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mod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5초

Mapping Paddy Rice Varieties Using Multi-temporal RADARSAT SAR Images

  • Jang, Min-Won;Kim, Yi-Hyun;Park, No-Wook;Hong, Suk-You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53-660
    • /
    • 2012
  • This study classified paddy fields according to rice varieties and monitored temporal changes in rice growth using SAR backscatter coefficients (${\sigma}^{\circ}$). A growing period time-series of backscatter coefficients was set up for nine fine-beam mode RADARSAT-1 SAR images from April to October 2005. The images were compared with field-measured rice growth parameters such as leaf area index (LAI), plant height, fresh and dry biomass, and water content in grain and plants for 45 parcels in Dangjin-gu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average backscatter coefficients for early-maturing rice varieties (13 parcels) ranged from -18.17 dB to -6.06 dB and were lower than those for medium-late maturing rice varieties during most of the growing season. Both crops showed the highest backscatter coefficient values at the heading stage (late July) for early-maturing rice, and the difference was greatest before harvest for early-maturing rice. The temporal difference in backscatter coefficients between rice varieties may play a key role in identifying early-maturing rice fields. On the other hand, comparisons with field-measured parameters of rice growth showed that backscatter coefficients decreased or remained on a plateau after the heading stage, even though the growth of the rice canopy had advanced.

Relationship between RADARSAT Backscattering Coefficient and Rice Growth

  • Hong, Suk-Young;Hong, Sang-Hoon;Rim, Sang-Kyu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9-116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use of RADARSAT data which is C-band with HH polarization for the rice growth monitoring in Korea. Nine time-series data were taken by shallow incidence angle (standard beam mode 5 or 6) during rice growing season. And then, backscattering coefficients ($\sigma$$^{\circ}$) were extracted by calibration process for comparing with rice growth parameters such as plant height, leaf area index(LAI), and fresh and dry biomass. Field experimental data concerned with rice growth were collected 8 times for the ground truth at the study area, Tangjin, Chungnam, Korea. At the beginning of rice growth, backscattering coefficients were ranged from -l6~-l3dB when rice fields were not covered with rice canopy and flooded. At the maximum vegetative stage of rice, backscattering coefficients of the rice field were the highest ranging from -4.4dB~-3.1dB. The temporal variation of backscattering coefficient($\sigma$$^{\circ}$) in rice field was significant in this study. Backscattering coefficient ($\sigma$$^{\circ}$) of rice field was a little bit lower again after heading stage than before. This results show RADARSAT data is promising for rice monitoring.

대규모 동적 해싱 디렉토리의 구현 및 평가 (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Large-Scale Dynamic Hashing Directories)

  • 김신우;이용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924-942
    • /
    • 2005
  • 최근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과 검색을 위해서 리눅스 클러스터 파일시스템의 디렉토리는 점차 대규모로 되고 있다. 그들 중 대표적인 GFS의 디렉토리는 동적 해싱의 하나인 빠른 검객을 지원하는 확장 해싱을 이용하고 있다. GFS의 디렉토리의 주된 특징은 모든 리프 노드들이 트리의 동일한 레벨에 놓이는 플랫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리프 노드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게 되면 레벨이 하나 증가하면서 갑자기 데이터 블록의 임의의 평균 접근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동적 해싱으로는 선형해싱을 들 수 있고, 이는 확장 해싱보다 파일 접근에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플랫 구조보다 더 좋은 접근 성능을 가지는 세미 플랫 구조를 이용하여, 대규모 리눅스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을 위한 확장 해싱 디렉토리와 선형 해싱 디렉토리를 설계 및 구현하고 그들의 성능을 비교한다. 성능 평가 결과, 파일의 삽입 면에서는 선형 해싱 기반의 디렉토리가 좋은 성능을 보였으나, 공간 활용 면에서는 확장 해싱 기반의 디렉토리가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 조사방법이 빔 파라미터 및 선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Dosimetric Evaluation of Static and Dynamic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and Delivery)

