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needs

검색결과 1,569건 처리시간 0.025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요구 분석 (Analysis of ne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lip learning class)

  • 김민주;박수홍;김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31-2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이 제시하고 있는 플립러닝이 활용되는데 필요한 요구를 조사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연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부산의 한 특성화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플립러닝의 활용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실제 A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실행하는 교사 4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플립러닝 수업을 실시할 의향은 높으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와 경험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플립러닝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플립러닝 사전학습자료 제작부터 수업, 평가까지 전 과정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동기와 흥미 유발 및 유지에 초점을 맞춘 내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연수를 운영한다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이해 정도에 따라 단계별 또는 교사들의 요구에 따른 맞춤식 실습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운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수업모형을 도입하고자 할 때 현장 교사들이 가진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플립러닝을 위한 지원체제와 교원연수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신뢰성있는 딥러닝 기반 분석 모델을 참조하기 위한 딥러닝 기술 언어 (Deep Learning Description Language for Referring to Analysis Model Based on Trusted Deep Learning)

  • 문종혁;김도형;최종선;최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4호
    • /
    • pp.133-142
    • /
    • 2021
  • 최근 딥러닝은 하드웨어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자연어 처리, 영상 인식 등의 다양한 기술에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해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스마트홈, 헬스케어 등의 산업분야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속도로 속도위반 차량 검출, 에너지 사용량 제어, 응급상황 등과 같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확도가 향상된 딥러닝 모델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환경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할 때, 개발자는 신뢰성이 검증된 최신의 딥러닝 모델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개발자가 참조하는 딥러닝 모델에 적용된 학습 데이터셋의 정확도를 측정하여 검증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서 개발자는 학습 데이터셋, 딥러닝의 계층구조 및 개발 환경 등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딥러닝 모델을 문서화하여 적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있는 딥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 모델을 참조하기 위한 딥러닝 기술 언어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술 언어는 신뢰성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학습데이터셋, 개발 환경 및 설정 등의 정보와 더불어 딥러닝 모델의 계층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 제안하는 딥러닝 기술 언어를 이용하여 개발자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서 참조하는 분석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언어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번호판 인식 모델을 중심으로 딥러닝 기술 문서의 적용과정을 보인다.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강현숙;소미현;조윤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28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reference data for substantializing the educational programs by verifying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reality when the learners' autonomy is emphasized than ever. Methods: From June 20 to July 4, 2022,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18 dental hygien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Version 22.0. Result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detailed item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y considering their aptitude and interest'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department by considering their high school record'. Second, when the academic efficacy, study immers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higher,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also high. Thir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was problem-solving ability, which was followed by academic efficacy and study immersion. Conclusion: Putting together the results above, in order to cultivate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operate the problem-solving-centered simulation course that could foster critical thinking,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creative approach and solution to problems in dental medical site. It would be also possible to improve their academic efficacy by applying the learning mentoring & one-to-one learning counseling program, and also strengthening proper feedbacks for learners. Moreover, the study immersion could be strengthened by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emotion-based learning motivation program & learning coaching program through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potential and growth needs of learners, exploring one's own resources through learning diagnosis/introspection, and exploring the career-related vision for strengthening the learning motivation, which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과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 적용 방안에 대한 의견 조사 (Investigation of Teaching Practices using Smart Technologies and Science Teachers' Opinion on Their Application in Science Education)

  • 양찬호;조민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29-840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스마트교육의 실행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교육 요구,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의 적용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지역의 과학 교사 모임에서 스마트교육 관련 소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 7명이었다. 교사들이 수업에 사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한 후 스마트기기를 사용한 실제 수업에 대해 1차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의 요소별 정의를 정교화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차면담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내용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교사들이 필요할 때 즉시적 상호작용 요소를 활용하였으나, 질의응답이 일어나는 정도의 단순한 수준이었다. SNS, 위키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한 협력적 상호작용 요소를 활용하는 경우는 적어서 스마트기기가 상호작용 지원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이 학습자 수준에 따른 개별화 측면에서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수집하여 피드백을 하였으나, 학습자의 맥락, 상황 및 위치 인식 요소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였다. 모든 과학 교사들은 학습 기회의 확대요소를 수업에서 주로 활용하였으나, 자기주도 학습 지원 요소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현재 학생들에게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학습자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해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으나, 향후 스마트교육이 학생들의 협력적 상호작용과 자기주도 학습을 돕는 방향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많이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교사 연수와 환경적인 지원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을 정착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비취학 청년들을 위한 한국의 일기반 학습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영국과 비교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s Work-Based Learning Program for Non-academic and Unemployed Youth: Comparison of U.K.)

