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ching rate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5초

황화광물로부터 유용금속 침출을 위한 Acid Bake-water Leaching System 내 황산염 용매제의 적용성 (Application of Sulfate Solvent in Acid Bake-water Leaching System for Valuable Metal Leaching from Sulfide Mineral)

  • 고진석;톡토흐마;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7-73
    • /
    • 2018
  • 본 연구는 acid bake-water leaching system (AWS)를 이용하여 Au 정광으로부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유용금속 용출을 위하여 황산염 용매제의 적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AWS 실험은 전기로를 이용하여 다양한 baking 온도($100^{\circ}C{\sim}500^{\circ}C$)와 황산염 용매제($H_2SO_4$, $K_2SO_4$, $(NH_4)_2SO_4$, $MgSO_4$, $CaSO_4$)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Baking 온도가 $400^{\circ}C$까지 증가할수록 유용금속의 용출률은 증가하였다. 용출시간에 따른 AWS 실험결과, 최대 용출률 조건은 $(NH_4)_2SO_4$ 용매제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NH_4)_2SO_4$ 용매제가 AWS를 이용한 유용금속 용출에 있어 효과적인 용매제로 사용가능함을 입증하였다.

해수-석탄회 상호작용에 의한 원소 용출특성: 실험연구

  • 박성민;김강주;장수범;황갑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55-458
    • /
    • 2003
  • We investigated the leaching of elements from anthracite ashes by interactions with seawater. The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 rates of dissolved oxygen are 7.5 times greater in the seawater system than in the fresh water system and indicate that the differences in DO consumption rate may plat a role in regulating the element leaching from the coal ashes. It is revealed that seawater's pH buffering capac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makes the leaching of elements and their chemical behaviors in the seawater system different from those in the fresh water environments. In overall, element leaching from the weathered ash is smaller than that from the fresh ash. However, the leaching of Si, Fe, Al, Mn, phosphate, and some other elements were independent of weathering. They were dependant only on the pH of the solutions.

  • PDF

Enhanced ion-exchange properties of clinoptilolite to reduce the leaching of nitrate in soil

  • Kabuba, John
    • 분석과학
    • /
    • 제35권2호
    • /
    • pp.41-52
    • /
    • 2022
  • The leaching of nitrate from soil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elements, such as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in water, causing eutrophication.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using clinoptilolite as an ion-exchange material to reduce nitrate leaching in soil was investigat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soil depths (0 - 30, 30 - 90, and 90 - 120 cm), and their sorption capacity was determined using batch experiments. The effects of contact time, initial concentration, adsorbent dosage, pH, and temperature on the removal of NO3-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an initial concentration of 25 mg L-1, a contact time of 120 min, an adsorbent dosage of 5.0 g/100 mL, a pH of 3, and a temperature of 30 ℃ are favorable conditions. The kinetic results corresponded well with a pseudo-second-order rate equation. Intra-particle diffusion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initial stage of the adsorption process. Thermodynamic studies revealed that the adsorption process is spontaneous, random, and endothermic. The results suggest that a modification of clinoptilolite effectively reduces the leaching of nitrate in soil.

Effect of Li on the Ionic Conductivity and Leaching in Simulated Borosilicate Glasses

  • 이종규;김종구;김승수;지광용;전관식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7호
    • /
    • pp.740-743
    • /
    • 1997
  • The ionic conductivity of several simulated borosilicate glasses was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150-600℃ in air. Leaching experiments were also carried out using Soxhlet apparatus at 100 ℃ for 7 days. As Li+ ion increased in simulated borosilicate glasses, both the ionic conductivity and leaching rate increased. The activation energy in the ionic conduction of the simulated borosilicate glasses was 1.38-1.45 eV in the high temperature region and 0.93-1.1 eV in the low temperature region.

