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isozym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3초

콩과식물의 잎과 줄기의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에 관한 연구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 in Leaf and Stem of Legume Plants)

  • 이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9-202
    • /
    • 1991
  • Red clover, ladino clover, white clover, alfalfa, 차풀 그리고 갈키나물등 6종의 콩과식물에서 잎과 줄기의 Esterase Isozyme를 추출하여 starch gel 전기영동법으로 분리한 후 염색하여 종간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공시된 식물의 Esterase Isozyme의 band수, 염색강도, 이동속도는 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동일종에 있어서는 alfalfa를 제외하고는 잎과 줄기사이에 band의 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차풀과 갈키나물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Fig. 2). Esterase Isozyme의 염색강도와 이동속도는 Est 1 이 가장 강하고 빨랐다.

  • PDF

야생 콩과식물의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에 관한 연구 (Esterase Isozyme Banding Pattern in Wild Legume Plants)

  • 이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76
    • /
    • 1992
  •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examine the banding pattern of Esterase isozyme in the leaf, root-nodule and seedling of four wild legume species, Trifolim repense, Glycine soja, Phaseolus nipponensis and Vigna uexillata. The number of band, enzyme activity and migrating rate of esterase isozyme varies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tissues of legume plants. The isozyme banding pattern in the cotyledon and radicle of T. repense showed same pattern, however, the number of band were varible among the cotyledon of G. soja, P. nipponensis and V. vexzllata, respectively. Est-1 in the leaf of G. soja, V, vexillata. root-nodule of G. soja and seedling of V. vexillata expreesed the highest enzyme activity. The Est-1 showed the rapidest migrating rate among the isozymes.

  • PDF

완두 발아시 Polyamine 함량 변화 및 Peroxidase Isozyme 양상 (Peroxidase Isozyme Pattern and Polyamine Contnts in Germinating Peas (Pisum staivum))

  • 표병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07-312
    • /
    • 1993
  • In germinating pea, contents of enodgenous polyamine in the leaf and stem were determined, and protein content, peroxidase activity and pattern of isozymes were examined in the leaf treated with polyamines. During growth of the pea for 14 days in light condition, the polyamines in leaf and stem showed the highest level at the 5th day, and were decreased rapidly at the 7th day, kept almost constant level since then. The putrescine level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spermidine and spermine, and cadaverine was also detected. On the other hand, in the leaf treated with spermine (0.01 mM) protein content increased about 250%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peroxidase activity increased ore than 100% in spermine of 0.01 mM and 0.1 mM. In treating with putrescine of 0.1 mM the pattern of peroxidase isozyme appeared 4 new cathodic bands (pI 4.8, 5.6, 5.9 and 6.8)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clear cathodic bands (pI 5.6, 5.9, 6.4 and 6.6) were also observed in spermine of 0.1 mM.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yamines were important factor in the differentiation of pea at the early stage of germination.

  • PDF

고추 (Capsicum annuum L.)의 재분화에 따른 Peroxidase와 Esterase 동위효소의 양상 변화 (Changes in Isozyme Patterns of Peroxidase and Esterase during Regeneration of Pepper (Capsicum annuum L.))

  • 정현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1호
    • /
    • pp.9-15
    • /
    • 1992
  • 고추의 잎 절편을 BAP(2 mg/l)와 IAA(1 mg/l)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분화를 유도하여 40일 후에 완전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분화 단계에 따라 peroxidase와 esterase의 효소 활성과 isozyme 양상을 조사하였는데, 조직별 peroxidase 활성은 발아 10일째의 잎에서 가장 높았으며, isozyme 양상은 10일째에 잎에서 pI 7.2와 pI 6.9의 새로운 band가 나타났고, 14일째에는 잎과 뿌리에서 새로운 pI 3.4 band가, 줄기에서는 pI 5.2의 새로운 band가 나타나 peroxidase의 조직 특이적 발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잎의 재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peroxidase 효소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배양 14일째에는 대조구에 비해 80% 정도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냈으며,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band의 양이 증가하며 배양 14일째에는 pI 3.2와 pI 6.5의 새로운 isozyme이 유도되어 peroxidase가 분화와 발생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편, esterase 활성은 14일째에 대조구보다 2배 이상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esterase isozyme 양상은 배양 7일째에 3개의 cathodic band와 1개의 anodic band가 나타남으로써, 이들 isozyme이 분화시기에 밀접하게 연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동아와 달개비의 전기영동에 의한 Isozyme의 변이 (Isozyme Patterns on Esterase, Peroxidase and Amylase in Benincasa hipspida (Thunb) Cogn and Commelina communis L.)