  • 김성규;김명세;윤상모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2호
    • /
    • pp.114-122
    • /
    • 2006
  •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는 다엽콜리메타의 구동방식에 따라 static 방법과 dynamic 방법이 있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정도관리는 치료계획의 정도관리, 치료정보의 전달에 관한 정도관리, 치료전달 과정에 대한 정도관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static 방법과 dynamic 방법에 대하여 같은 조건으로 치료계획 정도관리를 시행하여 dynamic 방법의 환자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세기조절방사선치료에서 다엽콜리메타의 움직임이 static 방법인 stop and shoot 방법과 다엽콜리메타의 움직임이 dynamic 방법인 sliding window 방법과 비교검토한 결과 임상표적용적(clinical target volume, CTV)의 크기가 직경 3 cm인 경우에서는 중심점에서의 선량분포 차이가 0.2%였으며, 선량분포의 90% 면적의 차이가 2.7%였으며, CTV의 크기가 직경 7 cm인 경우에서는 중심점에서의 선량분포 차이가 0.2%였으며, 선량분포의 90% 면적의 차이가 2.2%였으며, CTV의 크기가 12 cm인 경우에서는 중심점에서의 선량분포 차이가 0.4%였으며, 선량분포의 90% 면적의 차이가 2.9%였다. 실제 폐암 환자에서도 CTV의 크기에 따라 static 방법과 dynanic 방법에서 중심점에서의 선량 차이는 0.3%에서 0.6%를 나타내고 있다. 가상 펜텀에서는 CTV의 크기에 따라 중심점에서의 측정 선량이나 90% 등선량 곡선 면적이 차이가 없었고, 실제 폐암환자에서는 중심점의 측정선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90%등선량곡선의 면적은 CTV 가 커짐에 따라 두 방법간에 차이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Fenoxaprop-P-ethyl의 제초활성에 대한 Bentazon의 길항작용기구 (Antagonistic Mode of Action of Fenoxaprop-P-ethyl Phytotoxicity with Bentazon)

  • 마상용;김승우;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70
    • /
    • 1998
  • Fenoxaprop-P-ethyl에 대한 bentazon의 길항작용기작을 검정하기 위하여 4엽기의 벼와 피를 대상으로 bentazon 혼합처리에서 나타나는 fenoxaprop-P-ethyl의 흡수, 이행, 대사 및 작용점의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Fenoxaprop-P-ethyl에 대하여 벼와 피의 지상부에서 생육억제가 크게 나타났다. Fenoxaprop-P-ethyl 단독처리에 있어서 두 초종 모두에서 처리 직후부터 빠른 속도로 약제가 흡수되어, 총 흡수량의 90%이상이 약제처리 6시간 이내에 이루어졌으며, 처리 24시간까지 흡수량의 약 30%가 처리엽의 상, 하위조직으로 이행되었다. Ethyl ester형으로 처리된 약제는 신속히 acid형으로 전환되었으며, 처리 24시간 후부터는 acid형이 conjugate형의 대사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bentazon에 의한 fenoxaprop-P-ethyl의 흡수, 이행 및 대사활성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In vitro ACCase의 활성은 벼와 피 에서 각각 26.5 및 23.2nmol/min/mg protein으로 나타났다. 이 효소 활성의 50% 저해농도에 있어서 fenoxaprop-P-ethyl 단독처리와 bentazon 혼합처리 사이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bentazon 처리에 의하여 in vivo ACCase 활성의 감소와 엽록체 thylakoid에서 전자전달의 억제가 나타났다. 따라서 fenoxaprop-P-ethyl에 대한 bentazon의 길항작용기작은 bentazon이 fenoxaprop-P-ethyl 작용점의 활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엽록체 구조 및 활성 저해에 의한 fenoxaprop-P-ethyl의 작용점 감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fenoxaprop-P-ethyl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xyfluorfen과 Chlormethoxynil의 선택작용성(選擇作用性) (Selective Mechanism of Oxvfluorfen and Chlormethoxynil in Crops and Weed Species)

