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in square design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36초

직물의 보온성에 관한 연구(II) -의복의 개구위치 및 개구면적의 영향- (A Study on the Warmth Keeping Properties of Fabrics(II) -Effect of Opening conditions and areas of clothes-)

  • 김태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3-68
    • /
    • 1981
  • Succeding to Report I, to determine the effect of opening conditions and areas of clothes ($10\%,\;20\%,\;30\%,\;40\%$ of total area) on the warmth keeping properties, cooling method was employed by using Latin Square Desig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warmth keeping ratio was varied with the opening conditions and the: order was downward, upward, horizontal and up & downward opening 2) The size of opening areas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warmth keeping ratio, 3) In the horizontal opening, the thickness of air layers in clothes did not effect on the warmth keeping ratio.

  • PDF

인터넷 방송 재생 손실과 시청 만족도와의 관계

  • 장활식;오창규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12
    • /
    • 2000
  • 현재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이 가져야 되는 전송 후 재생 손실 정도가 고객의 시청 만족도에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험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인터넷 방송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독립변수로 삼고, 인터넷 방송 시청 만족도를 종속 변수로 삼아 라틴 설계(Latin Square design)방식으로 통제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는 정보 수용자의 시청 품질 만족도 수준을 제시함으로써 두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인터넷 방송 시청 만족도에 있어 시청자의 최대 허용 가능한 결점(defect)수준을 규명한다. 둘째, 현재의 인터넷 방송 품질이 서버에서 생성된 그대로의 최적 상태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재생 손실에 있어 전체손실과 연속 손실 모두를 고려한 교차 효과 연구를 통해 제시된 결과표로부터 최소 불평 수준을 밝힘으로써 인터넷 방송 운영자가 내릴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말에서 사료 급여 수준이 분 젖산 생산 박테리아 및 pH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Levels on the Number of Fecal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and Fecal pH in Horses)

  • 이종언;김남영;박남건;오운용;정하연;좌재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11-116
    • /
    • 2010
  • 본 연구는 말의 다양한 사양체계가 분 젖산 생산 박테리아 및 pH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 1에서는 농후사료 체중 2% 또는 건초(오챠드그라스) 2%를 30일 동안 급여한 후 분 중 Lactobacillus와 Streptococcus 균 수를 측정했다. 시험 2에서는 사양형태 또는 사료급여 수준에 따른 분 중 pH 변화를 측정했다. 시험 3에서는 알팔파 건초 급여 수준에 의한 분 pH 변화를 측정했다. 고-농후사료의 급여는 분 중 젖산 생산 박테리아인 lactobacillus와 streptococcus의 균 수를 크게 증가시켰다(P<0.05). 농후사료의 급여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분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했다(P<0.01). 알팔파 건초 단독 급여에서는 분 pH가 저하되지 않았으나, 알팔파 건초+농후사료 사양형태에서는 분 pH가 감소되었다(P<0.01). 본 연구 결과, 말에게 농후사료의 다량급여는 장내 젖산생산 박테리아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농후사료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 pH를 저하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말에게 적절한 조사료/농후사료 비율을 유지하고 급여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분 pH 측정으로 인해 대장 내 상태를 가늠할 수 있고, 분 pH 값을 이용해 사양관리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돈에서 대체 단백질 원료사료의 외관상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 및 표준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 평가 (Evaluation of Apparent Ileal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 in Feed Ingredients to Alterate the Protein Sources for Weaned Pigs)

  • 최요한;김동우;김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58-365
    • /
    • 2020
  • 본 시험은 돼지 사료 내 단백질원으로 사용되는 원료사료의 외관상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과 표준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서 T-cannula를 회장에 설치한 자돈(Landrace×Yorkshire×Duroc, 14.4±0.35kg) 6두를 공시동물로 사용하였으며, 6×6 라틴스퀘어 설계법(Latin square design)을 이용하였다. 평가 원료사료로서 옥수수 배아, 옥수수 글루텐 밀, 옥수수 글루텐 피드, 클로렐라 및 라이신 부산물이 사용하였으며, 각 원료사료별 5일의 적응기간과 2일의 소화물 채취기간을 두었다. 라이신의 외관상 회장 소화율에서 클로렐라와 라이신 부산물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각각 79.1% 및 78.7%이였다. 메치오닌의 외관상 회장 소화율은 원료사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트레오닌의 외관상 회장 소화율은 클로렐라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81.8%이였다. 라이신의 표준 회장 소화율에서 클로렐라, 라이신 부산물 및 옥수수 글루텐밀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각각 80.4%, 79.5% 및 77.0%이였다. 메치오닌의 표준 회장 소화율은 원료사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트레오닌의 표준 회장 소화율은 클로렐라가 라이신 부산물, 옥수수 글루텐 피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84.2%이였다. 본 연구결과, 클로렐라와 라이신 부산물의 외관상 및 표준 회장 아미노산 소화율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 원료들은 돼지 사료 내 단백질 대체 원료사료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Metabolizable Energy Valu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in Soybean Meal, Soy Protein Concentrate and Fermented Soybean Meal, and the Application of These Products in Early-weaned Piglets

