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seed ratio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3초

콜히친 처리에 의한 4배체 호밀 육성 (Production of Colchicine Induced Tetraploids in Rye (Secale cereale L.))

  • 황종진;김대욱;김철우;손범영;백성범;박형호;구자환;김정태;이진석;문중경;권영업;한옥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43-352
    • /
    • 2012
  • 이 연구는 수량이 많은 4배체 호밀 품종을 육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기존의 2배체 호밀에 0.05% 농도의 콜히친을 처리하여 염색체가 배가된 4배체 식물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배수체 작성효율, 처리시기, 4배체의 작물학적 특성 등 몇 가지 기초자료를 얻었다. 1. Flow cytometry(FC) 방법으로 호밀에서 배수성 여부를 구분하였는데, 2배체는 DNA 양(DAP1)이 50 전후, 4배체는 80~110 범위이었다. 2. 처리시기에 따른 2배체 호밀의 콜히친 처리후 생존율은 최아종자 처리가 18.5%, 2엽기 처리가 78%로 나타났지만, 생존한 개체 중에서 4배체 배가비율은 각각 50.9%, 1.1%로써, 처리시기별 총 4배체 작성효율은 최아종자 처리(9.42%)가 2엽기 처리(0.86%)보다 월등히 높았다. 3. 최아종자에 콜히친 처리 시 처리종자의 생존율은 1차 년도에 평균 18.5%(곡우호밀 33%, 조그린 4%), 2년차에 평균 42%(곡우호밀 56%, 조그린 21%, 참그린 49%)를 보였다. 생존한 개체들 중에서 4배체 비율은 1년차에 평균 50.9%(곡우호밀 53.7%, 조그린 32.4%), 2년차에 평균 60.5%(곡우호밀 64.1%, 조그린 51.5%, 참그린 60%)를 보였다. 4. 최아종자 처리 시 4배체 작성 효율(생존율 ${\times}$ 4배체 유기율)은 1차년도에 곡우호밀 17.7%, 조그린 1.3%, 2차년도에 곡우호밀 35.9%, 조그린 10.8%, 참그린 29.4%로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5. 2배체 호밀에 콜히친 0.05%를 12시간 처리하여 35개의 4배체 식물체에서 148개 이삭과 2,673립의 종자를 얻었다. 식물체당 이삭수는 곡우호밀 4.4개, 조그린 3.3개, 수당 립수는 곡우호밀 18.3개, 조그린 15.6개, 천립중은 곡우호밀 37.6g, 조그린 46.8g 이었으며, 14개 이삭을 갖는 식물체도 2개나 되었다.

국내 육성 콩 품종의 논 재배에 따른 생육반응과 수량성 (Growth and Yield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in Drained-Paddy Field)