  • 이재환;변종영;이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0-290
    • /
    • 1994
  • 작물(作物)과 잡초(雜草)에서 Oxyfluorfen과 Chlormethoxynil에 대한 선택성(選擇性)과 살초력(殺草力)을 비교(比較)하고자 발아실험(發芽實驗), 수경재배실험(水耕栽培實驗), 두가지 토양(土壤)에서의 발아전(發芽前) 토양처리실험(土壤處理實驗)을 실시(實施)하였으며, 처리부위(處理部位)와 시간(時間)을 다르게 하였을 때의 초종간(草種間) 흡수(吸收) 및 이행(移行)을 조사하고자 $^{14}C$-oxyfluorfen을 이용(利用)한 흡수이행실험(吸收移行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1. 발아실험(發芽實驗), 수경재배실험(水耕栽培實驗), 발아전(發芽前) 토양처리실험(土壤處理實驗)을 통하여 볼 때 벼, 옥수수에서는 공시제초제(供試除草劑) 농도(濃度)가 증가(增加)되면서 약간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으나 감수성(感受性) 초종(草種)인 참소리쟁이, 바랭이에서는 농도(濃度)가 높아짐에 따라 살초력(殺草力)이 증대(增大)되어 생장억제(生長抑制)가 심하였으며 전반적(全般的)으로 Oxytluorfen처리(處理)는 Chlormethoxynil처리(處理)보다 생장억제(生長抑制)가 심하였다. 2. 발아기간(發芽期間)동안의 생육억제(生育抑制) 효과(效果)를 나타낸 것을 보면 발아과정(發芽過程) 때보다 발아후(發芽後) 생육과정(生育過程)에서 많은 것으로 사료(思料)되며, 벼와 옥수수에서 가장 둔감(鈍感)한 반응(反應)을, 피에서는 비교적 둔감(鈍感)한 반응(反應)을, 참소리쟁이와 바랭이에서는 가장 민감(敏感)한 반응(反應)을 나타내었다. 3. 수경재배실험(水耕栽培實驗) 결과(結果), 2엽기(葉期)에서의 처리(處理)가 4엽기(葉期)에서의 처리(處理)보다 생장억제(生長抑制)가 더 심하게 나타났으며 지상부(地上部)보다 지하부(地下部)가 많은 생장억제(生長抑制)를 나타내었다. 4. 발아전(發芽前) 토양처리실험(土壤處理實驗) 결과(結果), 유기물(有機物), C.E.C. 및 점토성분(粘土成分)이 적은 사양토(砂壤土)에서 생장억제(生長抑制)가 심하였으며 초종간(草種間)에는 참소리쟁이와 바랭이에서 많이 나타났다. 5. $^{14}C$-oxytluorfen의 흡수(吸收)는 작물(作物)과 잡초(雜草)에서 모두 잘 되였으나 이행은 모든 초종(草種)에서 거의 되지 않는 경향이었으나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감수성(感受性) 초종(草種)인 참소리쟁이와 바랭이에서 흡수량(吸收量)이 많아졌으며 작물(作物)과 잡초간(雜草間) 선택성(選擇性)은 주로 흡수(吸收)된 양(量)에 따라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 PDF

전남지방에 있어서의 수도백엽고병 발생실태조사 (Disease survey on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in Chun Nam province)

  • 이경휘;정하원;이응권;이시종;김영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33-38
    • /
    • 1965
  • 1) 본 보고는 1965년 10월초 수도백엽고병이 격발한 전라남도내 담양읍, 대전면을 위시하여 천변인 영산포, 해안지대인 수포등 현재에서 피해상황과 그 원인 등을 조사해석하여 방제의 자료로 하고자 한 것이다. (2) 이앙기의 한발과 7월의 호우 등으로 인한 일부답의 침수는 본병이 조기다발하기에 알맞는 기상조건이었다. (3) 담양지방에서는 7월초순 호우가 있은 후, 일부 침수답에서 7월중순에 초발을 보게 되었으며, 농민들이 새로운 큰 병해라고 인식이 높아졌다. (4) 이앙기가 빠른 답일수록 피해가 많았다. (5) 침수지구의 피해가 심하였다. (6) 품종간의 차이가 확연하였으며, 특히, 전남풍, 천본욱이 약하고 농림 6호는 강한 편이었다. (7) 평야부가 고지대보다 피해가 많았다. (8) 휴한답이 이모작답에 비하여 피해가 심하였다. (9) 습답, 반습답에 피해가 심한 편이며 건답이 적은 편이었다. (10) 물고부근의 피해가 내부보다 많은 편이다. (11) 점형발생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12) 발병하였을 때의 낙수가 병세를 조장시켰다는 농민이 다수였다.

  • PDF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Functional Stay-Green SNU-SG1 in Rice

  • Yoo, Soo-Cheul;Cho, Sung-Hwan;Zhang, Haitao;Paik, Hyo-Chung;Lee, Chung-Hee;Li, Jinjie;Yoo, Jeong-Hoon;Lee, Byun-Woo;Koh, Hee-Jong;Seo, Hak Soo;Paek, Nam-Ch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1호
    • /
    • pp.83-94
    • /
    • 2007
  • During monocarpic senescence in higher plants, functional stay-green delays leaf yellowing, maintaining photosynthetic competence, whereas nonfunctional stay-green retains leaf greenness without sustaining photosynthetic activity. Thus, functional stay-green is considered a beneficial trait that can increase grain yield in cereal crops. A stay-green japonica rice 'SNU-SG1' had a good seed-setting rate and grain yield,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functional stay-green genotype. SNU-SG1 was crossed with two regular cultivars to determine the inheritance mode and identify major QTLs conferring stay-green in SNU-SG1. For QTL analysis, linkage maps with 100 and 116 DNA marker loci were constructed using selective genotyping with $F_2$ and RIL (recombinant inbred line) populations, respectively. Molecular marker-based QTL analyses with both populations revealed that the functional stay-green phenotype of SNU-SG1 is regulated by several major QTLs accounting for a large portion of the genetic variation. Three main-effect QTLs located on chromosomes 7 and 9 were detected in both populations and a number of epistatic-effect QTLs were also found. The amount of variation explained by several digenic interactions was larger than that explained by main-effect QTLs. Two main-effect QTLs on chromosome 9 can be considered the target loci that most influence the functional stay-green in SNU-SG1. The functional stay-green QTLs may help develop low-input high-yielding rice cultivars by QTL-marker-assisted breeding with SNU-SG1.

