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rust resistanc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Evaluation of leaf rust resistanc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s

  • Kim, Minseo;Lee, Aro;Truong, Hai An;Kang, Chon-Sik;Choi, Changhyun;Chung, Namhyun;Lee, Hojoung;Lee, Byung Ch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3호
    • /
    • pp.293-297
    • /
    • 2019
  • Leaf rust is the most widespread and destructive fungal disease, and outbreaks have always caused considerable losses in wheat yields. Thus, worldwide increases in wheat production depend on the development of leaf rust-resistant wheat varieti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sistance of forty Korean wheat cultivars to leaf rust at the seedling stage. Only two Korean wheats, Ol and Jonong, were resistant to leaf rust, whereas the remaining thirty-eight Korean wheats were susceptible to leaf rust. The Ol and Jonong varieties presented larger dry seed weights an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response to leaf rust than the susceptible wheat varieties. No differences in ${\beta}$-1,3-glucanase activity or chlorophyll content between resistant and susceptible wheat varieties were observed. Overall, these results ar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wheat varieties that are highly resistant to leaf rust and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that confer leaf rust resistance.

Melampsora 잎녹병에 대한 포플러 클론의 저항성 변이 (Variation in Resistance of Poplar Clones to Melampsora Leaf Rust)

  • 우관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1-175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에 있는 자생포플러, 도입포플러, 교잡종포플러 15개 클론 삽목묘의 잎녹병에 대한 감수성을 규명하고 저항성 클론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개체별 잎녹병 피해도는 감염된 잎을 경, 중, 심으로 구분하여 일정한 점수를 부여한 후 한 나무당 감염된 잎의 비율로서 추정하였다. 실험에 포함된 15개 포플러 클론들 중 Dorskamp, 봉화 1, 현사시 3이 한국에서 만연하고 있는 Melampsora 잎녹병균에 저항성이 높은 클론으로 선발되었는데 이들 중 봉화 1과 현사시 3은 포플러 6개 절(section)중 Leuce 절에 속하고Dorskamp는 Aigeiros 절에 속한다. 특히 Dorskamp는 외관상으로도 잎녹병에 감염된 잎이 현저히 적어 포플러잎녹병 저항성 품종으로 추천할 만한 클론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 개발 (Development of New Cultivar 'Millock' in Zoysiagrass)

  • 최준수;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06
  • 본 실험은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특허출원: 10-2005-0110051)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국내외에서 수집한 한국잔디류중 우수계통 MJ8를 선발 한 후, 인공자식을 통하여 변이를 확대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품질이 우수한 계통(MJ8S-9)을 선발한 것이다. 신품종 '밀록'은 밀도가 기존의 한국잔디류와 비교해 가장 높았고, 또한 녹색도가 높아 우수한 잔디 품질을 보이며, 녹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형태적 특성으로 엽폭은 4.2rnm로 중엽형이며, 잎 각도는 52.5도로 넓어 광합성 효율이 높다. 지면으로부터 최하위 엽의 잎몸 기부까지의 길이가 1.9cm로 짧아 낮게 깎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밀록'은 지상 포복경의 색이 황록색이며, RAPD 분석에서 특이밴드를 갖고 있어 다른 잔디류와 식별성이 높은 영양 번식형 신품종이다.

올리고키토산에 의한 토마토 역병과 감자 역병의 방제 (Control of Late Blight of Tomato and Potato by Oilgochitosan)

  • 최용호;최경자;김병섭;장경수;윤미영;박명수;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29-135
    • /
    • 2011
  • 키토산은 D-glucosamine과 N-acetyl-D-glucosamine이 ${\beta}$-(1-4)로 연결된 직선상의 다당류이다. 분자량이 3,000 amu 이상인 키토산에 대한 in vivo 항균활성 및 저항성 유도 활성에 대한 보고는 많지만, 분자량이 3,000 이하인 올리고키토산에 대한 in vivo 항균활성에 대한 논문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올리고키토산은 P. infestans에 의해 발생하는 토마토 역병에 대하여 500 ${\mu}g$/ml과 1,000 ${\mu}g$/ml 수준에서 94% 이상의 매우 높은 접종 1일전 예방효과를 보였으며, 고추 탄저병과 밀 붉은녹병에 대해서는 500 ${\mu}g$/ml과 1,000 ${\mu}g$/ml 수준에서 67% 내지 89%의 중간 정도의 에방효과를 항온항습실 조건에서 보였다. 다른 한편으로 올리고키토산은 고추 탄저병에 대하여 접종 16시간 후 치료효과를 보였지만, 토마토 역병에 대해서는 치료효과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포장에서 올리고키토산 액제는 감자 역병과 토마토 역병에 대하여 각각 72%와 48%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올리고키토산이 감자 및 토마토 역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 유기농자재로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강력하게 나타낸다.