  • 김용욱;조준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1-169
    • /
    • 2005
  • 논 재배에 적합한 콩 품종을 선발코자 황금 콩 등 국내 육성 37개 콩 품종을 공시하여 품종간 생육반응과 수량성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토양수분함량이 높은 논에서의 콩 재배 시 생육단계별 콩 품종별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은 매우 다양한데, 특징적인 생육반응은 초기생육이 지연되거나 지하부의 발달이 늦은 반면 지상부가 과번무하여 T/R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품종간 수량성에 있어서도 팔도콩이 134kg/10a 그리고 도레미콩이385kg/10a 차이가 매우 컸다. 2. 생육초기인 V5 stage와 개화성기인 R2 stage의 엽면적은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과 각각 고도의 상관관계 $(r=0.46^{**}\~0.91^{**})$를 보였으며, T/R율의 경우 V5 stage에는 지하부 건물중과 부의 상관관계$(r=-0.37^*)$를 보인 반면 R2 stage에는 엽면적$(r=0.46^{**})$과 지상부 건물중$(r=0.65^{**})$과 유의성 있는 상관 관계가 성립되었다. 3. 수량성은 100립중과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등숙율 포함한 V5 및 R2 stage에서 조사된 다른 형질과는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농업적 주요형질의 생육반응을 기초로 군집분석 한 결과 공시품종들은 크게 3개 군으로 구분되는데,동일 군의 품종들은 생육습성 등 유전적 유사성은 높았으나 수량성은 다양하였다. 5. Group 1에는 새올콩등 9품종이 포함되는데, 생육초기부터 개화성기까지의 생육이 늦은 반면, T/R율이 낮고 등숙이 양호하여 평균 257kg/10a의 수량성을 보인다. Croup 2는 팔도콩 등 12품종이 포함되는데, 지상부의 생육이 과번무하여 T/R율이 높고 등숙이 불량하여, 평균 230kg/10a의 수량성을 보였다. Croup 3에는 진품 콩 등 16품종이 포함되는데, 대부분 중만생종이며, $V5\~R2$ stage의 생육이 왕성하고 T/R율은 비교적 낮고, 등숙울 또한 비교적 높아 평균 수량성이 270kg/10a로 가장 높았다. 6.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Group 3에 속하는 품종 또는 $301\~385kg/10a$의 높은 수량성을 보이는 신팔달콩2호, 소호콩, 도레미콩, 금강콩, 부광콩, 다장콩 및 검정콩2호 등의 품종을 선별하여 재배한다면 논의 적정 경지면적 유지에 의한 국내 쌀 수급안정 및 안정적인 콩 자급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노지재배(露地栽培)에 적응(適應)한 아열대산(亞熱帶産) 뽕나무의 특성(特性)과 양잠(養蠶)에서의 응용(應用) (Characteristic and Application Under the Sericulture of Subtropical Zones Mulberry Adapted Itself to the Field Cultivation)

  • 석영식;박상조;안신헌;한상미;여주홍;한명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68-77
    • /
    • 2005
  • 아열대산 MK-T2의 생태적 특성조사, 발근 특성 그리고 오디의 형태와 이화학적 특성, 사료가치 검정 평가,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의 아미노산 분석과 누에 에탄올 추출액의 약리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 잎과 오디 등 다용도 $\ulcorner$청강상(淸江桑)$\lrcorner$ 자체개발 품종육성의 기본자료로 활용하였다. 1. 아열대산 MK-T2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아 개엽기는 개량뽕과 비교하여 $9{\sim}10$일 빠르며 새순의 발육 또한 67.2 cm로 3 cm 정도 길었으며, 새순의 뽕잎수도 18.6 개로 2개가 많았다. 2. 엽의 형태는 엽장이 엽폭보다 약간 발달한 1.10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엽두께, 엽면적은 각각 $228.2{\mu}m,\;225.6cm^2$로서 개량뽕보다 약간 얇거나 작은편이었다. 3. MK-T2는 화주부분이 0.7mm로 짧게 존재하며 주두내면에 드물게 미모(微毛)가 분포하여 장화계구(長花桂區) 계두유모류(桂頭有毛類)에 속한다고 판단이 된다. 4. 고손장비율은 5.7%로서 개량뽕의 12.9%와 비교하여 상당히 우수하지만 무농약재배의 조건에서 충해의 경우 주당 피해율이 88.6%로서 개량뽕의 47.5%의 거의 2배정도 약함을 보여주었다. 5 .무처리 신소삽목시 발근율이 가지의 굵기와 무관하게 100% 발근하여 온대지역의 개량뽕이 15mm 이상에서 10% 발근한 사실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발근력을 보여주었으며 발근 형태적 특성은 토양과 물 모두 45%비율로 가지의 중부와 하부에서 발근하는 특성을 보여주어 하부에서 발근하는 온대지역의 뽕나무와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6. MK-T2의 오디는 길이가 24.6 mm, 수분율 78.8%, 당도가 19.21 Brix%로 오디용으로 개발된 품보 20, 검설뽕과 비슷한 성적을 나타내었으나 특이하게 pH 4.7로 단맛과 신맛을 함께 지니고 있었다. 7. NK-T2의 사료가치 검정평가 결과 개량뽕과 비교하여 유충기간과 화용비율, 견충비율은 거의 비슷하였으나, 단견중, 견층중. 2만두 수견량은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 엽질이 비교적 우량하다고 평가되었다. 8.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의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개량뽕을 급이한 대조구 간에는 서로 거의 유사한 아미노산 조성을 보여주었으나 MK-T2를 급이한 시험구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하여 Leu에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Ile는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MK-T2 시험구에서는 검출되었다. 9. MK-T2로 사육한 5령3일차 누에 에탄올 추출물의 약리효과 검정결과 누에 에탄을 추출물을 투여한 쥐에서 적출한 신장조직에 대한 HE 염색 및 조직면역화학염색 모두에서 조직학적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고 $TGF-{\beta}1$ 단백 발현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 수준으로 낮아졌다.

