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Conductanc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광, 온도, 수분 변화에 따른 음나무 엽의 생리반응(V) - 잎의 수분 포텐셜 변화에 따른 생리반응 - (Effects of Light, Temperature, Water Changes on Physiological Responses of Kalopanax pictus Leaves(V) - Physiological Responses by the Changes of Leaf Water Potential -)

  • 한상섭;전두식;심주석;전성렬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76-82
    • /
    • 2006
  • 1. 이 연구는 조림지에 식재된 6년생 음나무 유목의 엽에 대한 생리반응 실험이다. 2. 산림지에 음나무 유목의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순광합성속도는 엽수분포텐셜이 -0.80 MPa 에서 최초의 감소를 보였으며. -2.50 MPa 에서는 순광합성속도는 0에 달했다. 50%의 상대순광합성속도를 보인 잎의 수분포텐셜은 -1. 70 MPa 이었다. 기공전도도는 엽수분포텐셜 -1.00 MP까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후 빠르게 감소하였다. 엽수분포텐셜 2.50 MPa에서 기공전도도는 약 7%로 완전기공폐쇄는 일어나지 않았다. 3.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기공증산은 엽수분포텐셜 -1.00 MPa까지 일시적인 증가를 나타낸 후 그 이상의 엽수분포텐셜의 감소에서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엽수분포텐셜 -2.50 MPa의 상대기공증산은 약 17% 정도였다. 수분이용효율은 잎의 수분포텐셜 감소와 함께 빠르게 감소하여, 엽수분포텐셜 -2.50 MPa 에서는 0에 달했다. 4.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엽육세포 간극내의 $C_i/C_a$ 비율은 엽수분포텐셜 감소와 함께 빠르게 증가하였다. 잎과 대기사이의 수증기압결핍 (VPD)은 엽수분포텐셜 -2.00 MPa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이하의 엽수분포텐셜에서는 빠르게 증가하였다.

  • PDF

온도 증가와 건조 스트레스가 백합나무의 생장, 광합성 및 광색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Pigment Contents of Liriodendron tulipifera under Elevated Temperature and Drought)

  • 김길남;한심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84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조림수종인 백합나무 유묘의 온도 증가와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생장 및 생리 반응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온도 제어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 39)의 환경제어실 인공 광 챔버를 이용하였다. 처리 온도는 Fig. 1과 같이 최근 30년 동안(1981-2010) 우리나라 전국 월 평균을 기준으로 $-3^{\circ}C$, $0^{\circ}C$, $+3^{\circ}C$, $+6^{\circ}C$로 설정하였다. 건조 처리는 6월부터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로 구분하여 대조구는 충분히 관수하여 최저 -0.1 MPa 이상의 토양 수분 포텐셜을 유지시켰고, 건조처리구는 유묘의 잎에 초기위조 현상이 나타날 때까지 관수를 하지 않았다. 온도 증가 및 건조 스트레스에 따른 백합나무 유묘의 근원경과 수고의 상대생장율은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상대 생장율을 나타냈으며, 대조구와 건조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백합나무 유묘의 엽면적과 총 건중량을 측정한 결과, 근원경 및 수고 생장과 같은 경향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엽면적과 총 건중량이 증가하였다. 근원경, 수고, 엽면적 및 총 건중량 모두 건조 처리구 내 $-3^{\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 백합나무 유묘는 온도 증가보다 저온에 의해서 피해를 입는 것으로 생각된다. 광합성 속도, 암호흡 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속도도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저온 처리구인 $-3^{\circ}C$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수분 이용효율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엽록소 및 카로테노이드 함량도 대조구와 건조 처리구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온도 증가는 백합나무 유묘의 생리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과 함께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온도 감소는 백합나무 유묘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생장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etroleum Spray Oil 살포가 감귤 잎의 광합성관련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troleum Spray Oil on Photosynthesis Characteristics in Citrus Leaves)

