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gibility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6초

VDT 환경에서 누진렌즈와 단초점렌즈 착용자의 한글 읽기능력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Korean Letters Legibility of Progressive Lens Wearers and Single Focus Lens Wearers under the VDT Circumstance)

  • 구혜연;김달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5-202
    • /
    • 2012
  • 목적: 누진렌즈의 착용이 VDT 환경에서 한글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VDT 환경에서 50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누진렌즈와 단초점렌즈를 착용시키고 웹문서를 읽으면서 지정된 글자를 찾도록 하였다. 피검자들이 웹문서를 읽는데 걸리는 시간과 지정된 글자를 찾지 못하고 누락시킨 숫자를 측정하여 가독성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누진렌즈를 착용했을 때와 단초점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측정 결과를, 글자 크기와 가독성, 그리고 웹문서의 너비를 변수로 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누진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웹문서를 읽는 시간이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고 증가하였으며 찾지 못하고 놓친 숫자의 증가 또한 일부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글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글자 자체의 가독성이 낮을수록, 웹문서의 가로 너비가 넓을수록 누진렌즈에 의한 가독성의 저하가 심해지는 대체적인 경향성이 나타났다. 결론: 시야가 좁은 누진렌즈의 중간부는 VDT 환경에서 한글의 가독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 조명 조도가 스마트폰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ixel density, sub-pixel structure, luminance, and illumination on legibility of smartphone)

  • 박종진;이형철;김신우
    • 감성과학
    • /
    • 제17권3호
    • /
    • pp.3-14
    • /
    • 2014
  • 2009년 아이폰의 국내 출시 이후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여 기존에 다양한 장비로 수행되어 오던 작업이 스마트폰으로 대체되었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을 통하여 글자를 읽는 과제를 수행하는 비중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인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요인(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과 환경 요인(조명 조도)이 글자를 읽을 때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화소 밀집도로, 화소 밀집도가 300 PPI미만인 경우 글자를 읽는데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명 조도는 제한적인 영향을 보였다. 참가자들은 조명 조도가 변화 할 때 변화하지 않을 때 보다 더 큰 가독성 관련 불편감을 보고하였다. 화소 하부구조와 밝기는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가독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에서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해상도의 하한선을 제안하였다.

근거리 동일 시력에서 연령에 따른 농약 제품 표시 글자의 가독성 평가 (Legibility Evaluation of Words Used in Pesticide Products According to Age in Same Near Visual Acuity)

  • 황해영;송영웅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60
    • /
    • 2015
  •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legibility in different age groups (young and old) with same near visual acuity and to provide preliminary guidelines for the text sizes in the pesticides products based on the legibility experiments. To achieve the objective, legibility evalu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different age(20s, 50-60s), gender, font type(thick gothic-type and fine gothic-type), thickness (plain and bold), and number of syllables(2 and 3 syllables) in the same near visual acuity(0.6). The results showed that legibility 50s was higher than 20s. And 20s are appealed higher discomfort than 50s. Considering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14 pt or larger characters (100% readable size) should be used the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toxicity, and the minimum character size was 7 pt (50% readable size) for other information.

음절수, 폰트, 색 대비, 표시 형태, 글자 크기, 연령대가 한글 문자 정답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yllable Number, Font Type, Color Contrast, Display Type, Letter Size and Age Group on the Legibility of the Korean Characters)

  • 송영웅;임창욱;이인석;정명철;모승민;공용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2-100
    • /
    • 2009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syllable number(one, two), font type(gothic, myung), color contrast (black on white, white on black), display type(paper, LCD), age(20s, 60s) and character size(2~80pt) on the Korean characters' legibility. Total twenty subjects from two age groups (20s: n=10, 60s: n=10, five male and five female in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legibility test. A target panel was presented in the distance of 50 cm, and subjects conducted a reading tests for, in total, 16 treatment conditions (full combination of syllable number, font type, color contrast and display type). Results showed that two-syllable words revealed better legibility than one-syllable character. The main effects of the age, display type, font type, color contrast, and character siz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Paper showed better legibility than LCD, particularly in the 20s and in the character sizes of less than 9pt. Gothic revealed more correct answers than Myung, particularly in the 60s, paper, and white on black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Korean characters' minimum legible size standards. For example, the minimum legible size for the Gothic and black on white characters presented in the paper should be 5pt for 20s and 1lpt for 60s if the 75% correct reading(3 correct answers in this study) was applied for the legibility criterion.

