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Contents System

검색결과 1,121건 처리시간 0.031초

기본 소생술 e-러닝(e-Learning)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연구 (A study on e-Learning multimedia contents develop focus basic resuscitation)

  • 이영아;김태민;김효식;고재문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5-75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e-Learning multimedia contents to provide the first aid rescuer with the basic resuscitation, members of the public, corporations and any other institutions who wish to learn this skills. It is carried out from October to December in 2001. This program was constructed on the basic of the network-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this model has severalprogressive steps, which includes the planning, analysis of the contents, development of the contents, instructional design, development of web-based and multimedia, pilot test, implement, and evaluation. The URL of this site is http://www.cyber.hc.ac.kr named as the cyber education program for the basic resuscitatingskill. This contents consisted of 8 chapters providing as follows : Introduction, anatomy and physiology of heart-ling, Adul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dult Foregin-body Air-Obstruction, Chil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ild Foregin-body Air-Obstruction, Infa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fant Foregin-body Air-Obstruction. To make the learning more interesting, as much animation and videos were integrated. In conclusion, this e-Learning multimedia contents will be useful for student as well as members of the public. It significantly increases the chances of saving the life of person who has collapsed.

  • PDF

초등 KAIE 컴퓨팅 시스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 탐색 (A Study of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KAIE Computing System Curriculum in Elementary Education)

  • 성영훈;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01-710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KAIE의 컴퓨팅 시스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정보기기, 운영체제, 정보통신 영역에 필요한 교육모델과 교육내용 요소들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정보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핵심개념과 연관 개념을 추출하고 내용체계를 재구조화하여 초등학교 3,4학년군, 5,6학년군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모델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모델의 교육내용 요소들은 전문가 델파이조사 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컴퓨팅 시스템 영역의 교육내용 요소들을 기반으로 하위영역에 대한 교육내용 요소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탐구전략과 교사의 교수학습모델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esign of Learning Courses of Sorting Algorithms using LAMS

  • Yoo, Jae-Soo;Seong, Dong-Ook;Park, Yong-Hun;Lee, Seok-Jae;Yoo, Kwan-Hee;Cho, Ja-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4권1호
    • /
    • pp.20-25
    • /
    • 2008
  •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computers and internet have affected to the field of education. In this paper, we design a learning process with LAMS to make the new education environment which is required in an information age. We made the learning environment with LAMS which develops the learner's algorithmic thinking faculty on some sorting algorithm, especially such as selection sort, bubble sort and insertion sort algorithm. In addition, we analys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designed contents wer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fter a learning course. The research of the questionnaire shows that the learning system using LAMS motivates a learner for learning and provides a convenient learning environment.

이러닝 환경에서 몰입학습 증진을 위한 대화 기반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Dialogue-based Feedback System to Improve Flow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 정상목;송기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50-160
    • /
    • 2007
  • 교실수업에서는 지속적인 면대면 피드백을 통해 학습동기를 부여하고 학습 성취 욕구를 충족시켜주어 몰입학습을 유도 할 수 있으나 이러닝에서는 교실수업에 준하는 상호작용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많은 학습자들이 중도탈락이나 포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러닝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교실수업에서 사용하는 대화 피드백을 시스템에서 제공해 주어 학습자의 몰입학습을 증진시키는 대화 기반 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학교 현장에 적용해 보았으며,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습자 개인에게 명확한 학습 목표의식과 도전감, 구체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져 몰입학습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시스템에서 제공해 주는 대화 기반 피드백이 학습자에게 적극적인 학습참여 자세를 배양하였고 학습의 흥미와 관심을 유지시켜 몰입학습을 유도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로 이러닝 환경에서 새로운 학습 시스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학습자 프로파일 기반의 지능형 학습 시스템 (Intelligent learning system based on the profile of learner)

  • 조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227-233
    • /
    • 2016
  • 전통적인 웹기반의 학습시스템은 다양한 학습콘텐츠를 운영한다. 그러나 학습자가 자신에게 적절한 학습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을 계획할 때 학습이력 및 다양한 학습정보를 담고 있는 학습자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여, 학습자에게 가장 적합한 선호도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학습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학습자의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긍정적 피드백과 평가를 결정한다. 또한 학습자가 틀린 부분에 대한 지식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콘텐츠를 적응적으로 제공한다. 그 결과, 학습자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바탕으로 자신이 오류를 배울 수 있도록 하여, 학습의 적용 결과가 가장 잘 나오는 형태로 학습 콘텐츠를 적응적으로 제공해 주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지능형 학습시스템은 실제 학습자에게 적용하였으며 사용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 만족도를 설문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을 위한 광고 자료 선정 (The Study of Selecting Advertisement Materials for Korean Value System Education)

  • 정미경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221-24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and criteria for selecting advertisement materials by exploring the necessity of value system education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suggest advertisements that contain meaningful materials through the criteria among the public and commercial advertisements as of 2017. Advertisements have advantages in three aspects as they focus on current culture, cultural implications and the eas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se advantages indicate the usefulness of advertisements in value education. Also, the research of Hofstede (2010), Kang (2007), and Kim et al. (2011) provide discussion regarding educational contents. Subsequently, the criteria for selecting advertisements are further developed a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 criterion are to consider the objectives of culture education, to take into account the learning situation, to find relevance between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and the contents for the value system education, and consider expressive methods of advertisements and extensibility to the activities. Next,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for core educational items and the list of 22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value system,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criterion of the advertisements discussed in the above.

