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Contents System

검색결과 1,121건 처리시간 0.024초

사용자 중심 시나리오에 따른 U-스풀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of U-School Framework Based on User-Centric Scenario)

  • 홍명우;조대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283-291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컴퓨터 시스템은 언제 어디서나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적절한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언제 어디서나 학습을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학습의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ERSS(Korea's Educational Resources Sharing System)를 발전시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이 적용된 U-스쿨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기존의 ERSS를 기반으로 하여 모바일 기술, 센서 단말 기술과 상황 인식 기술을 적용하였고 사용자 중심의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러닝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유비쿼터스 교육 환경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는 학생, 교사, 객체 및 환경의 동적인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즉시 학습 및 개인별 맞춤 학습에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 환경에서 문제은행에 기반한 학습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tem Based Learning System In Mobile Environment)

  • 장무수;송희헌;강오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46-54
    • /
    • 2004
  • 현대사회에서 휴대전화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휴대전화와 인터넷이 결합된 무선 인터넷의 모바일이라는 서비스가 나타나게 되었다. 모바일 서비스의 시작과 더불어 모바일 컨텐츠의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기존의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 이루어지던 서비스들이 점차 무선 인터넷 환경의 모바일로 이동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환경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컨텐츠들은 벨소리,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가 대부분이며 학습을 위한 컨텐츠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이 한정된 자리에서 벗어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문제은행 학습 컨텐츠에 접속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학습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 PDF

A Hierarchical Evaluation for Success Factors of th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Using AHP

  • Kim, Gyoo-mi;Lee, Sang-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3호
    • /
    • pp.25-31
    • /
    • 2017
  • With tremendous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obile learning systems have been widely adopted in language learning contexts, and several frameworks have been developed for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different factors of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However, pre-existing frameworks have limitations when evaluating the importance level of criter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rehensive hierarchical framework for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success factors of MALL and prioritizing them according to the importance level. To do that, AHP method is used to quantitatively estimate weight values of MALL criteria. Results reveal that the priority of MALL criteria is ordered as follows: content, system, learner, language learning. Local weights of each criterion are also analyzed; for example, usefulness, accuracy, and authenticity are critical factors for improving MALL contents. Ease of use and mobility of MALL systems are also considered more critical than other systematic factors. In addition, availability of immediate feedback and self-directness has the highest weight values of import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discussed regarding hierarchical orders of MALL criteria and conclude that successful MALL implementation may be achieved if related elements are diversely measured and evaluated.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presented.

e-러닝의 시스템품질과 동기화요인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ation Factors for Learning Performance in e-Learn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 김영애;신호균;김준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0권4호
    • /
    • pp.181-204
    • /
    • 2011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paradigm shift in learning has brought a dramatic impact on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arning mainly targeted on e-learning users, studying additional synchronization and system quality factors to measure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learning flow and academic performance considering both DeLone & McLean model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ing factors based on ARCS model. Relating to quality and synchronization factors,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arning system was tes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flow and academic performance was also analyzed based on time-series data, by the test difference(in the beginning, during, and final of the semes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at both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ation 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performance. Thus, when designing e-learn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two factors at the same time. Second, the indirectly mediating effect on the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ation facto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 learning flow.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utilizing dummy variable presents that the teacher's explanation has greater influence than multimedia has to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furthermore, the test difference showed no significance. Further research should be undertaken to consider the learner's degree of acceptance which reflects various aspects for building m-learning or u-learning.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 Ryu, Mi-Young;Han, Sun-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87-9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of digital contents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First, we planned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tents with 19 experts of Software education. Digital content was desig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improving the educational quality and the quality of contents for the improve of computing thinking. The content type is classified into the SW education area; computer science, programming, physical computing, convergent computing, computing thinking, and software education that improves the computing thinking. And we designed 45 learning programs for each SW education area. Designed learning contents were developed in 464 lessons to suit th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oposed content was verified by the expert group and the average CVI value was over .83. Through this, we could analyze that the developed contents will help learners to expand their computing thinking.

