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al ventricl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5초

폰탄 술식 후에 시행한 재수술 (Reoperations after Fontan Procedures)

  • 이철;김용진;이정렬;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457-462
    • /
    • 2003
  • 배경: 기능적 단심실에 대한 폰탄 술식은 그동안 많은 기술적 변형을 거쳐오면서 최근에는 그 수술성적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폰탄 술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이 장기 생존하게됨에 따라서 혈역학적 이상이나 난치성 심방 부정맥 등의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수술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폰탄 술식 후 시행한 재수술 예들에 대하여 후향적 임상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1월부터 2002년 12월 사이에 폰탄 술식 후 재수술을 시행받았던 2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폰탄 수술 당시의 연령의 중앙값은 3.3세였으며 재수술 당시의 연령의 중앙값은 9.2세였다. 처음에 시행받았던 폰탄 술식의 종류로는 심방-폐동맥 연결이 11예, 심방내 외측통로 폰탄이 11예, 그리고 심장외 도관 폰탄이 2예 있었다. 재수술의 적응증으로는 방실판막 역류(n=7), 심방 부정맥(n=8), 폰탄경로의 협착(n=7),그리고 잔존 우-좌 단락(n=5)등이 있었다. 결과: 재수술 시 시행된 술식으로는 방실판막 치환술(n=6), 심방내 외측통로 폰탄으로의 전환술(n=5), 심장외 도관 폰탄으로의 전환술(n=3), 그리고 부정맥 수술(n=7) 등이 있었다. 수술 사망은 없었고 2명의 만기 사망이 있었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2.7$\pm$2.1년이었으며, NYHA 기능분류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I 등급으로(n=20) 술전에 비하여 향상되었다. 심방 부정맥으로 수술을 시행받은 8명의 환자 중 7명이 정상 동율동으로 전환되었다. 결론: 폰탄 술식 후 부작용으로 인한 재수술은 낮은 수술 사망률 및 유병률로 시행될 수 있었다. 폰탄 술식, 특히 초기의 심방-폐동맥 연결 술식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게 방실판막 역류, 난치성 심방 부정맥, 폰탄경로의 협착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할 경우 폰탄 전환술 혹은 적절한 술식을 시행함으로써 임상적 혹은 혈역학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방사선이 뇌실막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Ependymal Cells of the Read-Irradiated Rats)

  • 안의태;조휘동;김진국;박경호;고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11-23
    • /
    • 1999
  • 머리 부분에 많은 양의 방사선을 조사 받은 흰쥐 뇌실막세포의 미세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체중 $200\sim250g$의 흰쥐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고, 방사선 발생장치로는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ML-4MV)를 이용하였다. 실험군의 흰쥐는 sodium thiopental로 마취시킨 후 머리부분이 조사구역 $(30cm\times30cm)$ 안에 들도록 눕힌 후, 조사거리 80cm, 조사 깊이 1.2 cm의 조건에서 200 rad/min의 속도로 연속 조사하였다. 실험군에 따라 3,000 rad 또는 6,000 rad를 조사시킨 후 각각 6시간, 2일, 6일 후에 동물들을 희생시켰다. 희생시에는 마취된 흰쥐의 가슴을 열고 심장을 통한 관류고정을 시행하였고, 관류고정액은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액을 사용했다. 고정된 뇌에서 가쪽뇌실벽 일부를 메어 관류고정액과 같은 고정액에 다시 고정한 후, 2% osmium tetroxide 액으로 이차고정 하였고, 이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자현미경 절편제작 및 염색과정을 거친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방사선조사후 6시간군부터 뇌실막세포는 종창현상을 보였고 섬모의 배열이 흐트러졌으며 부분적으로 세포질이 뇌실공간으로 돌출하였다. 2. 방사선조사후 2일군부터는 뇌실막세포의 종창현상이 심하며 뇌실막밑조직의 부종이 심했다. 3. 뇌실막세포의 돌출부분 세포질에는 섬모바닥체, 사립체, 세포질세망들이 들어 있었다. 4. 방사선조사군에서는 확장된 뇌실막세포사이공간을 통하여 뇌실막밑층의 축삭성분 등이 뇌실속 까지도 돌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방사선조사에 의해 뇌실막세포에는 심각한 형태학적 변화가 초래되며, 이로써 뇌실질과 뇌척수액사이의 대사관문이 교란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zinphos-methyl이 랫트 태아에 미치는 기형학적 연구 (Teratological Evaluation of Azinphos-Methyl in Rat Fetuses)

