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pigmen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1초

환경오염지에서 생육하는 사방오리나무의 색소함량 및 항산화능력의 계절변화 (Seasonal Changes of Pigment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in Leaves of Alnus firma at Polluted Area)

  • 한심희;이재천;오창영;김종갑;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15
    • /
    • 2006
  • 오염물질에 노출된 수목에서 잎의 발달 단계와 항산화 기능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월부터 6월까지 색소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폐광지역과 공단지역내 수목의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기능은 잎 발달과 함께 변화하며, 6월에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 중 계절 변화와 상관을 나타내는 것은 카로테노이드, SOD 및 CAT였으나, 카로테노이드와 SOD는 정(+)의 상관을 나타냈고, CAT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H_{2}O_{2}$,를 제거하는 데 관여하는 APX와 CAT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가장 낮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시기는 4월이었으며, 이 시기에는 스트레스로 인해 피해 수준도 낮았다.

갓김치 숙성 중의 무기질, 색소, 조직, 관능 및 미생물군의 변화 (Changes in Mineral, Pigment, Texture, Sensory Score and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of Gat(Leaf Mustard)-Kimchi)

  • 박석규;전순실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1-138
    • /
    • 1995
  •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at-Kimchi, a salted and fermented lear mustard, changes in mineral, pigment, texture, sensory score and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at 5$\pm$2$^{\circ}C$ were investigated. Changes in mineral, including iron, calcium and potassium were obviously shown and their contents were markedly decreased after 14 days of fermentation. Contents of total chlorophyll and carotenoid were slowly decreased after 6 and 10 days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and ratios of chlorophyll a/b were not changed and similar to those of other cruciferous vegetable Kimchi during fermentation. Shear force of Gat-Kimchi in rheometer during fermentation was increased. The sourness and hardness(p<0.05) of Gat-Kimchi after 24 days of fermenta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 sensory evaluatio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ff-flavor, color and hotness. Compared with other Kimchi, taste of Gat-Kimchi was desirably kept for 54 days of fermentation. Total viable count and lactic acid bcateria(Genus Lactobacillus) observed to be Increased in the range of 18 to 24 days and yeasts to be gradually increased during overall period of fermentation.

  • PDF

Changes of Organic Acids, Polyphenols, Pigments and Fiber Concentration with a Different Stalk Position and Grade of Korean Flue-cured Leaf Tobacco

  • Volgger Dietmar;Hwang Keon-Joong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6-192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organic acids, polyphenols, pigments and fiber materials concentration with a different stalk position and grade of korean leaf tobaccos. Eight kinds of flue-cured leaf tobaccos which were different stalk position and grade were used for this study. Three kinds of major organic acids(citric, malic and oxalic), 2 kinds of polyphenols(chlorogenic acid and rutin), 3 kinds of pigments($\beta$-carotene, chlorophyll-a and chlorophyll-b), and 2 kinds of fiber components(pectin and lignin) were analyzed. All of these chemical components were changed with a different stalk position. When the citric acid, malic acid, $\beta-carotene$, chlorophyll-a, and lignin concentration were low in the middle stalk position and high in both bottom and upper position, oxalic acid and chlorogenic acid show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the middle stalk position. All of these chemical components also changed with a different grade of leaf tobaccos. As the citric acid, malic acid, $\beta-carotene$, chlorophyll-b, and lignin concentration decreased as the grade ascended, the oxalic acid and chlorogenic acid concentration increased as the grade ascended. This results assumed that the quality of korean leaf tobacco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oxalic acid and chlorogenic acid concentration but it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citric acid, malic acid, $\beta-carotene$, chlorophyll-b and lignin concentration.

인삼 엽소병에서 색소의 광산화작용에 관한 연구 1. Chlorophyll bleaching의 현상학적 연구 (Investigation on the Photooxidation of Pigment in Leaf-Burning Disease of Panax ginseng 1. Phenomenological observation and analysis on the chlorophyll bleaching phenomenon)

  • 양덕조;유희수;윤재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91-100
    • /
    • 1987
  •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엽소병에 대한 고사원인을 현상학적 측면에서 관찰, 분석한 결과 chlorohphyll의 bleaching현상은 적색광(660~700nm)에서 일어났으며, 청색광(400~500nm)에서는 광산화에 의한 bleaching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엽소병에 의한 고사원인으로 대두되었던 환경요인 "온도"는 chlorohphyll의 bleaching현상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단순연소(simple burning)설은 본 실험을 통해 배재되었으며, 낮은 pH는 chlorohphyll의 bleaching속도를 가속화시켜 주었다. 엽소병에서 chlorohphyll의 bleaching현상을 유발시키는 1차적요인은 인삼잎의 독특한 구조적 차이에 의한 것이었다.

