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contents

검색결과 4,213건 처리시간 0.038초

모바일 영어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Tutoring System for Mobile English Loaming)

  • 김병규;이영석;조정원;최병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677-1680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ultimedia tutoring system that provides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for english Loaming on mobile environment. In order to design and implement the system, we have developed mobile multimedia contents from contents modeling based on the types of item, but also mobile interface to provide learning contents for learners effectively under limitation of mobile environment. The contents server in this system creates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as XML document for each learner and provides those to learners through mobile interface using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at anytime and anyplace.

  • PDF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 (Developing Korean Learn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 박은하;전진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59-468
    • /
    • 2013
  • 증강현실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증강현실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이에 대한 활용에도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요즘 국내에서 다문화 사회로의 변모와 국외에서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 매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최신 기술을 도입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콘텐츠 개발이 미비하여 본고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은 책을 읽거나 영상물을 통한 지식 학습에 국한되어 있어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가 학업 성취, 흥미, 몰입을 높이는 학습 콘텐츠를 만들고자 하였다.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동화의 교육적 이점과 배경지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동화를 매개로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구상하였고 컴퓨터, 화상카메라, 그리고 마커가 있으면 증강현실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현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증강현실 기술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동화 콘텐츠와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어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한국어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학습 매체와 새로운 학습 매체의 조화를 이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증강현실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다양하고 상용화할 수 있는 증강현실 한국어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객실안전 학습 콘텐츠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bin Safety Learning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VR))

  • 김하영;유정화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3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echnically implement the design and scenario of cabin safety contents for virtual reality (VR)-based cabin safety learning for aviation service majors. The process for developing VR cabin safety learning contents consisted of a total of four stages: learning stage, research stage, verification stage, and application stage. The cabin safety scenario items for the production of VR learning contents reflected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the procedure for survival from impact, and the evacuation procedure from the aircraft as the core. For the technical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modeling work is conducted by checking scenario reviews, types and numbers of objects related to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items of interac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work with the actual metaverse platform is carried out to enable the utilization of the manufactured facilities and equipment objects. Finally, application tests were carried out to reconfirm supplementary items.

e-Learning 콘텐츠의 남북한 표준언어 지원시스템 연구 (A study on Support System for Standard Korean Language of e-Learning Contents)

  • 최성;정지문;유갑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25-36
    • /
    • 2007
  • In this paper, we studied on the effective structure of an e-Learning Korean Support System for foreigner based on computer systems which is to obey the rules of IMS/AICC International Standard regulations based on LCMS and SCORM. The most important task on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function of self-study module through the review of the analysis and results of Korean learning and learning customs. We studied the effective PMS detail modules as well as the Standard Competency Module Management System, which related to LMS/LCMS, Learning an Individual Competency Management System, Competency Registry/Repository System,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munity Competency Module, Education e-survey System and Module learning Support Service System. We suggested one of standard Effective Model of learning Korean Support System which is adopted in a various techniques for foreigner.

  • PDF

초보자 프로그래밍 개발을 위한 e-Learning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the e-Learning Contents for the First Programming Course)

  • 김정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3-219
    • /
    • 2006
  • 무선 이동통신 기술과 하드웨어 기술 등의 발전과 멀티미디어 처리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인 맞춤형 e-Learning서비스가 필요하다. 특히 처음 프로그래밍을 접하는 학습자에게 개인 맞춤형 e-러닝 콘텐츠는 반드시 필요하다. 즉 프로그램 개발 능력을 학습하기 위해 많은 반복적인 실습이 요구되며, 학습자 개인에 따라 다양한 학습 효과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는 학습자에게 적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프로그래밍이 수행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 형태로 보여주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e-러닝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 PDF

이러닝 컨텐츠 공유 및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학습효과 향상 방안 (E-learning Contents Sharing and Improving Studying Efficiency of E-learners based on Poll Results)

  • 지형석;이구연
    • 산업기술연구
    • /
    • 제30권B호
    • /
    • pp.49-54
    • /
    • 2010
  • E-learning has the potentials to provide educational publicity and equality, and has been deployed rapidly in many areas of our society. Growth of e-learning market is also rapid and sustained. However, for e-learning to be a good solution, enough contents should be provided, for which sharing limited contents in the early deployment stage should be necessary. In this paper, we survey some activities about contents sharing.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many complaint from e-learning about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the poll results on concentration and satisfaction of e-learning, we also study practical ways to improve studying efficiency of e-learners.