내한 내도복 다수성 조사료용 트리티케일 품종 '광영' 개발 ('Gwangyoung', Forage Triticale Cultivar of Winter Hardiness, Resistance to Lodging and High-Yielding)

  • 한옥규;구자환;박종호;김진진;우제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15
    • /
    • 2021
  • 트리티케일 품종 '광영'은 2018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광영'은 폭이 넓고 길이가 중간 정도인 녹색잎과 황갈색이면서 중간 길이의 이삭, 크기가 크고 황갈색인 종실을 가졌다. '광영'은 표준품종인 '신영'과 비교할 때 출수기가 전국 평균 4월 22일로 같았고, 내한성·내도복성·내병성도 같은 수준이었으며, 지상부의 잎 비율이 27.5 %로 '신영'의 21.2 % 보다 높았다. 생초수량은 ha당 평균 50.0톤, 건물수량은 평균 17.6톤으로 '신영'의 각각 47.0톤, 17.1톤에 비해 높았다. 품질특성으로 '광영'은 '신영'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5.3 %로 다소 낮았고, NDF 및 ADF 함량도 각각 58.2 %와 34.9 %로 다소 높았으며, TDN 함량은 61.3 %로 약간 낮았으나, 사일리지 등급은 1등급이었다. '광영'은 종실 수량이 ha당 6.03톤을 보였다.

분화용 국화 노랑색 홑꽃 'My Sun' 육성 (New Yellow Single Chrysanthemum 'My Sun' for Pot Plant)

  • 정윤경;임재욱;이상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325-328
    • /
    • 2012
  • 'My Sun'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분화용 국화 신품종으로 2005년도에 오렌지 계열 분화용 국화 'Omega Time Orange'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흰색 'Tasman'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얻었다. 이 품종은 노란색 꽃잎을 가진 초장이 짧은 홑꽃이다. 2006-2009년까지 춘계 촉성재배와 동계 억제재배를 포함하는 특성검정을 수행하였다. 'My Sun'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 13일이며, 전조재배와 차광재배로 개화가 조절되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화경은 21mm, 착화수는 본당 34.4매이고 꽃잎수는 20.4매이다. 엽색은 녹색(Green Group 137A)이고 초장은 13.3cm이다. 개화소요일수는 춘계에는 단일처리 후 42일 정도이며, 분지수는 겨울철에는 3.4개 정도를 가진다. 이 품종은 흰녹병 저항성이고 대조품종에 비해 기호도가 높은 편이었다.

조숙 내도복 종실 다수성 조사료용 트리티케일 품종 '조영' ('Choyoung', Triticale Cultivar for Forage of Early-Heading, Resistance to Lodging and High Seed Production)

  • 한옥규;박형호;박태일;오영진;안종웅;구자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8-74
    • /
    • 2019
  • 트리티케일 품종 '조영'은 2015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조영'은 넓이가 중간이고 길이가 긴 녹색 잎과 갈색이면서 중간 길이의 종실을 가졌다. '조영'은 출수기가 전국 평균 4월 30일로 표준품종인 '신영'보다 2일 빨랐으며, 한해는 '신영'과 대등하였고,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아 도복에는 강하였으며, 습해 흰가루병 잎녹병 등에 저항성을 보였다. 생초수량은 ha당 평균 40.5톤, 건물수량은 15.7톤으로 표준품종과 대등하였다. 품질특성으로 '조영'은 '신영'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5.9 %로 다소 높았고, NDF 및 ADF 함량도 각각 57.3 %와 33.9%로 다소 높았으며, TDN 함량은 62.2 %로 약간 낮았다. '조영'은 종실 수량이 ha당 5.59톤으로 4.05톤인 '신영'에 비해 38 %가 많았다.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10^{\circ}C$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다.

조생 다수성 조사료용 4배체 호밀 '대곡그린' (An Early-Maturing and High-Biomass Tetraploid Rye (Secale cereale L.) Variety 'Daegokgreen' for Forage Use)

  • 구자환;한옥규;오영진;박태일;김대욱;김병주;박명렬;라경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09-215
    • /
    • 2020
  •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조사료용 4배체 호밀품종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0년에 백체가 출현한 곡우호밀 최아종자와 2엽기에 도달한 유식물체에 콜히친을 처리하여 4배체로 검정된 계통 중 초형, 숙기 및 수량성 등에서 우수한 'CG11003-8-B'을 3년에 걸쳐 선발하였다. 2013년에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조숙성이고 조사료 생산성이 높아 '호밀59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14년부터 3년간 전국 4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성을 검정한 결과 조사료 수량 뿐만 아니라 내도복 등 내재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2016년 직무육성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되어 '대곡그린'으로 명명되었다. 출수가 완료된 시기의 '대곡그린'의 초형은 직립이고, 엽색은 진녹색이며, 잎 길이는 길고, 엽폭은 넓은 편이다. 성숙한 시기의 줄기는 황갈색으로 중간 정도의 굵기이며, 종실은 연갈색이고, 크기가 대립이다. '대곡그린'의 출수기는 4월 17일로 표준품종인 '곡우' 보다 2일 늦다. 출수 후 10일경 초장은 138cm로 '곡우'와 비슷하였다. 내한성은 '곡우'와 같은 수준이며, 도복은 '곡우' 보다 강하였고 습해와 병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대곡그린'의 생초수량은 ha당 37.0톤(곡우 38.4톤), 건물수량은 평균 7.7톤(곡우 8.0톤)으로 '곡우' 보다 약간 적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대곡그린'의 조단백질 함량은 8.9%로서 '곡우' 보다 1.0%포인트 높았으며, TDN은 56.9%로 '곡우'(57.1%)와 비슷한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