  • 홍서인;안소영;정영순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95-124
    • /
    • 2018
  • 비취학 청년들의 고용 및 고용유지율이 높지 않은 일기반 학습 프로그램인 청년인턴제의 성공전략, 더 나아가 한국 일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영국의 일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인턴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과과정이 산업수요를 반영하고 그 훈련이 해당 사업장에서 통용될 수 있도록 산업별 직무기준에 기반해서 표준화하는 한편 직무능력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자격증과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참여기업과 훈련생들을 효과적으로 모니터, 관리, 평가하기 위한 운영체계도 효율적으로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만으로 취약 대상의 직무능력 향상과 신성장산업 영역에서 미래 우수인력 양성이라는 목적을 추진하는데 한계가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과 같이 연수, 도제, 계속교육 유형을 도입하여 비취학 청년들의 다양한 학력 수준에 맞게 단계별 일기반 학습 과정으로 구조화하고 체계화하는 개혁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중장년층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모델 적용 (Implementation of Smart Learning Model for Improving Digit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Middle Aged)

  • 이정은;진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22-533
    • /
    • 2014
  • 중장년층이 온라인상에서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협력적 지식구축과 문제해결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K 기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변화실험실을 실시하여 중장년층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장년층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모델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의 세 가지 영역인 디지털미디어의 도구적 활용, 창의적 생산 활동, 사회적 상호작용을 구성요소로 개발되었다. 각각은 스마트 패드 사용법 익히기, 앱을 이용한 자기 진단, 앱을 이용한 포스터 제작, 역할극 동영상 제작, 의사소통 게임 및 SNS활용하기 등으로 적용되었다. 본 논문은 다양한 배경과 미디어 사용 경험을 가진 중장년층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함으로써 그들의 요구를 효율적으로 반영하는 스마트 러닝의 설계방법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념과 성취 기준 추출 개념의 연계성 비교 연구 - 생명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An Comparative Study of Articulation on Science Textbook Concepts and Extracted Concepts in Learning Objectiv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 on Life Science Domain -)

  • 김영신;권형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3호
    • /
    • pp.377-387
    • /
    • 2016
  • Whether textbooks faithfully reflect the curriculum contents is an important educational issu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extbooks did not analyze the relationship described in the textbooks or the struc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life science area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s linked. In addition, it seeks to analyze how the concept presented in the learning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is connected to other concepts. Towards this end, the conceptual linkage of eight units in the life science domai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as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domain in the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hroug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he semantic network on the concept linked to the one described in curriculum's learning objectives was also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ill be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emantic network resulting from a number of concepts. 2) The curriculum's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re not faithful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3) The textbook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specific curriculum's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number of concepts described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needs to be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the concepts can be meaningfully linked to each other.

PBL 연계 투약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시스템 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 적극성 및 투약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on System Thinking, Learning Flow,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Performance Ability for Medication in Nursing Students)

  • 박민정;최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221-23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교육을 적용한 후 학생의 시스템 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 적극성 및 투약간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북과 경인지역에 소재한 간호대학생으로 실험군 37명, 대조군 41명이었고, 실험군에게는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대조군에게는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측정하였고, SPSS WIN Versio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시스템 사고능력(t=2.14, p=.036), 문제해결 적극성(t=2.07, p=.042) 및 투약간호수행능력(t=5.26, p=<.001)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학습몰입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상황에서의 적응을 위하여 교수자들은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을 교과과정에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수와 연산 학습을 위한 클래스기반 학습 애플릿 개발 (Development of Class-Based Learning Applet on Numbers and Number Operations)

  • 김민정;김갑수;민미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35-243
    • /
    • 2007
  • 수학과의 학습은 학습자가 구체적인 조작을 통해서 개념을 학습한다. 그러나 웹에서 구현되는 대부분의 콘텐츠들은 정적이며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제약이 많다. 이런 제약 조건을 극복하고 학생들의 인지적인 단계에 적합한 동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에서 수와 연산 영역의 교육과정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객체지향설계원리를 이용하여 학습 애플릿에 필요한 "수 클래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구현된 "수 클래스"를 기반으로 클래스기반 "수와 연산 학습 애플릿"을 개발하였다. 클래스기반 '수와 연산 학습 애플릿'은 초등학교 수학과의 '수와 연산' 영역 교육과정을 토대로 학습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각 학습 주제에 따라 소단위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이 학습 애플릿은 자유로운 조작과 탐구활동을 통해 수와 연산의 개념과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학생들의 동적인 상호 작용을 강화한다.

  • PDF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학습자료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 최도성;김명호;김정길;김석중;송판섭;한광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305-317
    • /
    • 2004
  • The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should include all kinds of materials being used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science teaching.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prepared for the science teaching of 3-6 grade students. To clarify this research, we listed whole of the learning materials of science teaching for each grade and counted numbers being used for whole of the lessons of science.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s of its preparation of materials, the types of learning materials can be divided into 10 categories such as teaching equipments for science, test materials, consumables, audio-visual aids, teaching equipments in general,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field studies' collected data, breeding' cultivation materials, manufacture materials, and etc. 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needs total 844 items of learning materials for science education. They could be separated into ten types of categories such as 159 items of teaching equipments for science, 65 items of test materials, 116 items of consumables, 198 items of audio-visual aids, 64 items teaching equipments in general, 31 items of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38 items of field studies (collecting) materials, 17 items of breeding-cultivation materials, 58 items of manufacturing materials, 105 items of other materials. And we found out that there were 332 items of materials for the 3rd grade, 303 items for the 4th grade, 324 items for the 5th grade, and 254 items for the 6th grad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for classroom activities for science teach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