  • PDF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출토 목관 칠 분석을 통한 제작방법 연구 (Lacquer Layers and Making Methods of the Wooden Coffin Excavated from the Nongso Tomb of Unrimri, Sunchang in Korea)

  • 이혜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5-362
    • /
    • 2017
  • 순창 농소고분은 적성면 운림리 일대와 내월리 농소마을을 둘러 형성된 구릉지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고분의 토광은 비교적 깊은 곳에 조성되어 도굴의 피해가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다량의 숯으로 채워져 있어 목관이 비교적 좋은 상태로 출토되었다. 고분 구조 및 매장시설, 출토 유물, 방사선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농소 고분의 축조시기는 고려시대 후기부터 조선 초기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목관은 목곽과 목관의 2중 구조로 목관 외면에 두껍게 옻칠을 하고 금색 문자와 흰색 문양으로 장식되었다. 안료 분석 결과 금색 문자는 금(Au), 흰색 문양은 은(Ag)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칠 막은 안료 층, 황갈색 층, 검은 층의 3개 층으로 관찰되었다. 검은 층은 그을음과 같은 검은 물질로 목재 바탕의 밑칠로 사용되었다. 황갈색 층은 옻칠로서 정제칠로 추정된다. 목관 칠막 분석을 종합하면 칠 제작방법은 금박을 이용하는 방법과 금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추정된다. 안료 형태 및 내부 구조상으로는 금박이 유력하지만 표현된 글자의 형태를 보면 금분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금박과 금분을 이용한 재현실험을 통하여 제작방법을 확인한다면 고분 축조 당시 칠기 제작기술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온도 증가와 건조 스트레스가 백합나무의 생장, 광합성 및 광색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Pigment Contents of Liriodendron tulipifera under Elevated Temperature and Drought)

  • 김길남;한심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84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조림수종인 백합나무 유묘의 온도 증가와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생장 및 생리 반응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온도 제어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 39)의 환경제어실 인공 광 챔버를 이용하였다. 처리 온도는 Fig. 1과 같이 최근 30년 동안(1981-2010) 우리나라 전국 월 평균을 기준으로 $-3^{\circ}C$, $0^{\circ}C$, $+3^{\circ}C$, $+6^{\circ}C$로 설정하였다. 건조 처리는 6월부터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로 구분하여 대조구는 충분히 관수하여 최저 -0.1 MPa 이상의 토양 수분 포텐셜을 유지시켰고, 건조처리구는 유묘의 잎에 초기위조 현상이 나타날 때까지 관수를 하지 않았다. 온도 증가 및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백합나무 유묘의 근원경과 수고의 상대생장율은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상대 생장율을 나타냈으며, 대조구와 건조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백합나무 유묘의 엽면적과 총 건중량을 측정한 결과, 근원경 및 수고 생장과 같은 경향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엽면적과 총 건중량이 증가하였다. 근원경, 수고, 엽면적 및 총 건중량 모두 건조 처리구 내 $-3^{\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 백합나무 유묘는 온도 증가보다 저온에 의해서 피해를 입는 것으로 생각된다. 광합성 속도, 암호흡 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속도도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저온 처리구인 $-3^{\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수분 이용효율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엽록소 및 카로테노이드 함량도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온도 증가는 백합나무 유묘의 생리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과 함께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온도 감소는 백합나무 유묘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생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Xanthomonas fragariae에 의한 딸기 세균성모무늬병 (Angular Leaf Spot of Strawberry Caused by Xanthomonas fragariae)

  • 권진혁;윤혜숙;김정순;심창기;남명현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97-100
    • /
    • 2010
  • 2009년 진주시 수곡면 딸기 노지재배 육묘 포장과 하동군 옥종면 촉성재배 시설하우스 딸기포장에서 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에 수침상의 작은 반점이 서서히 생기면서 엽맥의 주위에 다각형의 모무늬 병반이 나타나고 노란색의 달무리가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병든 잎은 서서히 시들고 암갈색으로 말라 죽는다. YDC 배지 상에서 병원균의 균총은 노란색을 띤 오랜지 색소를 분비하며 둥근 콜로니를 형성하고 단극모를 가지고 있다. 딸기에 접종한 결과 병원성이 잘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딸기에 발생한 병정, 병원균의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Xanthomonas fragariae에 의한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으로 동정하였다.

