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ek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3초

배추김치의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부재료의 영향 (Effects of Various Sub-ingredients on Sensory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 장경숙;김미정;오영애;김일두;노홍균;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3-240
    • /
    • 1991
  • 배추김치의 부재료로서 고추, 마늘, 생강, 파, 부추, 멸치젓, 설탕 등이 starter로 숙성시킨 김치의 산맛, 단만, 쓴맛, 매운맛, 감칠맛, 덜 익은 맛, 불쾌한 맛, 사각사각한 맛, 종합적인 맛, 새콤한 내, 풋내, 비린내, 마늘내, 군덕내, 색상 등 관능적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부재료 개별적으로는 균형된 조화미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호혼합처리함으로써 맛의 상호보완이 되었다. 파와 부추는 강한 마늘내를 조화시켰으며 멸치젓은 감칠맛을 부여하였고 설탕은 종합적인 맛을 향상시켰다. 또 설탕을 제외한 고추, 생강, 마늘, 파, 멸치젓 등은 다같이 산미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채소류의 식이성 섬유소의 함량과 이화학적 특성 (Quantative Analy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Vegetables)

  • 서효정;윤형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03-409
    • /
    • 1989
  • Dietary fiber(DF) content and their properties were analyzed in some common vegetables such as Squash(leaf), Water cress, Garland chrysanthemum, Leek and sweet potato(stem). DF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detergent fractionation. Values for neutral deterg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lignin, hemicellulose were obtained. NDF for most samples was $13.83%{\sim}24.31%$, ADF was $11.99%{\sim}21.03%$, lignin was around $0.56%{\sim}3.00%$, hemicellulose was about $1.33%{\sim}3.88%$, cellulose was $9.08%{\sim}14.87%$ except sweet potato(leaf) (20.47%). This paper describes two properties of the fiber-of commonly eaten vegetables ; water-holding capacity(WHC) and metal binding. The capacity of the acetone dried powder (ADP) to hold water was estimated. The WHC measurements differed from 7.49 per 9 of ADP for Water cress to 11.09 per 9 of ADP for Leek. The binding of Fe, Zn in NDF. ADF obtained from five fiber sources was examined under two pH conditions ; 1) pH2.1, 2) pH6.1. Fe, Zn binding increased with higher pH and differed from DF sources.

  • PDF

견육요리(犬肉料理)의 연구(硏究) (II) -실태조사(實態調査)- (A Study on Korean Dog Meat Cooking(II) -Survey of Dog Meat Cooking Restaurants-)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7-368
    • /
    • 1989
  • In this study, the kinds of Dog Meat Cooking, side dishes, ingredients, seasonings and recipes were surveyed in 21 Dog Meat Cooking restaurants in Korea from July to August of 1989. 1. Actually, there were four Dog Meat Cooking recipe. Tang (soup:湯) has been served in 20 (95.2%) restaurants and Sukyuk(boiled in water:熟肉) in 19(90.5%) ones. Junkol(boiling vegetables and meat with seasoning:煎骨) and Muchim(sauteed with seasoning:무침) has been done in 16(76.2%) and 10(47.6%) restaurants, respectively. 2.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the main seasonings when served were roasted perillar powder (95.2%), soybean paste (95.2%), vinegar(81.0%), Dadegi (mixed much red pepper powder, minced ginger, minced garlic, minced onion and black pepper powder, 66.7%), pepper(61.9%), salt(61.9%), salt(61.9%), minced ginger(57.1%), minced garlic(57.1%) and prepared mustard(38.1%). 3. The number of side dishes were 26. Among vegetables, green pepper(90.5%), sliced garlic(81.0%) were served. Chinese cabbage(61.9%) and Kagtuki(42.9%) out of Kimchi and leek salad(28.6%) were also served. 4. The total 17 ingredients were used in Dog Meat Cooking. The major one were white onion (100%), perillar leaf(72.2%), leek(66.6%) and parsley(47.2%).

  • PDF

An Inexpensive System for Rapid and Accurate On-site Detection of Garlic-Infected Viruses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Followed by Array Assay

  • Kazuyoshi Furuta;Shusuke Kawakubo;Jun Sasaki;Chikara Masu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40-47
    • /
    • 2024
  • Garlic can be infected by a variety of viruses, but mixed infections with leek yellow stripe virus, onion yellow dwarf virus, and allexiviruses are the most damaging, so an easy, inexpensive on-site method to simultaneously detect at least these three viruses with a certain degree of accuracy is needed to produce virus-free plants. The most common laboratory method for diagnosis is multiplex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However, allexiviruses are highly diverse even within the same species, making it difficult to design universal PCR primers for all garlic-growing regions in the world. To solve this problem, we developed an inexpensive on-site detection system for the three garlic viruses that uses a commercial mobile PCR device and a compact electrophoresis system with a blue light. In this system, virus-specific bands generated by electrophoresis can be identified by eye in real time because the PCR products are labeled with a fluorescent dye, FITC. Because the electrophoresis step might eventually be replaced with a lateral flow assay (LFA), we also demonstrated that a uniplex LFA can be used for virus detection; however, multiplexing and a significant cost reduction are needed before it can be used for on-site detection.