  • 채규인;최정식;김영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4-176
    • /
    • 1991
  • 동아(Benincasa hispida(Thunb) Cogn)와 달개비 (Commelina communis L.)의 종자, 잎 및 줄기등을 공시재료로 하여 몇가지 효소에 대한 전기영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sterase isozyme의 pattern은 band수나 Rf값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동아의 육질에서는 단 1개의 band가 출현하였다. 2. Peroxidase isozyme은 동아의 육질에서 4개의 band가 출현하였으나, 달개비의 줄기에서는 band 가 전혀 없었다. 3. Amylase isozyme의 전기영동대는 동아의 종자 및 육질에서만 각각 1개씩 뚜렷한 band를 나타냈다.

  • PDF

돌콩 ( Glycine soja Sieb and Zucc ) 의 사료작물화에 관한 연구 I. 돌콩의 Esterase isozyme 변이와 사료적 가치 평가 (Studies on the Domestication of of Field Bean ( Glycine soja Sieb and Zucc ) for Forage Crop I. Esterase isozyme variation and nutritive value of field bean)

  • 이성규;이은;최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6-92
    • /
    • 1993
  • The variation of the esterase isozyme, germination rate, chemical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of field bean(G1ycine soja S. and Z.) were estim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anding patterns of the esterase isozyme in field bean were varied with the tissue and habitat. 2. The enzyme activity of the Est-I, Est-2, Est-3 and Est-4 in field bean showed a high value compared with the other enzyme. 3. The range of germination temperature in field bean was 10-40C and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was 25- 38^{\circ}C.$. 4. The crude protein(CP) contents was 19.9% in the whole plant, 27.8% in the leaf and 45.9% in the seed, the cellulose contents was 29.5% in the whole plant, 23.0% in the leaf and 13.8% in the seed, the neutral detergent fiber(NDF) was 62.6% in the whole plant, 47.9% in the leaf and 47.9% in the seed and the acid detergent fiber(ADF) was 44.5% in the whole plant, 28.4% in the leaf and 28.4% in the seed, respectively. 5. The digestibility of the field bean was 44.1% in the whole plant, 49.6% in the leaf and 75.1% in the seed, NDF was 26.2% in the whole plant 46.2% in the leaf, ADF was 29.0% in the whole plant, 47.7% in the leaf and 58.0% in the seed and Cellulose was 48.7% in the whole plant, 58.0% in the leaf and 70.2% in the seed, respectively. 6.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of the field bean was 47.4% in the whole plant, 51.5% in the leaf and 70.2% in the seed, respectively. The digestible energy(DE) value was 2.1 kcal/g in the whole plant, 2.27 kcal/g in the leaf and 3.10 kcal/g in the seed and the metabolizable energy(ME) value was 1.72 kcal/g in the whole plant, 1.86 kcal/g in the leaf and 3.23 kcal/g in the seed, respectively.

  • PDF

돌콩 , 돌동부 , 화이트 클로버의 조직별 Esterase Isozyme 변이에 관한 연구 (Esterase Isozyme Variation in the Tissues of Glycine soja S. and Z. , Vigna vexillata var. tsusimensis Matsmura , and Trifolium repens L. in Korea)

  • 이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3-259
    • /
    • 1992
  • The esterase isozyme in tissue of wild legume plants were separated by horizontal starch gel electrophoresis. Extracts used in this study were prepared from fully expanded young leaf, cotyledon and radicle of seedling and root-nodule of Glycine sola, Vigna vexillata var. tsuscmensis and Trifoliwn repe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ach tissue examined had a characteristic banding pattcrn. Number of bands in each species, G. soja, V. vexillata, and T . repens, were 14, 8 and 1 1 bands, respectively. And difference in esterase isozyme bands were greater from tissue to tissue than difference between habitat. 2. Est-I, Est-2. Est-3 and Est-4 in G. soja, Est-I in V. vexillata and Est-l and Est-2 in T. repens showed strong cnzyme activity than other enzyme. 3. Esterase isozyme variation in G. soja and T . repens showed more variety than V. vexillata. This is resulted from many genotypic differences within species. 4. The main enLyme among thc esterase isozyme were Est-I. Est-2, Est-3 and Est-4.