안개농도와 표출크기에 따른 가변형 속도제한표지의 판독거리 분석 (Analysis of Legibility Distance of Variable Speed Limit Sign from Different Display Sizes and Fog Density)

  • 조성범;이상수;김철용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5-7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안개발생시 가변형 속도제한표지의 크기와 휘도에 따른 판독거리의 변화에 관한 현장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안개상황 모의 환경을 구축하였고, 속도제한표지의 밝기와 크기를 변동하면서 피실험자 실험을 수행하여 시정거리에 따른 판독 거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어진 휘도에서 시정거리별 판독거리는 표지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지만, 완벽한 선형적인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짙은 안개 상황일수록 크기가 큰 가변형 속도제한표지가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가변형 속도제한표지의 운영 휘도를 증가할수록 판독거리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로전광표지의 운전자 판독성 및 정보 인지 특성 비교 연구 (Estimating the Effect of VMS on Drivers' Legibility and Perception)

  • 정준화;이석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44-956
    • /
    • 2013
  • 도로에서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여러 가지이지만, 기본적으로는 필요한 정보를 적절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운전 환경에 맞게 적절한 규격에 적절한 양과 빈도로 운전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운전자에게 도로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문자식 도로전광표지(VMS)에서 표출하는 메시지의 적정성을 따지기 위해서는 제공되는 메시지에 대한 시각적 판독 거리와 인지하는 정보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주요 정보 제공 시설인 VMS의 메시지 설계에서 운전자의 인지 특성과 관련된 사항들을 살펴본 후, 현재 도로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VMS에 대한 운전자의 인지 거리와 판독 거리, 인지 정보량과 정보 인지율 등을 실험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실제 주행 환경에서 운전자가 메시지를 판독하고 해당 정보를 기억하는 수준을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VMS의 메시지 설계에 보다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결로 발생 도로표지가 운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densation on Road Signs to Drivers)

  • 박재홍;윤덕근;성정곤;강원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87-193
    • /
    • 2013
  • PURPOSES :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fluence in terms of misreading rate and legibility time for drivers when condensation occurs on the road signs. METHODS : In this research, the dew occurred road signs provided to drivers to measure legibility time and misreading rate to compare with normal road sign.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legibility time between normal road sign and dew occurred road sign, the T-test and ANOVA test were used. And the vision system was used to recognize the region of dew occurrence on the road sign, then the brightness of dew occurrence region on the road sign was changed to check the misreading rate of drivers according to the change rate of brightness. RESULTS : The legibility times were measured 2.65s for normal road sign and 4.08s for dew occurrence road sign and misreading rates were measured 2.8% for normal road sign, 21.7% for dew occurrence road sign.

자동차 번호판 한글 판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ibility of korean characters on car license plate: -Proper height/Width ratio-)

  • 김진;조암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1992
  • This paper deals with the legibility of Korean characters(Hangeul) on car number licence plates. We focus of the height-width ratio as key factor affecting the legibility in experimental procedures. The results of experiments are; i) For vertica characters, the vest height-width ratio was 1:1 for 3 throuth 5 stroke characters, and 4:5 for 6 and 7 stroke characters. ii) For horizontal characters, the best height-width ratio was 1:1 for 3 through 5 stroke charcters, and 5:4 for 6 and 7 stoke characters.

  • PDF

시인성 및 의미전달성 향상을 위한 철도 안전표지 형상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ailway Safety Sign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Legibility)

  • 정중규;방명석;강희섭;정형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71-176
    • /
    • 2016
  • The railway safety sign, which is a part of railway signal system, is installed at the lineside to inform a train driver the position, direction or condition concerning the train operation by its shapes, colors or symbols. The sign in the existed line of South Korea has low-level of visibility and legibility,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sign enough by just seeing its letters or pictogram. This paper is aimed at reviewing the design problems of the sign in existed line and developing the design to enhance its visibility and legibility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메뉴북의 바탕색과 활자의 가독성이 메뉴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lors and Legibility of Menu on the Choice of Menu Items)

  • 이종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5-46
    • /
    • 2007
  •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maturing day by day. Nowadays,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enu. Menu is not just for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bout menu items. It is also an important marketing tool. Past research was about the choice of menu items. However, the colors and legibility of menu are also important. The basic color and legibility of menu may affect the choice of menu items. Also, customers have different preferences when it comes to menu design. In the past, however, food service industry experts did not work closely with menu designers. The next section reviews the research on the chromatology of menu and lettering preferred by customers. In addition, a method to plan the design of menu is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