품종별 부추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three Species of Leeks(Allium tuberosun R.) Ethanol Extracts)

  • 안명수;김현정;서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6-193
    • /
    • 2005
  • 본 연구결과 호부추(LL), 재래종 부추(LM) 및 약부추(LS)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286{\sim}437mg%$이었으며 LS> LM> LL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품종의 부추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도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LSEx 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유지에 대한 항산화력을 과산화물가(POV)와 공액이중결합산량으로 측정 비교한 결과 3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 모두 0.02% 첨가 종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정도는 ${\alpha}-tocopherol$ 보다 높고 BHT보다는 낮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효과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품종 별로 보면 LSEx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약부추와 그 에탄올추출물이 총 폴리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옥배유에 대한 항산화력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부추 3품종의 에탄올추출물 모두 항균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이들 모두 Pseudomonas에 대하여 높은 저해성을 보였으며 위의 각종 이화학적 성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재래종 부추의 에탄올추출물은 모든 균주에 고른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3가지 품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들 중 항산화력은 소립종인 약부추가, 항균력은 중립종인 재래종 부추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모든 추출물들에서 항산화력과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어서 이들 3종 부추 모두 항산화와 항균성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 충분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랭지 여름출하용 유망 쌈채소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Ssam' Vegetable for Summer Production in Highland)

  • 장석우;김원배;류경오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2호
    • /
    • pp.140-144
    • /
    • 2001
  • 고랭지에 적합한 신소득 작목을 개발하고자 최근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쌈채소중에서 적근대 등 17종을 공시하였다. 파종은 128공 플러그트레이에 30일간 육묘하였으며 비가림하우스에 정식하여 생육, 특성, 수량 등 제반 수량형질과 쌈으로서의 재배 및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정식시 묘소질은 공시작목 17종 모두 묘상 및 본포 생육은 고랭지 환경조건에서 순조로운 양상을 보였다. 이들 중에서 부추, 삼엽채 및 로메인상추 등의 첫수확은 8월 상중순이었으나 나머지 작목은 7월 10일이었다. 삼엽채 등을 비롯한 11종은 7월 중순-8월 하순에 추대하여 대부분 개화에 도달하였다. 로메인상추, 화채 등 일시수확하는 작목을 제외한 전 작목 모두 월별 수확이 진행됨에 따라 상품엽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9월 수확시에 그 감소 정도가 다소 컸다. 7-9월의 상품수량은 적근대, 적겨자, 겨자채, 청경채, 다채, 로메인상추, 적엽치커리, 적치커리, 녹엽치커리 등 9작목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 PDF

부추재배 기계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Mechanization of Chinese Leek Production)

  • 전현종;홍종태;최용;김영근;한길수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2-107
    • /
    • 2002
  • 최근 국민의 식생활이 향상되면서 신선채소류의 수요가 날로 증대되어 국내 부추의 재배 면적도 '92년 199㏊, '94년 729㏊ '99년 1,073㏊로 꾸준히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으며, 부추의 재배면적 확대와 집중출하 등으로 인한 가격의 등락이 심한 편이어서 부추생산의 안정적 기반을 위해서는 기계화를 통한 생산비 절감, 출하시기 및 출하량 조절을 통해 가격의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중략)

  • PDF

마늘 잠복 바이러스의 순수분리 및 증식 (Purification and Amplification of Garlic Latent Virus)

  • 최진남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59-263
    • /
    • 1992
  • 한국 마늘에 감염되어 있는 주된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알려진 마늘 잠복 바이러스 (GMV)의 분자 구조와 병 발생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국부 감염 숙주 식물인 Vicia faba에 연속적으로 감염시킴으로써 마늘 잠복 바이러스를 정제하였고, GMV에 대한 전신 감염성 숙주 식물로 생각되는 leek에서 GLV를 대량으로 증식시켰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마늘 바이러스들의 입자의 길이는 200-2000 nm의 분포를 보였으나 입자의 대부분은 600-900 nm의 범위 안에 존재하였다. 반면 순수 분리된 GLV 입자는 평균 690 nm의 길이를 보여주었고, 유연한 실 모양이었다. SDS-PAGE 분석으로 혼합 감염된 마늘 잎으로부터 분리된 마늘 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질은 분자량 24,500-38,000 Da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GLV 껍질 단백질의 분자량은 34,000 Da으로 나타났다.

  • PDF

호부추와 실부추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ek Extracts from Allium tuberosum and Allium senescens)

  • 임태수;오현인;도정룡;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01-306
    • /
    • 2006
  • 호부추(Allium tuberosum)와 실부추(Allium senescens)를 열수, 50% 에탄올 및 100% 에탄올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건물 중량의 10배에 해당되는 부피(w/v)일 때,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탐색하였다. 전자공여작용의 경우 호부추의 50% 에탄올추출물에서 41.68%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호부추의 열수추출물이 36.33%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의 경우 두 종류 모두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호부추가 실부추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비교물질인 0.01% L-ascorbate와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두 종류 모두 열수추출물보다 50%, 100% 에탄올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한 결과 pH 1.2일 때 호부추와 실부추 모두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추의 생리활성을 밝혀 기능성 소재로써 이용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