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5133/kssche.20221130.02

Factors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Hyun-Sook, Ka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uwon Women's University)
Mi-Hyun, So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uwon Women's University)
Younyoung, Cho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uwon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v.23, no.4, 2022 , pp. 17-2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reference data for substantializing the educational programs by verifying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reality when the learners' autonomy is emphasized than ever. Methods: From June 20 to July 4, 2022,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18 dental hygien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Version 22.0. Result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detailed item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by considering their aptitude and interest'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department by considering their high school record'. Second, when the academic efficacy, study immers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higher,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also high. Thir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was problem-solving ability, which was followed by academic efficacy and study immersion. Conclusion: Putting together the results above, in order to cultivate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operate the problem-solving-centered simulation course that could foster critical thinking,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creative approach and solution to problems in dental medical site. It would be also possible to improve their academic efficacy by applying the learning mentoring & one-to-one learning counseling program, and also strengthening proper feedbacks for learners. Moreover, the study immersion could be strengthened by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emotion-based learning motivation program & learning coaching program through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potential and growth needs of learners, exploring one's own resources through learning diagnosis/introspection, and exploring the career-related vision for strengthening the learning motivation, which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Keywords
Academic efficacy; Dental hygiene students; Health education;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혜진, 배연숙, 배한주. (2021).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영향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2(12), 200-208. 
2 김선옥, 심문숙. (2018).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3), 424-437.    DOI
3 김아영, 탁하얀, 이채희. (2010).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4(1), 39-59. 
4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5 김기홍. (2019). 대학생의 자기 주도 학습,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박사학위논문]. 포천: 대진대학교 대학원. 
6 김유정, 유하나, 박미정. (2016).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0), 261-270.    DOI
7 김병년. (2010). 가구소득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과 부모자녀관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극동복지저널, 6, 7-27. 
8 김순옥, 박소영. (2013). 일 대학 간호학생의 학습 유형별 시뮬레이션 교육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1046-1057.    DOI
9 김하영. (2019).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10 김지운. (2020).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자기 주도 학습, 학습몰입의 구조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1(11), 443-454. 
11 박형근. (2010). 동기요인과 자기 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 홍익대학교 대학원.
12 박선남, 김윤수. (2015). 고위험 신생아 간호에 관한 시뮬레이션 실습과 신생아집중치료실 실습의 스트레스와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1), 86-94.    DOI
13 박명신, 한상훈, 김영미. (2014). 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리더십 및 정서조절 전략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지, 16(1), 197-225. 
14 박현숙. (2021).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보건정보통계학회, 46(4), 420-428. 
15 서병우. (2013). 대학생의 특성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지, 3(2), 65-81. 
16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2003). 생애능력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17 이동주, 김미숙.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멀티마디어언어교육, 23(3), 359-377. 
18 이민주. (2021).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관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영향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9(7), 441-449.    DOI
19 이진현, 송현아, 김수현. (2017). 정서기반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6), 585-595.    DOI
20 이재열, 정윤경, 류지영, 이윤진, 박봉남. (2020). 대학 진로취업지원 현황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임근옥. (2003).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학과 선택 만족도 및 진로방향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익산: 원광대학교 대학원.
22 윤일현. (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 자기주도 학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취업진로연구, 11(4), 119-142.    DOI
23 유미옥. (2018).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행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9(3), 291-300. 
24 유문숙, 김용순, 황명숙, 안정아. (2012).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지, 7(1), 18-28. 
25 장미선, 이정연. (2003).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한국생활과학회지, 12(4), 433-447. 
26 정진아, 천혜원. (2019).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영향요인 분석. 한국보건복지학회, 21(4), 253-272. 
27 최은영, 윤지영, 박신영. (2020).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9), 433-441.    DOI
28 전윤화, 최지원, 김미선. (2019).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영향요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지, 9(5), 437-449. 
29 조유용, 박준성, 문광수. (2022). 대학생 온라인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자기 주도 학습능력, 학습동기, 시간관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6(1), 33-55. 
30 주가을, 송경애, 김희주. (2015). 표준화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수행간호수행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2(1), 49-58.    DOI
31 최이숙. (2003).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개념,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관계[석사학위논문]. 전주: 전주대학교 대학원.  
32 홍순도, 이혜정, 심정은, 송병국, 김민. (2016). 학교요인과 가정요인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지, 23(10), 127-154. 
33 한수정. (2013).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5(5), 559-566.    DOI
34 Knowles. M. (1975). Self 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Follett Pub. Co. 
35 Woolfolk, Anita E. (1995). Educational psychology, 6th ed. Boston: Allyn & Bacon
36 D. Barron, E. West, R. Reeves. (2007). Tied 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2(1), 46-51.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