  • PDF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정보검색 능력에 따른 이러닝 콘텐츠 유형 선호도 연구 (A Study in the Preference of e-Learning Contents Delivery Types on Web Information Search Literacy in the case of Agricultural High School)

  • 유병민;김수욱;박성열;최준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6권2호
    • /
    • pp.463-48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s in e-Learning contents delivery types according to information searching retrieval ability in agr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Contents delivery types are limited three kinds which are HTML type, video type, and text type and need to know about differences.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preference of e-Learning contents delivery type on information searching retrieval ability had differences. High level group of information searching retrieval ability showed that they mostly preferred text contents delivery type. However, low level group of information searching retrieval ability showed that they preferred video contents delivery type. The results support our belief that there could be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s in e-Learning delivery types with students' information searching retrieval abilities. We suggest that delivery types of e-Learning should be based on the students not on designers and developers.

  • PDF

e-Learning 강의 지원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방안연구 - I 대학 교수.학생.도서관서비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Activate Methods for Digital Contents Service to Support Academic Courses in e-Learning)

  • 이종원;고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89-10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의 최근 변화된 강의환경을 고려하여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용 디지털 콘텐츠와 대학의 e-Learning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의 환경하에서 요구되어지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강의를 이용하고 있는 I 대학의 교수 학생을 대상으로 e-Learning 강의 지원에 미치는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상용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품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도서관의 상용 디지털콘텐츠 제공 서비스 품절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측정모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Digital Library Service Quality Index(이하 DL-SQL모형이라 함)을 바탕으로 4개의 차원(정보시스템 품질, 디지털장서 품질, 고객서비스 품질, 고객커뮤니티 품질)과 7개의 구성요인(검색성, 전담조직 및 인터페이스, 접근성, 디지털장서, 고객지원서비스, 개인화서비스, 고객커뮤니티) 등을 일부 수정하여 디지털 콘텐츠관련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디지털콘텐츠 관련 도서관서비스에서 "고객서비스"와 "고객커뮤니티" 품질 서비스는 "정보시스템"과 "디지털장서"에 대한 품질 서비스보다 e-Learning 강의 지원과 학습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e-Learning 강의를 개설하는 교수와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대학도서관에서 상용 디지털콘텐츠를 구입하여 제공하는 양적 푸싱 서비스 보다는 도서관의 대 이용자 고객맞춤정보 서비스가 e-Learning 강의지원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분석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e-Learning 강의와 연계된 디지털콘텐츠 구축관련 정책수립시 참고해야 할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Quality Standards of Educational Smart Contents

  • Jun, Woochun;Hong, Suk-K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6호
    • /
    • pp.2152-2170
    • /
    • 2014
  • With advances in smart and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ies, our life style has been changing dramatically. Now everybody can enjoy the benefits of such technologies in every aspect of his/her daily life. Curr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trying to have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so that smart devices become the bare necessities. New smart technologies have created a new concept called smart learning in education area. As educational smart contents become popular, we need quality standards for the contents. Those standards are essential for evaluating the smart contents and suggesting guidance for future smart contents production. Although there are some standards for the existing e-learning environments, to our best knowledge, there are no standards for educational smart contents in the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quality standards for educational smart contents. The proposed quality standards are based on the existing quality standards in e-learning environments and include some characteristics of smart learning. For development of quality standards, wide experts group from academy and industry are selected and surveyed. Their responses are analyzed based on thorough statistical analysis so that final quality standards for educational smart contents are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