  • 강시용;김판기;박진희;류기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6-191
    • /
    • 2001
  • PSO (petroleum spray oil) 살포가 감귤잎에 미치는 광합성 관련 생리적 영향을 밝히고자 4 년생 온주밀감(궁천조생)에 PSO를 살포한 후 광합성, 증산량, 기공전도도 및 엽록소형광 등의 변화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시험은 (1)PSO 0.33% 및 1.0% 농도별 처리, (2)다른 주야간 온도처리($34/24^{\circ}C$, $30/20^{\circ}C$$28/16^{\circ}C$)하에서의 PSO 처리, 그리고 (3) PSO 처리후 일시적인 고온($50^{\circ}C$, 10시간) 처리 등 3개로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PSO를 처리하면 감귤 잎에 유침상이 발생하는데 처리후 $30{\sim}40$일후에는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 사라졌다. 0.33% PSO 처리시에는 광합성, 증산량 및 엽색도 등에 별 영향이 없으며, 1% 처리시에는 기공전도도, 증산율, 광합성속도 등이 저해되다가 살포 20일 후에는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온도 처리별 PSO 처리의 영향은 고온구 $(34/24^{\circ}C)$에 1.0% PSO를 처리했을 경우, 처리 7일 이후에 엽록소 형광(Fv/Fm) 값이 저하하였다. 또한 PSO 처리후 인위적으로 고온($50^{\circ}C$, 10시간)처리를 하였을 경우, 1.0% PSO와 디치를 혼용처리한 나무의 낙엽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남은 잎에서도 생리적 형질의 저해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 0.33% PSO 처리에서는 감귤 잎의 광합성 관련 특성에 별 영향이 없으나, 1.0% PSO 이상의 살포의 경우 한동안 일부 생리적 기능의 저해를 보였으며, 고온조건이거나 디치와 같은 약제와 혼용할 경우에는 생리적 기능저해가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염화칼슘 처리가 산딸나무 잎의 광합성 기구, 기공전도도 및 형광이미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Chloride (CaCl2)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Apparatus, Stomatal Conductance, and Fluorescence Image of the Leaves of Cornus kousa)

  • 성주한;제선미;김선희;김영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43-150
    • /
    • 2009
  • 겨울철 도로의 안전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제설제가 가로변의 식생에 축적이 되면 식물에 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데, 특히 이른 봄의 제설제 사용은 식물이 다량의 수분을 요구하게 되는 개엽 시기와 맞물리게 되면서 그 피해가 가속화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제설제인 $CaCl_2$ 으로 산딸나무(C.kousa) 3년생 유묘를 대상으로 개엽 전 대조구를 포함해 각 처리구당 3본씩 선정하여 배치하고 각각 $CaCl_2$ 0.5%, 1.0%, 3.0% 를 2회 근권부에 처리하였다. 먼저, 가시적 피해 현상으로 잎눈에서 개엽이 어려워지며, 잎의 전개 후에도 시들음 현상과 잎끝마름 현상 등이 나타났다. $CaCl_2$ 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산딸나무의 피해가 가중되었는데, $CaCl_2$ 처리에 따른 생리적 반응은 총엽록소함량, 엽록소 a:b, 광합성속도, 양자수율, 기공전도도, $F_V/F_M$, NPQ의 감소를 가져왔다. 반면 광보상점과 암호흡속도의 증가를 나타냈다. 기공의 닫힘으로 인한 엽육내 $CO_2$ 농도 저하와 이로 인한 광합성속도의 감소가 1차적으로 일어나고 이후 물질대사량의 감소, 광화학계의 피해가 동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CaCl_2$ 처리농도에서 산딸나무의 생리적 활동이 급격히 저하되는 경향으로 볼 때 $CaCl_2$ 에 민감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주요경제수종(主要經濟樹種)의 내음성(耐陰性) 및 광선요구도(光線要求度)와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연구(硏究)(I) - 인공피음처리(人工被陰處理)를 실시(實施)한 낙엽활엽수(落葉闊葉樹) 6종(種)의 수분통도성(水分通道性) 변화(變化) - (Studies on the Shade Tolerance, Light Requirement, and Water Relations of Economic Tree Species(I) - Changes of Hydraulic Conductance of Six Deciduous Hardwood Species Subjected to Artificial Shade Treatments -)