학습을 통한 탐지 모델 생성 시스템 (Detection Model Generation System using Learning)

  • 김선영;오창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1-3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탐지 모델을 자동 생성하여 인력, 시간에서의 효율성과 오탐율을 향상시키는 학습을 통한 탐지 모델 생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탐지 모델 생성 시스템은 agent 시스템과 manager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agent 시스템은 탐지 모델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센서의 역활을 수행하고 manager 시스템에서는 탐지 모델 생성과 모델 분산의 역할을 수행한다. 모델 생성은 유전적 알고리즘에 의해 기존의 정형화된 포맷의 탐지 모델을 학습시켜 모델을 생성하고 새로운 탐지 모델로 적용할 수 있다. 실험 결과에 따라 제안된 데이터 마이닝 기반의 탐지 모델 생성 시스템은 기존의 침입 탐지 시스템보다 효율적으로 침입을 탐지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으로 인하여 새로운 유형의 침입 시 탐지 모델 생성과, False-Positive율의 감소를 가져와 기존 침입 탐지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여 탐지모델 생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사이버가정학습 2.0에서 학습자 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Learners' Satisfaction in Cyber Home Study System 2.0)

  • 박종화;서순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29-438
    • /
    • 2012
  • 표준화된 차세대 이러닝 학습시스템인 사이버가정학습 2.0에서 학습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사이버가정학습 설계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강원 에듀월드'에 가입한 초등학생 및 중학생을 가입자 비율을 고려하여 초등학생 870명과 중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가정학습 2.0에 대한 인식은 학교 급에 따라 공통요인 4개가 추출되었다. 요인분석 결과를 근거로 사이버가정학습 2.0 학습에 대한 만족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초등학생의 경우 수업전문성, 콘텐츠 유용성, 시스템 접근성, 학습 분위기의 순으로 만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중학생의 경우 콘텐츠 유용성, 학습 분위기의 순으로 사이버가정학습 2.0 학습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PDF

수학 성취도가 낮은 학생의 보충 지도 과정에서 블렌디드 e-러닝과 개별화 교수체제의 효과 비교 분석 (The comparison on the learning effect of low-achievers in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 송다겸;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2호
    • /
    • pp.161-1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n low-achievers in mathematics who studied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fter school. Blended e-learning is defined as the management of e-learning using the e-study run by the education office in local.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was proceeded as follows; (1) all students are given a syllabicated learning task and a study guide, (2) students study the material autonomously according to their own p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3) the teacher strengthens the students' motivation through grading and feedback after students study a subject and solve the evaluation problem. The learning materials for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re re-edited the offline education contents provided by the blended e-learning to the level of students. The 118 $7^{th}$ grade students from the D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achievement tests before and after the study, as well as survey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lended e-learning has more positive impacts than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in mathematics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Third, both types utiliz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have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there is not their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스마트러닝 학습앱의 사용자경험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ser Experience of Smart Learning App on Intention to Continuous Use)

  • 박중희;한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416-434
    • /
    • 2022
  • 본 연구는 온라인, 오프라인 도구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러닝 학습앱의 사용자경험이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구조적인 관계를 기술수용모델을 통하여 이해하고, 학습형태 특성을 분류하였다. 또한, 스마트러닝 앱의 사용 경험을 기반으로 학습 도구와 콘텐츠 구성에 대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설계향상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발된 스마트러닝 학습앱을 중고등학생 대상 학습자 84명을 대상으로 2개월간 사용 후 사용인식을 조사하였으며, PLS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및 콘텐츠 사용자 경험은 지각된 사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으며, 태도를 매개로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였다. 둘째, 다중그룹 비교분석과 성별 그룹에서는 시스템 사용자경험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선호학습 그룹에서는 유의미한 경로차이를 나타낸 것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서 태도 및 지속사용의도로의 경로였다. 셋째, 실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학습유형을 다차원척도법으로 분류한 결과 저차원으로 분리된 유형은 offline sync type, Online sync type, Ubiquitous learning type, Self-direct learning type으로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역사학습 콘텐츠의 구현 (Implementation of Historic Educational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 류인영;안은영;김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2-40
    • /
    • 2009
  •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역사 학습 콘텐츠구현을 목표로 한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역사학습은 시대적 사실들을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이해하고 구성 해나가는 역사적 맥락의 사고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물 및 유적을 통한 역사적 사실이나 정보뿐만 아니라 시대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상상력을 동원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그 시대의 자연 환경 및 주거 환경을 함께 구현하여 제시한다. 또한 가상환경에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역사교육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유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제작하여 구성주의 학습요소를 고려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가상세계의 3차원 환경과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판단 및 선택에 따라 스스로 정보를 구성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학습자는 가상공간에서의 경험학습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과 상상력을 동원하여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