사용자의 지속적이며 자발적인 참여를 위한 게임화 기반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설계 (Gamifi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design for continuou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Users)

  • 최원겸;윤찬;우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16
    • /
    • 2018
  • 콘텐츠에서 자발적인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고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중요한 일이다. 그 예로 많은 인터넷 콘텐츠 등에서 사용자들의 참여와 그 유지를 위해 금전적 보상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금전적 보상처럼 외재적 동기만을 자극하는 등의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콘텐츠의 대한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사용자 참여를 얻기 위해서는 정교한 설계와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Gamified 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예를 참고하여, 기존의 Contents Management System(CMS)을 확장한 게임화 기반의 CMS(Gamified CMS)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참여와 몰입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확장된 TGT 모델을 이용한 웹기반 협동학습 시스템 (A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using Extended TGT Model)

  • 김경원;홍의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67-476
    • /
    • 2009
  • 웹 기술과 교육 환경의 급속한 발전으로 웹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협동학습에 학습의 흥미와 능동적 참여를 높일 수 있는 게임을 접목하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게임을 사용하는 TGT 학습 모델에 기반한 것들로 대부분 시스템 설계 제안 수준에 머물렀으며, 구현 연구도 순수 TGT 모델만을 구현해 여러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확장된 TGT 모델을 정의하고 이에 기반한 새로운 웹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확장 부분은 Jigsaw II 모델의 전문가 학습, STAD 모델의 향상점수 아이디어, 피드백 학습을 위한 학습자의 게임 문제 출제 참여 등을 포함한다. 순수 TGT 모델 기반 시스템에 대한 제안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두 시스템을 실제 중학교 두 반에게 적용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 시스템이 비교 시스템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임을 보였다.

수평적 학습객체로 구성된 e-러닝 콘텐츠의 개인 맞춤형 학습시스템 구축 방안 (A Construction Scheme for the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Composed of Horizontal Learning Objects)

  • 오용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25-73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대단원 밑에 형성되는 학습단위 혹은 학습마디에 계층성이 없는 수평적 학습객체가 다수 존재하는 e-러닝 콘텐츠에 대하여, 문항반응이론에 입각한 개인 맞춤형 학습시스템을 구축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된 학습시스템은 평가단계와 학습단계를 명백히 구분하여 제공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마디의 운영중에 평가를 진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피험자의 능력을 재추정하여 이를 다음 학습마디의 운영에 적용하는 평가-학습의 다이나믹한 연계를 추구한다. 또한 적절한 대단원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학습마디의 난이도 평균과 문항특성을 수정하고, 학습자 혹은 피험자들의 능력 추정치도 변경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개인 맞춤형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한다. 이러한 구축 방안은 e-러닝 콘텐츠 학습과정을 통하여 변화하는 학습자 능력을 추정하여 가장 적절한 학습내용과 문항을 제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며, 주기적으로 학습시스템 자체의 모수들을 수정함으로써 지속적인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융합시대의 이러닝 콘텐츠 개발대가 산정기준의 실효성 제고 정책 (A Study on Policy for Actualizing the Development Cost Estimation Guidelines of e-Learning Contents in Era of Convergence)

  • 노규성;한태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9-56
    • /
    • 2015
  • 최근 정부는 이러닝 콘텐츠 개발의 대가 기준에 대한 조사를 기반으로 명확한 대가 기준을 수립하고 이러닝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이러닝 콘텐츠 개발 대가 산정 가이드라인(기준)을 공개하였다. 그러나 제도적인 뒷받침이 없으면 제도가 취지와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사문서화될 소지를 안고 있어 정책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가기준 활용 활성화를 위해 이론적 배경 정리와 분석을 통해 대가기준의 단계적 적용 활성화, 대가기준의 제정 고시 및 정기적 조정, 대가기준운영위원회 운영, 이러닝산업 실태조사와의 연계성, 저작권 공동 소유 문화 확산, 개발과정의 체계적인 모니터링, 대가기준 적용 활성화 정책 연구, 표준계약서와 연동을 통한 정책 실효성 제고 등의 정책을 제언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