비광요구형 디페닐에테르계 TOPE 의 생리적 작용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Effects of TOPE, a Photo - independent Diphenylether, on Higher Plants)

  • 김진석;조광연;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0-170
    • /
    • 1996
  • 비광요구형 디페닐에테르계 화합물인 TOPE의 제초작용 생리를 알기 위하여 온실에서의 제초특성을 비롯한 식물색소대사, 전자전달계, 단백질 및 핵산대사 등에 미치는 TOP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작용발현 속도가 광요구형 디페닐에테르계보다는 늦지만 엽신부의 고사와 동시에 생육저해 및 생장점에서의 분열이상이 관찰되었으며 절취된 오이자엽에 처리될 경우 전해질 누출과 더불어 엽주변부의 심한 분열이상이 초래되었다. 그러나 2,4-D와 같은 오옥신 활성은 아니었다. 저광도에서의 엽록소 형성 저해정도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oxyfluorfen 과는 달리 protoporphyrin IX의 축적도 유기되지 않았으나, 카로티노이드 성분은 모두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었다. 탈수소효소의 활성 또는 미토콘드리아에서의 호흡활성은 일정농도에 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나 호흡저해제들은 TOPE에 의한 전해질 누출을 경감시키지 못하였다. 한편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는 고농도에서만 관찰되었다. 오이의 전해질 누출과 분열이상을 지표로 한 TOPE와의 상호작용 실험에서 전해질 누출에 대하여 cycloheximide는 상승적으로, chloramphenicol, actinomycin-D, hydroxyurea는 길항적으로 작용하였고, cycloheximide, actinomycin-D, hydroxyurea 등은 자엽의 이상분열을 경감시켰다. 이는 TOPE가 핵산대사에 관여됨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써 오이자엽 및 벼 근에 TOPE를 처리했을 때 RNA 및 단백질보다 DNA의 증가가 보다 빠른 시기에 일어났다. 따라서 TOPE가 처리되면 비정상적인 핵산대사 촉진으로 인해 제반 생리작용이 교란되고 이어 엽신부의 고사와 분열이상 등의 제초활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에 의한 제초제살초 Spectrum 분류와 효과적인 사용법 (A New Approach for Practical Classification of Herbicide and for Effective Use by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 김순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7-159
    • /
    • 1983
  • In general, herbicide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selectivity, mobility. time of application, methods of application, mode of action and chemical property and structure. However, there was no generally accep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practical use in the field. The primary processes affected by the majority of herbicides are the growth process through cell elongation and/or cell division, the photosynthetic process specifically the light reaction, the oxidative phosphorylation and the integrity of the membrane systems. The usual approach in the study of the mechanism by which herbicides kill or inhibit the growth of plants is to initially determine the morphological phototoxicity systems, The mechanism by which a herbicide kills a plant or suppresses its development is actually the resultant effect of primary and secondary(or side) effects. In most instances, the death of the plant is due to the secondary effects. To induce the desired response, a herbicide must be able to gain entry into the plants and once inside, to be transported within the plant to its site(s) of activity in concentrations great enough. Obstacles to the entry and movement of herbicides in plants are generally classified by leaf and soil obstacles, translocation obstacles and biochemical obstacles, and these obstacles are also strongly influenced by plant species an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temperature, rainfall and relative humidity. And hence, in most instances, results obtained from laboratory or greenhous vary from those of field experiment. Author attempted to classify herbicides from the field experiment using the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to obtain practical information for selecting effective herbicides or to choose effective herbicide combinations for increasing herbicidal efficacy or reducing the chemical cost. Based on this two-dimensional diagram, desired herbicides or combinations were selected and further investigated for the interaction effects whether these combinations are synergistic, additive or antagonistic.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se new approach could possibly be give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s about effective use of herbicide than any other syst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