Survey of Major Viruses in Commercial Nursery Trees of Major Pear Cultivars in Korea

  • Kim, Nam-Yeon;Lee, Hyo-Jeong;Kim, Na-Kyeong;Oh, Jonghee;Lee, Su-Heon;Kim, Hongsup;Moon, Jae Sun;Jeong, Rae-Dong
    • 식물병연구
    • /
    • 제25권1호
    • /
    • pp.43-47
    • /
    • 2019
  •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ACLSV), Apple stem pitting virus (ASPV), Apple stem grooving virus (ASGV), and Apple scar skin viroid (ASSVd) are economically important viruses that infect pear tree species worldwide.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these viruses in Korea, we investigated infection degree of three viruses and one viroid for the commercial nursery trees of the pear cultivars, Niitaka, Chuwhang, Wonwhang, and Whasan in 2017 and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ection ratio of ACLSV, ASPV, ASGV, and ASSVd for the scion of pear cultivar Niitaka was 10%, 45%, 77%, and 50%, respectively. From the scion of pear cultivar Chuwhang, infection ratios of ASPV, ASGV, and ASSVd were found to be 70%, 50%, and 60%, respectively. From the scion of pear cultivar Whasan, infection ratios of ACLSV, ASPV, ASGV and ASSVd were found to be 40%, 60%, 93%, and 20%, respectively. From the root stock of pear cultivar Wonwhang, infection ratios of ACLSV, ASPV, ASGV, and ASSVd showed 28%, 57%, 100%, and 14%, respectively. ASGV had the highest recorded infection rate, and ACLSV was characterized by the lowest infection rate. The mixed infection ratio of Niitaka, Chuwhang, Whasan, and Wonwhang was 45%, 60%, 70%, and 85%, respectively.

Assessment of Teak (Tectona grandis Linn. f.) Provenance Tests in the Bago Yoma Region, Myanmar

  • Lwin, Ohn;Hyun, Jung-Oh;Yahya, Andi Fadly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686-692
    • /
    • 2010
  • This study described the general pattern of genetic variation among ten teak (Tectona grandis Linn. f.) provenances in Myanmar and determined the most suitable seed sources for the plantation program in Bago Yoma region. Seeds of ten provenances were collected to cover the whole teak natural distribution in Myanmar and planted at four trial sites in Bago Yoma region in 1998. Seven years after planting, variation was assessed for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with geoclimatic factors.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OVA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the traits measured among provenances, trial sites and provenance ${\times}$ site interaction at five percent level.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p<0.01) was found among most of the traits. The regression analyses between all traits and geoclimatic factors indicated the existence of ecoclinal variation in teak. Most of the trai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atitude while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ongitude and C/B ratio, crown-diameter, average branch angle and leaf-remai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temperature and any other traits in this study. Furthermore, growth traits and crown diamet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ean annual rainfall whil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geographical distance and growth traits. Results indicate that the latitudinal pattern of teak genetic variations in growth performance was attributed to the limit of mean annual rainfall. Comparative assessment showed that local provenances were generally the best and could be use as suitable seed sources for the plantation program in the Bago Yoma region.

