social participation? The in-depth interview was used with 11 female baby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55 to 1963. The interview text were analyzed by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type of social participation was having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and the other were participating in religious activities, learning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and on-line club activities. Second, social participation gave them meanings such as joy,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of seeing the new world as well as opportunities to make up low sense of self-esteem formed in their young age. Third, they were considering it was time to change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e cases who were actively engaging in social participation considered old age as 'the process of reducing social participation'. Some other cases considered to 'share hobbies with spouse', and to 'achieve new goals and dream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baby boomers started their social participation in their middle ages when they became free from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 level of the involvement in social participation was reduced in their old age. Surprisingly, some interviewees planned to accomplish their dreams and goals that they haven't achieved yet. These differences among the cases could be attribu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ity, birth order, economic a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to the social relationship.

실버층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Group Lifestyle and Selection Attributes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s)

  • 이명숙;김숙응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6-295
    • /
    • 2015
  • Objective: This experiment is to study how elderly group and their various lifestyles interact with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their selection behavior. Different lifestyles will be observed closely, as well as how different health conditions and consumer involvements will affect critical decision making in selecting health functional foods. Method: Theories and discoveries from original advanced research were compared parallel to the new study. Results: First, cluster analysis and exploratory analysis were performed amongst different elder lifestyles. Lifestyle exploratory analysis was used for healthy, unique, leisure, and economical-style elders. Cluster analysis was used for material trend oriented, health oriented, complacent oriented-style elders. Health Functional Foods' selection trai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product's originality (function, uniqueness, specialty, compatibility, distributor, expiration date), quality (amount, daily dose, visual representation, accessibility, portability, natural ingredients), and popularity (product container, brand image, taste and smell, advertised product, domestic or import, well-known function) were the three main causes. Secondly, the amount of benefits for the elderly group health lifestyle were affected by 'Interest in health', 'Notability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and 'Functionality approved mark'. Specifically, the importance of, 'Interest in health', 'Notability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Functionality approved mark' were noticeably high within health oriented elders. Lastly, after examining the data from elder lifestyle's relationship with health functional food selection trait, all three different results showed equal importance. If you closely examine material trend oriented elderly group, selection trait showed distinctively high regards in 'Fundamental Attribute', 'Typical Attribute', and 'Cognitive Attribute'. Health oriented elders showed their distinctively high regards in 'Natural Attribute', and less consideration in 'Typical Attribute' and 'Cognitive Attribute'. Complacent oriented-style elderly group showed less focus on 'Fundamental Attribute', and even less in 'Typical Attribute', and 'Cognitive Attribute'. Health oriented elderly group concluded with above data from the fact that they showed most importance and involvement in health beneficial products that are scientifically proven. Material trend oriented elderly group showed balanced traits in their concluded data, showing that they prefer function, safety, as well as the brand image and their reputation. Also, they consider the products' outer elements, such as design and product name, in order to sense inner functions. Conclusion: So, Silver Business corporations must develop products to fulfill the market demands, and strategize marketing plans to better target the correct audience.

영국의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검토 (Review of Communal Housing for the Elderly in the UK)

  • 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49-6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review communal housing in the UK, 2) to consider the policy implications for elderly communal housing in Korea. The research methods used were 1) literature review about communal housing and related policy in the UK 2) field survey in the UK 3) interpretative suggestion for the proper policy implication to develope communal housing for the elderly in Korea. Sheltered housing in the UK had been developed as communal housing for the elderly with special needs since the 1970s. The type of sheltered housing were category 1 and category 2. Very sheltered housing with more facilities and meal services was added in 1980s. Sheltered housing was evaluated as the most humanistic solution for older people in the UK in 1980s. Because of the policy of moving institutional care to community care, sheltered housing became less in demand because of more options for older people including being able to stay in their own home. So new completion of sheltered housing by registered social landlords reduced saliently. Sheltered housing already totalled over half million units in which 5% of all elderly over 65 still lived and a small quantity of private sector for sale schemes emerged in the 1990s. The reason why the residents moved to sheltered housing was for sociable, secure, and manageable living arrangements. In general th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these characteristics but dissatisfied with the service charge and quality of meals, especially in category 2.5 schemes. The degree of utilisation of communal spaces and facilities depended on the wardens ability and enthusiasm. Evaluation of sheltered housing indicated several problems such as wardens duty as a \"good neighbour\" ; difficult-to-let problems with poor location or individual units of bedsittiing type with shared bathroom ; and the under use of communal spaces and facilities. Some ideas to solve these problems were suggested by researchers through expanding wardens duty as a professional, opening the scheme to the public, improving interior standards, and accepting non-elderly applicants who need support. Some researchers insisted continuing development of sheltered housing, but higher standards must be considered for the minority who want to live in communal living arrangement. Recently, enhanced sheltered housing with greater involvement of relatives and with tied up policy in registration and funding suggested as an alternative for residential care. In conclusion, the rights of choice for older people should be policy support for special needs housing. Elderly communal housing, especially a model similar to sheltered housing category 2 with at least 1 meal a day might be recommended for a Korean Model. For special needs housing development either for rent or for sal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sector and long term and low interest financial support for the private sector must be developed in Korea. Providing a system for scheme managers to train and retrain must be encouraged. The professional ability of the scheme manager to plan and to deliver services might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 of elderly communal housing projects in Korea.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a public health care service, the development of leisure programs in Senior Citizens Centre, home helper both for the elderly in communal housing and the elderly in mainstream housing of the community as well. Providing of elderly communal housing through the modified general Construction Act rather than the present Elderly Welfare Act might be more helpful to encourage the access of general people in Korea. in Korea.

  • PDF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Green Belt Community Support Program)

  • 이미홍;윤정중;윤인숙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317-332
    • /
    • 2013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시행된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주민 공무원 등 관련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향후 구체적인 제도개선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통계 자료를 통해 주민지원제도 현황을 연도별, 권역별, 사업유형별로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해관계자인 주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제도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지난 10년 동안 주민지원사업은 총 2,007건에 5,839억 원의 국비가 집행되었다. 지원항목 별로는 생활편익사업이 1,949건에 5,646억원으로 96.7%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879억원(총사업비 3,207억원)으로 전체의 32.5%를 차지하고 있어 지원 사업 유형 및 지역에 다소의 편중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민 370명, 공무원 6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주민지원 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과거보다 증가하였으나, 생활비용 직접지원 확대, 주민 참여의 활성화, 새로운 주민지원사업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개선 방안으로는 주민소득 창출을 위한 특성화 마을 조성, 역사와 전통 자원을 활용한 경관보전계획 수립, 인근 도시민과 여가를 같이 할 수 있는 공간 조성,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노인맞춤형 사업 등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특성화사업은 공모를 통해 차별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와 같은 내용은 개발제한구역 중장기 계획에 반영되어 점차적으로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 요인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장주연;박소희;설아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711-723
    • /
    • 2021
  •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제재로 인해 일상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 활동의 참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산림 휴양 활동 참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으로서 녹지공간 방문, 숲 야외활동, 산촌 여행에의 참여가 모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유형의 산림 휴양 활동에서 20대보다 40~60대의 참여가 더 크게 감소하여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숲 야외활동 참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도권 거주자들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산촌 여행 참여가 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코로나19 이후 산림 정책은 2030세대의 새로운 산림 휴양 수요에 대응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서의 산림과 산촌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제공과 공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