  • Zhang, H.Y.;Yi, J.Q.;Piao, X.S.;Li, P.F.;Zeng, Z.K.;Wang, D.;Liu, L.;Wang, G.Q.;Han, X.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5호
    • /
    • pp.691-699
    • /
    • 2013
  •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metabolizable energy (ME) valu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of soybean meal (SBM), soy protein concentrate (SPC) and fermented soybean meal (FSBM), and the application of these products in early-weaned piglets. In Exp. 1, four barrows with initial body weight (BW) of $14.2{\pm}1.4$ kg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he diet 1 contained corn as the only energy source. The other three diets replaced 25% of corn in diet 1 with one of the three soybean products, and the digestable energy (DE) and ME contents were determined by difference. In Exp. 2, four barrows (initial BW of $18.2{\pm}1.5$ kg) were fitted with ileal T-cannulas and allotted to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hree cornstarch-based diets were formulated using each of the soybean products as the sole source of AA. A nitrogen-free diet was also formulated to measure endogenous losses of AA. In Exp. 3, ninety six piglets (initial BW of $5.6{\pm}0.9$ kg) weaned at $21{\pm}2$ d were blocked by weight and assigned to one of three treatments for a 21-d growth performance study. The control diet was based on corn and SBM, the two treatments' diets contained either 10% SPC or FSBM and were formulated to same SID lysine to ME ratio of 3.6 g/Mc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 content of SPC was greater than SBM (p<0.05). The SID of most AA in SPC was greater than the SID of AA in SBM (p<0.05). For the essential AA, the SID of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nd threonine in FSBM were greater than in SBM (p<0.05). Even though they were fed same SID lysine to ME ratio of 3.6 g/Mcal diets, pigs fed SPC and FSBM diets had greater weight gain, G:F (p<0.05) and better fecal score (p<0.05) than pigs fed SBM diet. In conclusion, SPC showed a higher ME content and SID of AA than the SBM. SID of some essential AA in FSBM was higher than SBM and was similar with SPC. But the lower antigenic protein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content in SPC and FSBM may b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early-weaned piglets rather than the increased ME content and SID of AA.

Ensiled Green Tea Waste as Partial Replacement for Soybean Meal and Alfalfa Hay in Lactating Cows

  • Kondo, Makoto;Nakano, Masashi;Kaneko, Akemi;Agata, Hirobumi;Kita, Kazumi;Yokota, Hiroom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7호
    • /
    • pp.960-96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tein supplementation of green tea waste (GTW) on the performance of lactating cows. Another aim was to increase resource utilization and to eliminate any environmental negative impact from the tea waste. GTW from a beverage company was ensiled at a low pH (<4.0) and high acetic acid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it contained high crude protein (CP, 34.8%), total extractable tannins (TET, 9.2%) and condensed tannin (CT, 1.7%).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latability and performance in lactating cows fed GTW. In the palatability trial, three lactating cows were alloca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The animals were offered a total mixed ration (TMR) including GTW at rates of 0, 2.5 and 5.0% on a dry matter (DM) basis. Total DM intake was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the performance trial, four lactating cows were used in a 2$\times$2 Latin square design with a 3 week sampling period. GTW was incorporated into TMR at a rate of 5.0% on a DM and 10.0% on a CP basis. Thus GTW replaced alfalfa hay and soybean meal at a level of 25.0% on a DM. DM and CP intake were not affected by the inclusion of GTW, whereas TET and CT intak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Milk production, milk composition and the efficiency of milk production were not altered by the GTW inclusion. Although ruminal pH and VFA, and blood urea nitrogen were not changed, ruminal $NH_{3}-N$ and plasma total cholesterol were relatively low in the GTW group,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excretion of urinary purine derivatives and estimated MN supply were also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GTW treatment.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GTW can be used as a protein source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lactating cows.

Energ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Four Sources of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Produced from Corn Grown within a Narrow Geographical Area and Fed to Growing Pigs

  • Stein, Hans H.;Connot, S.P.;Pedersen,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7호
    • /
    • pp.1016-1025
    • /
    • 2009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energ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four sources of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produced from corn and fed to growing pigs. The objective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energ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DDGS does not vary if samples are procured from ethanol plants that use similar production technologies and use corn that is grown within a narrow geographical area. The four sources of DDGS that were used were procured from ethanol plants that were less than 10 yr old and located within 250 km of each other. In Exp. 1, five growing barrows (initial BW = 71.4 kg) that were fitted with a T-canula in the distal ileum were allotted to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and used to measure apparent (AID) and standardized (SID) ileal digestibility of AA in the four sources of DDGS.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SID of CP and all AA except Cys and Pro were greater (p<0.05) in two of the DDGS sources than in the other two sources. Exp. 2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E and ME an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energy, N, P, ether extract, NDF, and ADF in corn and in the same four sources of DDGS as used in Exp. 1. Five pigs (initial BW = 29.7 kg) that were placed in metabolism cages and allotted to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were used. Results of Exp. 2 showed that the average DE and ME in DDGS were 4,072 and 3,750 kcal/kg DM, respectively, which was less (p<0.01) than the DE and ME in corn (4,181 and 4,103 kcal/kg DM, respectively). The average ATTD for P in DDGS was 56.1%, which was greater (p<0.01) than the ATTD for P in corn (31.9%). The ATTD for ADF in DDGS was also greater (p<0.05) than in corn, but the ATTD for ether extract and NDF were greater (p<0.05) in corn than in DDGS. It is concluded that energy and nutrient digestibility vary among sources of DDGS even when the DDGS is procured from ethanol plants that use corn grown within a narrow geographical region. Thus, factors other than corn growing region are responsible for the variability of energy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DDGS.