$CO_2$농도와 온도증가에 따른 한국특산식물 섬자리공과 귀화식물 미국자리공의 발아, 식물계절 및 잎의 형태학적 반응연구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Response of Seed Germination, Phenology and Leaf Morphology of Phytolacca insularis(Endemic species) and Phytolacca americana(Alien species))

  • 김해란;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2-68
    • /
    • 2010
  • 지구온난화 조건 하에 한국특산식물 섬자리공과 귀화식물 미국자리공의 발아, 식물계절 그리고 잎의 형태학적 변화 를 알아보기 위해 $CO_2$농도(+380~420ppm)와 온도($+3.0^{\circ}C$)를 증가시킨 $CO_2$+온도상승구(EC-ET)와 대조구(AC-AT)에서 실험하였다. 두 종의 발아율은 $CO_2$+온도상승구에서 높았으며 발아개시일 역시 빨랐다. 그리고 섬자리공은 미국자리공에 비해 낮은 발아율 보였다. 섬자리공은 2년 통안 영양생장만 일어난 반면 미국자리공은 2008년과 2009년 한 해에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모두 하였다. 두 종의 식물계절은 $CO_2$농도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개업, 꽃대형성, 개화, 열매발달과 성숙시기가 빨라졌으며 잎의 노화 시기는 늦춰졌다. 섬자리공의 잎몸 길이는 $CO_2$농도와 온도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 미국자리공은 $CO_2$+온도상승구에서 높았다. 잎몸 폭 길이는 두 종 모두 $CO_2$+온도상승구에서 높았다. 두 종의 총 잎 수는 구배별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비엽면적은 섬자리공이 대조구에서 높은 반면 미국자리 $CO_2$+온도상승구에서 높았다. 이상으로 볼 때, 지구온난화가 되면 미국자리공이 섬자리꽁보다 $CO_2$농도와 증가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An updated taxonomy of the family Linderniaceae in Korea

  • Bazarragchaa, Badamtsetseg;Yang, Seungah;Kim, Hyoun Sook;Lee, Sang Jin;Lee, Joongku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1007-1018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according to morphological observations followed by recent circumscriptions, we have classified the Korean taxa of the family Linderniaceae into Scrophulariaceae sensu lato has been considered in several works, though the taxa have remained undefined because identification work was mostly done according to vegetative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the leaf shape, leaf margins, and leaf venation. The taxa of Linderniaceae are mostly considered to be weeds and, for correct identific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ir taxonomic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samples collected in the field. Micro-morphological observations of the vegetative and floral parts were also performed using light microscopy (L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e concluded that important characteristics are reproductive morphologies viz. calyx, stamen structure, capsule shape, calyx ratio with capsule, inflorescence morphology, and seed morphology. As a result, we formulated taxa descriptions and provided a key of the genera of Linderniaceae in Korea. Lindernia crustacea (L.) F. Muell. is transferred to Torenia crustacea (L.) Cham. & Schltdl. Lindernia micrantha D. Don and L. angustifolia (Benth.) Wettstein are a synonym of Vandellia micrantha (D. Don) Eb. Fisch., Schäferh. & Kai Müll. Lindernia attenuata Muhl. and L. dubia var. major (Pursh) Pennell are a synonym of Lindernia dubia (L.). Lindernia verbenifolia (Colsm.) Pennell is a synonym of Bonnaya antipoda Druce. Our study reports the presence of four genera: Bonnaya, Lindernia, Torenia, and Vandellia, comprising six taxa under the family Linderniaceae in Korea.

개망초 ( Erigeron annuus L. ) 의 生活史 및 生育特性 (Life history and growth pattern on the erigeron annuus)