대두의 침지중 고형물의 용출속도에 미치는 침지온도의 영향 (Temperature Dependence of Leaching Rate of Soluble Solids during Soaking of Soybeans)

  • 이영헌;이종욱;조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97-502
    • /
    • 1986
  • 새알, 광교, 단엽의 3가지 대두품종을 시료로 하여 그들의 침지과정중 고형물의 용출에 따르는 침지온도의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고형물용출량은 침지온도와 침지시간에 높은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C=k{\cdot}{\sqrt{t}}$의 관계식으로부터 고형물용출속도상수값을 구한 결과 $10{\sim}33mg/min$의 범위에서 대체로 온도가 높아지면 용출속도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이 때의 총괄물질이동계수값은 새알의 경우 실온에서 $67.7mg/m^2{\cdot}h$으로 다른 품종에 비해 그 값이 높았으며 활성화에너값은 4026cal/mole이었다. 일정량의 고형물이 용출될때까지의 Z값을 비교해 보면 용출량이 많아지면서 Z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폐 ITO 슬러지로부터 주석과 인듐의 분리·회수 (Separation and Recovery of Tin and Indium from Spent ITO Sludge)

  • 이기웅;김홍인;손현태;안재우;김용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2호
    • /
    • pp.53-60
    • /
    • 2014
  • 폐 ITO 슬러지로부터 주석과 인듐을 분리하기 위해 염산 직접 침출방법과 환원 열처리($700^{\circ}C{\sim}1100^{\circ}C$)후 염산 침출방식을 고찰하였다. 폐 ITO 슬러지의 염산 직접 침출시 인듐의 침출율은 18.5%이고 주석의 침출율은 19.95% 이었다. 한편, 폐ITO 슬러지를 수소분위기하에서 $700^{\circ}C$, $800^{\circ}C$, $900^{\circ}C$, $1100^{\circ}C$로 열처리한 후에 염산을 이용하여 침출시에는 주석의 침출율이 97% 이상으로 개선되었고, 온도가 $800^{\circ}C$일 때 침출율이 98.2 %로 가장 효과가 좋았다. 주석 및 인듐이 침출된 혼합용액에서 주석의 분리 및 회수를 위해 침전법을 사용하였다. 침출용액의 pH를 2.0으로 조절할 경우, 주석은 99.69%가 침전되었으나 인듐은 10.3%만 침전되어 상호분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을 이용한 금 정광으로부터 페널티 원소 제거 및 금 품위 향상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Penalty Elements and the Improvement of Gold Contents from Gold Concentrate Using Microwave-nitric Acid Leaching)

  • 김현수;푸레브 오윤빌렉;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4
    • /
    • 2019
  • 본 연구는 금 정광에 함유된 비소(As) 및 비스무스(Bi)와 같은 페널티 원소(penalty elements)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질산침출을 이용하였다. 또한, 금 정광 시료로부터 금 함량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침출조건은 페널티 원소의 제거를 향상시키기 위해 질산농도, 침출시간 그리고 고액비를 변화하였다. 실험결과 고체-잔류물에서 시료무게 감소율, 비소와 비스무스의 제거율 그리고 금 함량은 질산농도와 침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고액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최대 비소와 비스무스 제거율 및 금 함량이 얻어지는 침출조건은 질산용액의 농도 6 M, 침출시간 5분이었다. 이때, 고체-잔류물 시료의 무게 감소는 87 %, 비소 제거율은 98.23 %, 비스무스는 거의 제거(100 %)되었고 금 함량은 81.36 g/t에서 487.32 g/t으로 증가하였다. 고체-잔류물을 XRD로 분석한 결과, 질산농도가 증가할수록 황철석 피크들은 사라지고 반면에, 원소 황의 피크들이 증가하였다.

실리카광물의 산침출 정제방법에 따른 불순물 변화 연구 (Impurity variation in high purity silica mineral with different leaching methods)