비육후기 거세한우 용 사료작물 사일리지 TMR의 소 체내 이용성 조사 (Examination of Availability of Whole Crop Silage TMR for Late Fattening Hanwoo Steers in the Cattle)

  • ;최성호;이정주;이경근;이상석;송만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1-13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된 주요 동계 사료작물인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거세 한우의 비육후기(25~30개월 령) 용으로 조제된 TMR의 소 체내 이용성을 배합사료 및 볏짚으로 구성된 관행 사료와 비교하고자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소 3두를 이용하여 $3{\times}3$ Latin square design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시험동물에는 비육 후기용 배합사료 및 볏짚을 분리 급여하였거나 (대조구) 청보리 사일리지 TMR (BS-TMR) 또는 청호밀 사일리지 TMR (RS-TMR)을 급여하였다. 전체 채취시간에 걸쳐 반추위액의 pH, 암모니아 농도 및 총 휘발성지방산 농도는 시험사료간 차이가 없었다. Acetate ($C_2$)의 조성 비율은 사료 급여후 1시간에서 청보리 사일리지를 섭취한 처리구 (BS-TMR)에서 낮은 (p<0.033) 값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채취시간에서 시험사료 간 차이가 없었다. Propionate ($C_3$) 및 butyrate 조성비율과 $C_2/C_3$ 비율 역시 모든 채취시간에서 시험사료간 차이가 없었다. 사료 내 주요 성분의 반추위 유효분해율과 전장소화율은 전체 시험사료 간은 물론 BS-TMR과 RS-TMR 간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대사시험 결과로 미루어보아 청보리 및 청호밀로 제조된 TMR의 급여 가치가 배합사료 및 볏짚의 분리급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사료급여방법에 따른 홀스타인 거세우의 섭취 건물 당 메탄발생량 (Effect of Feeding Method on Methane Production per Dry Matter Intake in Holstein Steers)

  • ;우양원;이창현;나영준;김도형;김경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0-265
    • /
    • 2018
  • TMR 급여와 분리급여가 반추위 메탄발생량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사례가 많지 않다. 본 실험은 1일 실험사료를 체중의 1.8%(실험 1) 그리고 2.4%(실험 2) 수준에서 급여하면서 triplicated $2{\times}2$ Latin square design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에는 6마리의 Holstein steer를 이용하였고 2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각 TMR 급여 또는 분리급여를 하였다. 공시 사료의 농후사료와 조사료 비율은 73% 그리고 27%이었다. 두 실험 모두 사료급여 방식 간의 1일 메탄발생량 차이가 없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국내 연구와 본 연구에서 얻어진 개체 별 1일 건물섭취량과 1일 메탄발생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메탄발생량 $(g/d)=11.5({\pm}1.3){\times}$ 건물섭취량(kg/d) + 14.2, $R^2=0.73$, p<0.001의 회귀식을 유도하였다.

사료 급여 방식에 따른 반추위액 내 휘발성지방산과 단당류 비교 분석과 대사산물 분석 (Comparison of Volatile Fatty Acids, Monosaccharide Analysis and Metabolic Profiling in Rumen Fluid According to Feeding Methods)

  • 엄준식;이신자;이유경;이성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814-824
    • /
    • 2018
  • 거세한우 3두를 $3{\times}3$ Latin square design 시험방법에 적용하여 사료 적응 기간 10일 후 사료 급여 방식에 따른 반추위액 내 휘발성지방산과 단당류 비교 분석 및 대사산물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HPLC와 HPAEC에서 측정되지 않은 휘발성지방산과 단당류들은 $^1H-NMR$에서는 측정이 가능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1H-NMR$에서 측정된 대사산물 중, carbohydrate 계열 대사산물 pyruvate는 사료 급여 전 반추위액에서만 측정 되었으며, succinate는 사료 급여 전 후에서 모두 측정 되었다. Amino acid 계열 대사산물은 총 9가지가 측정 되었다. Lipid 계열 대사산물 ethylene glycol는 사료 급여 전 Con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측정 되었다. Aiphatic acylic compounds 계열 대사산물 trimethylamine N-oxide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1H-NMR$를 이용하여 반추위액 내 많은 대사산물 측정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사료 급여 전 후 급여 방식에 따라 대사산물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