  • 권기원;최정호;정진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292-298
    • /
    • 1999
  • 낙엽성 활엽수 6수종을 5수준의 피음도로 처리한 후 이들의 수분통도성을 Huber value와 leaf specific conductivity(LSC) 보서 조사하였다. 처리 1차 연도에 피음하지 않은 조건에서 측정된 전체조사 대상 수종의 Huber value는 6, 7, 9원에 각각 $1.5{\sim}9.1mm^2/dm^2$, $1.3{\sim}2.6mm^2/dm^2$, $1.5{\sim}5.3mm^2/dm^2$의 범위 내에 있었다. 그 값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수종에서 피음도를 높이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9월에는 조기 낙엽 현상 때문에 측정치 대부분이 7월에 측정된 값보다 높았다. Huber value는 대부분의 조사 수종에서 처리 1, 2차 연도에 따른 측정치간에 차이를 보였지만 그 값의 계절적인 변이나 피음에 따른 영향은 처리 연도에 상관없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년간 진행된 조사에서 leaf specific conductivity는 자작나무, 박달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의 경우에 $4.0{\sim}80.0{\mu}{\ell}/dm^2$ 범위내의 값에서 측정 계절이나 피음 수준에 따른 변이를 보였다. 그리나 쥐똥나무와 산벚나무의 경우에는 상기 수종들의 값과는 차이를 보이면서 각기 $4.0{\sim}280.0{\mu}{\ell}/dm^2$, $8.0{\sim}120{\mu}{\ell}/dm^2$의 값은, 나타냈다. LSC 값은 수종 별, 그리고 처리 연도 별로 계절에 따라 나소 불규칙한 변화를 보였으며 처리 1차 연도에는 자작나무, 박달나무, 산벚나무, 처리 2차 연도에는 느티나무, 산벚나무에서 대부분 7월보다는 9월에 보다 높은 LSC값을 나타냈다. LSC값은 조사된 모든 수종에서 인위적인 피음 수준을 높힐수록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피복재 종류에 따른 착색단고추 재배온실의 지하부 환경 관리와 생육 및 생산성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Underground Part Environment Control and Growth and Yield of Sweet Pepper in Greenhouses as Affected by Covering Materials)

  • 김호철;박수민;이정현;강종구;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3
    • /
    • 2011
  • 본 연구는 피복재 종류에 따른 착색단고추의 생육 및 생산성에 대한 지하부 환경 요인의 영향 정도를 알아보았다. 조사 기간 동안 배양액 공급량은 플라스틱 필름온실에서는 $5,404L{\cdot}m^{-2}$로 유리온실의 $3,483L{\cdot}m^{-2}$보다 1.6배나 많았다. 그러나 배양액 흡수율은 두 온실에서 71.3~73.3%로 유사한 수준이었다. 배지 EC도 $4.17{\sim}4.23dS{\cdot}m^{-1}$ 수준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단부에서 아래로 6번째 잎의 면적은 유리온실에서 평균 $123.0cm^2$/1eaf로 플라스틱필름온실의 $119.5cm^2$/1eaf보다 다소 넓었다. 그러나 잎의 생체중, 건물중 및 건물률은 두 온실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주간 생산량은 유리온실에서 $850g{\cdot}m^{-2}$로 플라스틱필름온실의 $650g{\cdot}m^{-2}$보다 1.3배정도로 많았다. 하지만 조사 기간 동안 잎의 면적 및 건물률, 그리고 생산량 모두에 대한 배지 EC와 배양액 흡수율 차이에서 오는 영향은 두 온실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피복재 및 지상부 환경이 다른 온실에서 착색단고추 수경재배 시 생육 및 생산성 차이에 대한 지하부 요인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야외조건하(野外條件下)에서 독일가문비(Picea abies Karst) 침엽(針葉)의 순(純) 광합성률(光合成率)의 단기(短期) 변화(變化)에 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f the Short-Term Fluctuations of Net Photosynthesis Rate of Norway Spruce Needles under Field Conditions)

  • ;;진현오;주영특;정동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38-46
    • /
    • 1999
  • 독일 중부(Solling Hills)의 가문비림 임관의 구조적인 수분증산 통도특성은 LE와 H의 유동량으로 측정되고, 1996년 6월중 재배열된 Penman-Monteith 식을 이용하여 SVAT 모형을 설계하여 도출하였다. 또한 SLODSVAT 모형을 통한 전체 임관 내 각 침엽의 연속적인 수분통도성을 평가하여 임관기공의 통도성을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나온 임관 표면 통도성과 유동량을 설계하고, SLODSVAT 모형에 의해 설계된 기공 통도성 사이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이 차이점은 산림 임관의 범위내에 빗물리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임관 표변의 통도성은 전체 측정 기간 동안 임관 기공 전도력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산림의 전체 증발산량에 대한 하층부의 공헌도는 작았고, 임관의 복사에너지 균형에 의존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층부 증발산량의 기각은 독일 가문비림에 대한 임관 표면 전도력의 과대 평가로서 나타난 결과이다.