실새삼의 광합성색소 생합성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i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Dodder(Cuscuta australis R. Br.) Plant)

  • 김진석;곽현희;김병철;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4-324
    • /
    • 1997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실새삼에는 광합성색소 생합성과정이 존재하는지, 있다면 다른 식물에 비하여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광합성색소 대사과정에 작용점을 가지는 제초제에 대하여 반응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실험하였다. 1. 야외의 자연광 조건에서 자라고 있는 실새삼 생육지의 엽록소함량은 메꽃 줄기와 비교하여 볼 때 9배가 낮았고, 메꽃 잎과 비교하여 볼 때는 약 50배 낮은 경향이었다. 2. 종자로부터 발아된 실새삼 유묘의 경우 선단부위가 색소함량이 가장 높았다. 생육지의 경우는 신장지(extension stem)에서 색소함량이 가장 높았고, 권지(twining stem), 선단 15cm 아래의 절간 순으로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생장이 계속됨에 따라 오래된 줄기에서의 엽록체 퇴화가 신속하게 일어나는 경향이었다. 3. 생육지의 색소함량은 광도에 따라 생체중 1g당 엽록소 함량이 20-170${\mu}g$까지,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40-120${\mu}g$ 범위까지 변하는 경향이었다. 자연일장조건에서 채취하여 낮은 색소함량을 가진 줄기를 여러 광도에 24시간 둘 경우 91${\mu}Em^{-2}s^{-1}$PAR 내외의 광도까지는 초기색소함량의 3배까지 증가되었고, 광도가 456${\mu}Em^{-2}s^{-1}$PAR 이상에서는 엽록소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4, 5mM의 ALA를 외부에서 공급할 경우 메꽃의 근경으로부터 나온 신초에서는 Pchlide가 7배 이상 증가되었으나 실새삼 생육지 선단에서는 40% 정도만 증가되었다. 한편 ALA를 공급한 후 저광도에 둘 경우 미미한 엽록소 증가경향만 보여 상대적으로 실새삼은 ALA에 대해 매우 둔감한 특정을 보였다. 5. Paraquat, norflurazon, oxyfluorfen, diuron 등의 제초제를 처리할 경우 모든 처리에서 색소소실이 관찰되었다. 아울러 oxyfluorfen을 처리하면 일반식물에서와 같이 protoporphyrin IX의 축적도 얼어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실새삼은 낮은 수준이지만 엽록소 및 카로티노이드 생합성과정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나 조직부위별로 그 수준이 다르고 주변환경의 영향 특히 광도에 따라 크게 조절되고 성장함에 따라 하부조직에서의 엽록체 퇴화가 빠른 특징을 보였다. 색소대사 과정에 작용점을 가지는 제초제들에 대하여 제초반응은 나타내지만 낮은 수준의 광합성색소 생합성 능력과 기주식물로부터의 영양분 탈취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탁월한 제초효과를 보여주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Using Phenolic Compounds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as Distinguishing Factors to Evaluate the Diversity of Perilla Genetic Resources

  • Assefa, Awraris Derbie;Jeong, Yi Jin;Rhee, Ju-hee;Lee, Ho-Sun;Hur, On-Sook;Noh, Jae-Jong;Ro, Na-Young;Hwang, Ae-Jin;Sung, Jung-Sook;Lee, Jae-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49
    • /
    • 202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in leaves of perilla genetic resources, assess whether they could be used as distinguishing factor among germplasms, and evaluate their relationship with som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s. TPC and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were determined using Folin-Ciocalteu method and UPLC-PDA system, respectively. Wide variations in TPC (7.99 to 133.70 mgGAE/g DE), rosmarinic acid (ND to 21.05 mg/g DE), caffeic acid (ND to 1.17 mg/g DE), apigenin-7-O-diglucuronide (ND to 2.21 mg luteolin equivalent (mgLUE)/g DE), scutellarein-7-O-glucuronide (ND to 5.25 mg LUE/g DE), and apigenin-7-O-glucuronide (ND to 2.81 mg LUE/g DE) were observed. Intensities of green pigment at abaxial and adaxial leaf surfac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enolic compounds whereas leaf length and width had negative correlation. Purple pigmented accessions were shorter in leaf length and width but exhibited higher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compared to green pigmented accessions in most cases. Leaf shape was not related with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color of leaves, and length/width of leaves. TPC and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along with morphological characters could be useful distinguishing factors for perilla genetic resources.

인삼엽요병에서 효소활성도의 변화 (Study on the Enzyme Activity in Leaf-Burning Disease of Panax ginseng C.A. Meyer)

  • 양덕조;김명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92-97
    • /
    • 1989
  • 인삼엽을 강광(100 KLuw) 및 고온($45^{\circ}C$, 암상태)에 처리하여 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 catalase, peroxidase)의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두 처리구에서 공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특기 강광에서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활성도 감소는 효소의 thermal stabilities나 coagulation 등과 같은 광에 의한 2차적인 엽온상승 효과에 따른 inactivation이 아니며, proteolytic activity 증가로 인한 효소단백질의 함량감소로 확인되었다. 인삼엽에서 proteolytic activity가 강광에 의해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정상엽(normal leaf)에 inactive 상태로 내재(compartmentation)되어 있는 proteinase가 타 식물에 비해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hlorphyll bleaching과 효소의 inactivation을 유발시킬 수 있는 superoxide radical(${O_2}^{-}$)의 광화학적 생성율이 비교식물(Solanum nigrum)보다 높게 나타나고 crude saponin이 superoxide의 생성율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아 superoxide에 의한 pigment system의 광산화율이 타 식물에 비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