  • Lee, Ho-Joon;Tae-Sung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211-230
    • /
    • 1991
  • The germinatin of e. annuus continued from the middle ofmay to mid-october. The maximum germination occurred on the mid-july. The period bloom of was distingushed amongs the different growth forms ; a orm pr of biennial and a form of pr perennial flowering from the mid-may to mid-september, and a form ps biennial blossom from the beginning of October to earlynovember. the dispersal of seed for(a form pr)occurred from early June to the mid-september. A rotte, germinating from summer to autumn, could classified into several growth forms; individuals without a critical leaf area for bolting until september and October, become a form ps of biennial, whicth did not proceed toreproductive growth unitl the next year, even thought wintering. individuals flowered on 3 years after germination become a form pr of perennial. The growth formular of aform pr of bennial, grown in a pot was w=20.2[1+$3.36{\times}10^3$(-0.062t)]$^{-1}$. The maximum relative growth rate(rgr) was 0.062g/g/day and the maximum net assimlation rate(nar) 0.089g/g/day. Therelative growth among each organ was shown as R=0.12 $T^{1.15}$between the avove-ground part(t) and the below- ground part(r). the relation between the avove-ground part(t) and the ratio of stem weight(wi) was ws/wi=2.56 $T^{0.35}$. n.p.k. was largely distributed on a leaf throughoutthe total growth period. while growing, it tended to decrease on the vegetative organ gut vice versa on the reproductive organ. however, nitrogen was more widely distributed on a leaf then in the reproductive organ.

  • PDF

Studies on Cyt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ymus humidus as Genetic Resources Compared to Common Wheat (Triticum aestivum L.)

  • Ji-Yoon Han;Seong-Wook Kang;Sejin Oh;Yumi Lee;Myoung-Jae Shin;Sukyeung Lee;Seong-Woo C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216-22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lymus humidus on common wheat (Triticum aestivum L. cv. Chinse Spring, CS). The seed length, width, height, and weight of E. humidus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CS. In particular, the germination rate of E. humidus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CS. In the anatomical dissection of the leaf, E. humidus showed a considerably different xylem diameter of the main vascular bundle in the main vei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hloem of the main vascular bundle compared with the xylem and phloem of the main vascular bundle in the main vein of CS, although E. humidus showed a leaf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CS. In addition, E. humidus had a thinner epidermis than that of CS. Regarding stomatal traits, E. humidus showed a graminoid stomata type similar to that of CS. On the adaxial and abaxial sides, the density, length, and width of the stomata in E. humidus were smaller than those in CS, whereas the distance between stomata in E. humidus was greater than that in CS. The chromosomes of E. humidus were classified as long and short based on their respective lengths. Long chromosom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ratio of the long arm to the short arm e.g., 1:1 or 2:1. Short chromosomes showed the same trend and some short chromosomes were microsatellites. To evaluate genetic diversity, 38 barley EST markers with polymorphisms between E. humidus and CS were selected from 236 barley EST markers.

우리나라 재래벼의 작물학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drace in Rice)

  • 강희경;안대환;박용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5-90
    • /
    • 2003
  • 우리나라의 재래벼 192품종을 공시하여 다양한 작물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양적 형질간의 상근관계를 검토하여 유기농업 및 친환경농업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추후 이를 품종육성의 소재로 활용하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래벼는 파종에서 출수까지 평균 111.1일이 소요되어 중생종에 속하는 품종이 많았고 초장과 간장은 일반 재배 품종에 비하여 대부분 20∼40cm 정도 컸다. 2. 엽폭과 이삭의 평균 길이는 각각 1.3cm, 22.4cm이었고 주당 이삭수는 평균 10개로 소얼성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현미의 장폭비는 평균 1.7이었고 장립종도 일부 존재하였으며 천립중은 평균 21.6g이었다. 3. 재래벼의 양적 형질간 상관관졔는 간장과 수장, 엽폭, 출수기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출수기와 천립중 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이 존재하였다. 4. 간강도는 27.1%가 약한 특성을 나타내었고 엽신과 엽초의 색은 3.6%가 자주줄무늬를 나타냈으며 엽각와 지엽각도는 직립형이 각각 46.9%, 10.9%이었고 엽노화도는 지연형이 24.0%이었다. 5. 재래벼의 74.5%가 까락이 있었고 찰벼는 20.3%, 갈색종피는 4.2%가 존재하였으며, 주두색, 영색, 부선색 및 망색은 백색, 갈색, 적색 및 자색 등 다양한 색이 존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