  • 윤윤열;이길용;조수영;정수복;채영배
    • 분석과학
    • /
    • 제21권4호
    • /
    • pp.332-337
    • /
    • 2008
  • 실리카 광물의 정제를 위해 다양한 침출방법을 사용하여 침출특성을 비교하였다. 2.5% HF/HCl 산 침출용액을 사용하여 진동, 젓기, 초음파를 이용한 침출실험에서 초음파에 의한 침출방법이 가장 좋은 불순물 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Al, Ca, Fe, K, Na 등이 주 불순물로 존재하고 있었으며, 그 외 미량의 불순물로 Ba, Cu, Sr, Ti 등이 존재하였다. 실리카 광물중의 불순물 함량은 침출법에 의해 대부분 감소되었다. 또한 주 불순물인 Al, Fe의 경우 침출방법에 따라 제거율이 크게 차이나지 않았으나, Ca, Mn, Na 등은 제거율이 현저히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물리적 정제과정을 거친 4종류의 실리카 광물(순도 99% 이상)을 초음파를 이용한 산 침출법으로 정제한 결과, 총 불순물의 양은 NK-Si와 GR-Si이 적었으나 산 침출과정을 거친 후에는 IN-Si 실리카의 불순물 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불순물 중 Ca, Cr, K, Zn 등은 거의 80% 이상 초음파 침출법에 의해 제거되었고, 주 불순물인 Al의 경우 시료에 따라 10~60%의 제거율 차이를 나타내며 Fe는 모든 시료에서 60% 이상 제거되었다.

The Leaching Behavior of Unirradiated $UO_2$ Pellets in Wet Storage and Disposal Conditions

  • Park, Geun-Il;Lee, Hoo-K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349-358
    • /
    • 1996
  • The leaching behavior of uranium from unirradiated CANDU UO$_2$ fuel pellet in the spent fuel wet storage and disposal conditions has been investigated. A modified IAEA leach test method was used, and then the extent of leaching was monitored by analysis for uranium in the leachant. The leach test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leachants(demineralized water and boric acid solution at pH=6, synthetic granite groundwater) for a long-term period of 5.4 years, and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leach rate of uranium has been analyzed. The leach rates of uranium at $25^{\circ}C$ were dependent on the leachants. Over initial 100 days of leach periods, the leach rate in groundwater was the highest in three leachant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leach rates ore observed in the demineralized oater and boric acid solution. But these leach rates in three leachants around 2,000 days at $25^{\circ}C$ appeared to be reached the steady rates in the range of 1~5$\times$10$^{-8}$ g/$\textrm{cm}^2$ day. The leach rate of uranium in groundwater shooed to be independent of the temperature, but those in both demineralized water and boric acid solution increased with temperatur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leaching behavior of uranium from UO$_2$ fuel in both the demineralized water ann boric acid may be controlled tv the surface oxidative.dissolution reaction of UO$_2$ and the leach rate of uranium in groundwater at room temperature could mainly be controlled by the complex reaction of dissolved uranyl ions with carbonate ions and no variation of leach rate of UO$_2$ in groundwater with temperature may be due to the local deposition of passivating uranyl phases on the surface.

  • PDF

소금-소성정광에 대한 광물학적 상변화와 염소-차아염소산 용액을 이용한 금 용출 향상 (Mineralogical Phase Transform of Salt-roasted Concentrate and Enhancement of Gold Leaching by Chlorine-hypochlorite Solution)

  • 김봉주;조강희;오스지;최승환;최낙철;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8
    • /
    • 2013
  • 저항성 황화광물 정광으로부터 최적의 gold를 용출시키기 위하여 염소-차아염소산 용액과 다양한 온도와 농도를 소금소성정광에 적용하였다. 정광은 황철석, 황동석, 방연석으로 구성되었으며, 공기 중에서 $750^{\circ}C$ 소성처리하자 적철석으로 변환되었고, 소금으로 소성처리하자 적철석과 난토카이트(nantokite, CuCl)으로 변환되었다. 다양한 변수로 용출실험을 수행한 결과, 염소-차아염소산 나트륨 혼합 비율 1 : 2에서, $FeCl_3$ 첨가량 1.0 M에서, 광액농도 1.0%에서, 그리고 용출온도 $60^{\circ}C$에서 최대의 금 용출율을 얻었다. 금 용출율은 정광에서보다 소성정광에서 더 높게 용출되었고, 소성정광에서보다 소금소성정광에서 더 높게 용출되었다. XRD 분석 결과, 소금소성정광에서, 그리고 $60^{\circ}C$의 염소-차아염소산 용출용액 고체 잔유물에서 석영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