  • PDF

콩의 유묘기에 있어서 NaCl Stress에 의한 생육특성과 광합성 반응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sis of Soybean Seedling to NaCl stress in Sand Culture)

  • 조진웅;김충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1-365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콩 장려품종인 검정콩1호를 대상으로 100mM NaCl 처리에 따른 30일묘의 생육특성 및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NaCl stress에 의한 콩 유묘는 뿌리혹이 전혀 형성되지 않았으며, 잎의 건물중이 77.3% 감소로 염해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경직경의 감소는 가장 적었다. 그러나 수분함량은 NaCl stress로 증가하였는데 잎이 가장 많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또한 엽위별 엽두께는 NaCl stress로 두꺼워졌으며, 잎의 수분포텐셜은 낮아졌다. 엽록소함량은 NaCl stress로 감소하였으며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되었지만 무처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합성, 기공전도도, 증산량 모두 NaCl stress로 감소하였으며 NaCl stress에 의한 엽의별 차이는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강남콩에 대한 $SO_2$ 피해경감제로서 uniconazole의 효과에 관한 연구 (Efficacy of Uniconazole as a Phytoprotectant Against $SO_2$ Injury in Snap Bean)

  • 구자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19
    • /
    • 199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using uniconazole,[(E)-1-(4-chlorophenyl)-4,4-dimethyl-2-(1,2,4-triazole-1-yl)-1-penten-3-ol)] as a phytoprotectant against $SO_2$ injury in snap been (Phaseolus vulgaris L. 'Strike'). Thirteen days prior to $SO_2$ fumigation, plants were given a 100 ml soil drench of uniconazole solution at concentrations of 0.02, 0.10, 0.25 and 0.50 mg/pot. All four uniconazol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in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SO_2$ exposure(3 h at 1.5 ppm), but uniconazole treatment above 0.02 mg/pot severely reduced stem elongation, leaf enlargement, flowering date and pod number and weight. Uniconazole treatment had little or no effect on stomatal conductance but reduced transpiration rate on a whole plant basis by nearly 40%. This may reflect an alteration in canopy structure by reducing stem elongation and leaf enlargement. Although uniconazole did not increase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SOD) and peroxidase(POD) in non-$SO_2$-fumigated plants, it significantly increased those enzyme activities in $SO_2$-fumigated plants. Chlorophyll concentration on the basis of unit area was increased 50-60% by uniconazole.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detected on the basis of dry weight. $SO_2$ increased variable chlorophyll fluorescence (Fv) 48% after 1.5 h of exposure in non-uniconazole treated plants but decreased Fv in the plants after 3 h of exposure. By appliing uniconazole, it was possible to maintain high Fv values in the latter group of pl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ytoprotective effects of uniconazole are related to its growth-retarding properties as an anti-gibberellin as well as the increase of activites of free radical scavengers such as SOD and POD.

  • PDF

풍속이 사과나무의 광합성 특성과 수액이동 및 엽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ind Velocity on Photosynthesis, Sap Flux, and Damage of Leaves in Apple Trees)

  • 임지혜;최영민;최동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36
    • /
    • 2014
  • 본 연구는 바람이 생육기별 사과 '후지' 품종(Malus pumila Miller)의 수체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바람처리는 대형선풍기로 풍속을 $3m{\cdot}s^{-1}$$5m{\cdot}s^{-1}$로 처리하여 자연상태의 바람과 비교하였다. 사과 '후지'에 바람처리를 하였을 때 바람세기가 강하고 처리시간이 누적될수록 광합성속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열려있는 기공의 비율과 기공전도도는 광합성속도와 정의상관을 나타내었다. $5m{\cdot}s^{-1}$처리에서는 잎에 불규칙한 형태의 갈변현상이 발생하였고, 파엽 및 낙엽의 피해는 바람세기가 강할수록, 그리고 처리시간이 누적됨에 따라 심화되었다. 수액이동량의 경우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바람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