  • PDF

노쇠중인 밀 잎에서 scorbate-Glutathione회로 관계 효소의 발달에 대한 Benzyladenine의 효과

  • 장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47-54
    • /
    • 1995
  • 본 연구는 $H_2O_2$ 축적이 수반되는 잎의 노쇠현상과 관련하여 세포질내 ascorbate-glutathione 회로의 역할 가능성과 이때 benzyladenine(BA)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노쇠중인 밀 잎에서 시토졸 ascorbate peroxidase(APX) isozyme 분리 및 발달양상과 ascorbate-glutathione 회로 구성효소들의 활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성숙한 밀 제1엽 절편을 4일간 암배양하는 동안 증가된 엽록소 분해 및 $H_2O_2$ 축적으로 규정되는 잎의 노쇠발달중 대조구 잎에서는 시토졸 APX 활성도의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dehydroascorbate reductase(DHAR)의 활성도는 급격히 감소되었고, glutathione reductase(GR) 활성도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BA로 처리된 잎에서는 시토졸 APX 활성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DHAR 활성도의 감소가 지연되어 나타났고 GR 활성도의 증가는 대조구에 비해 증진되었으며 내재성 ascorbate 함량의 감소율과 H2O2 축적이 억제되었다. 3개의 시토졸 APX isozyme이 native-PAGE법에 의해 노쇠중인 밀 잎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중 2개 isozyme은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시토졸 APX isozyme의 발달양상의 경우 4일간의 암배양 동안 대조구 잎에서는 단지 2개의 isozyme band("a"와 "b")가 거의 같은 활성도를 지닌 채 출현하였으나 BA로 처리된 잎에서는 추가로 1개의 약한 isozyme band("c")가 더 나타났으며 "b" isozyme의 활성도가 약간 촉진되었다 그러나 "a" isozyme 활성도는 대조구 잎에 비해 암배양시간 경과에 따라 현저하게 발달하였다. 대조구 잎과 비교시 BA로 처리된 잎에서는 시토졸 APX isozyme의 발달 및 APX, DHAR, GR의 전체 활성도가 함께 증진되어 그 결과 $H_2O_2$ 제거능력이 증대된 본 실험의 결과는 ascorbate-glutathione 회로가 밀 잎의 노쇠과정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단감나무 둥근갈색 무늬병균 Pestalotiopsis spp.의 isozyme을 통한 유전다양성 분석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Leaf Blight Pathogen of Sweet Persimmon Pestalotiopsis species with Isozyme Band Patterns)

  • 이윤수;우수진;최혜선;김경수;강원희;김명조;심재욱;장태현;임태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2-506
    • /
    • 1998
  •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genetic relationships of Pestalotiopsis species collected from various places in southern part of Korea through isozyme analyses. As a result, EST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band, and the number of bands were ranged from 5 to 7 on the average. All the isozymes used in this study showed distinctive band patterns for each isolates. Similarities among the compared isolates ranged from 48 to 93%. Isolates SP7, SP19 and SP23 showed more than 90% similarities, and most isolates showed similarities ranging from 65 to 82%.

  • PDF

과맥의 파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V. 유수의 분화, 발육과정중 Peroxidase의 활성 및 Isozyme Pattern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the Spring Growth Habits in Naked Barley V. Changes in the Isozyme Patterns and Activities of Peroxidase During the Differentiation)

  • 최선영;이강수;박기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5-382
    • /
    • 1986
  • 파성정도가 다른 과맥품종에 있어서 유수의 분화 및 발육과정중 peroxidase 의 isoayme pattern 과 활성의 변화를 조사, 비교하여 파성생리기구의 해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유수에서의 isoayme은 정상출수품종 (정상형)의 경우, 포분화기와 이중륭기분화기에는 7개, 소수분화기에는 5개 그리고 영화분화기에는 2개만이 나타났는데 좌지형의 경우에는 포분화기에 나타난 7개의 isoayme이 모두 최종재료심취시기인 5월 24 일 까지 뚜렷하였다. 2. 한편, 엽신에서의 isozyme 은 정상형의 경우, 포분화기와 이중륭기분화기에 2개가 관찰되었으나 소수분화기와 영화분화기에는 1개로 감소되었는데 반하여 좌지형의 경우에는 전조기간에 걸쳐 2개로 나타났다. 3. 정상형과 좌지형간에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유수에서 c와 g Isozyme, 엽신에서 i isozyme 이었는데 정상형에서의 c와 i isozyme 은 소수분화기에 g isozyme은 영화분화기에 각각 소멸되었으나 좌지형에서는 이들 isoayme 이 모두 농염된 채로 남아 있었다. 특히 이들 isozyme 은 생식생장기로의 이행 직전인 포분화기부터 좌지형이 정상형보다 농염으로 나타났다. 4. Peroxidase 의 활성은 정상형의 경우 유수와 엽신에서 포분화기 이후 완만하기는 하나 점차 감소한데 반하여 좌지형에서는 모두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정도는 유수에서 현저하였으며 또한 유수에서의 활성정도가 포분화기에서 조차 좌지형의 것이 정상형의 것보다 높았다. 5. 정상형과 좌지형의 포분화기에 나타난 isozyme pattern과 활성정도의 현저한 차이는 추파성도와 관련된 품종의 생리적 표현인 것으로 생각된다.*)와 부의 유의상관을 보이며, 토양통기능과 투수속도는 근양과 유의정상관을 보였고, 근량은 수량( r=-.7378*)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8. 처리별 증발산양간에는 유의적인 차리가 없었으나, 투명비닐멀칭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circ}C$에서 22.5%, 1$0^{\circ}C$에서 2%가 각각 저하되어서 인삼의 광합성작용에는 광조건보다 고온조건이 아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e lower the gel temperature was in the epoxy system. In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curing of the silica filled epoxy system was found to be accelerated, as silica was added to the epoxy compound.ed by adults who are middle-aged or elderly. If altered colors are applied to the digital products as much as popular culture changes, it can assist the elderly with their weakened physical abilities.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