  • 조명행;이창업;이영순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55-84
    • /
    • 1988
  • azinphos-methyl을 S.D.랫트에 투여하여 기형이 유발되는지의 여부와 태아의 기관형성 및 자궁내에서 태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무처치의 negative control군, 수도물을 경구투여한 sham control군, 이미 기형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aspirin투여의 positive control군, 그리고 azinphosmethyl 0.094 mg/kg, 0.4 mg/kg 및 1.5mg/kg 투여군으로 나누어 각군 30마리씩으로, 임신 6~15일 사이에 경구투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모체의 체중증가율은 임신 7~14일, 즉 약물투여기에 aspirin 투여군과 azinphos-methyl 1.5mg/kg 투여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p<0.01). 모체의 장기무게는 azinphos-methyl 1.5mg/kg 투여군에서 간장의 절대무게비가 유의성(p<0.05)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신장의 절대 및 상대무게비는 aspirin군에서 (p<0.05, p<0.01), 또 난소의 절대 및 상대무게비는 aspirin 투여군(p<0.01)과 azinphos-methyl 전처치군(p<0.05)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모체 간장의 단백질량은 aspirin과 azinphos-methyl 1.5mg/kg 투여군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p<0.01). 모체의 배아와 태자에 대한 관찰 결과 azinphos-methyl 1.5mg/kg 투여군에서 암수의 비율에 있어 현저하게 증가(p<0.01) 했으며, 체중은 aspirin과 azinphos-methyl 1.5mg/kg 투여군에서 고도의 유의성(p<0.01) 있게 감소하였고, azinphos-methyl 0.4 mg/kg 투여군에서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미숙태자와 흡수태자는 aspirin군에서, 죽은 태자수는 azinphos-methyl 1.5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p<0.01). 태자의 장기에서 나타난 기형은 aspirin과 azinphos-methyl 1.5mg/kg 투여군 공히 횡경막에서 횡격막 천공, 두부에서 무안구증, olfactory bulb의 확장, 수두뇌, 그리고 3뇌실과 측뇌실의 결손, 심장에서 좌심실벽 위축, 심첨확장 등이 유의성(P<0.01, P<0.05) 있게 관찰되었으며, 특히 횡경막, 심장 및 안구등에 높은 기형발생율을 보였다. 또 태자의 골화지연은 두개골에서 후두골, 접형골, 구개, 흉골에서 4번째 흉골편, 검상돌기, 척추에서 경추, 흉추, 미추, 전${\cdot}$후지골, 중족골에서 관찰되었다. 한편, 자연 분만시킨 태자의 사망율은 azinphos-methyl 1.5mg/kg 투여군에서 negative control군에 비해 고도의 유의성(p<0.01) 있게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체중도 역시 현저하게(p<0.01) 감소하였고, 발육지표중 pivoting, 체모형성, 청각능력, 시각능력, 사지근육 발달정도 및 고환하강시기 등에서 고도의 유의성(p<0.01)이 관찰되었다.

  • PDF

소아 뇌종양 발생위치에 따른 임상양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children's brain tumors according to location)

  • 한승정;김윤희;권영세;전용훈;김순기;손병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호
    • /
    • pp.76-81
    • /
    • 2006
  • 목 적 : 뇌종양에 의한 임상증상은 뇌종양 발생의 발생위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뇌종양 환자에서 발생위치에 따라 증상의 차이와 증상 발현시부터 보호자와 의료진이 종양을 의심하고 진단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차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 1996년 7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인하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뇌종양으로 진단받은 15세 이하의 환아를 대상으로 종양의 위치와 증상, 보호자와 의료진이 증상이 나타나기부터 진단을 하기까지 얼마의 시간이 경과했는지에 관해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발생위치는 방사선검사상(자기공명영상)에서 나타난 위치에 따른 진단을 근거로 분류하였다. 결 과 : 뇌종양으로 진단 받은 환아는 모두 45명이었고 남아가 27명, 여아가 18명이었다. 대상 환아에서 발병연령의 중앙값은 천막상부는 6.0세, 천막하부는 7.0세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발생위치는 천막상부에 24명(53.3%), 천막하부에 21명(46.6%) 발생하였고 천막상부 종양에서는 대뇌반구 및 측뇌실 종양이 14명(58.3%), 터키안 상부 종양이 7명(29.1%), 송과체 및 제3 뇌실 후반부종양이 3명(12.5%)을 각각 차지하였으며 천막하부 종양에서는 소뇌충부 및 제4 뇌실종양이 12명(57.1%), 소뇌 반구종양이 4명(19.1%), 뇌간 종양이 5명(23.8%)을 차지하였다. 종양으로 진단시 환아들의 주증상은 천막상부 종양에서는 경련이 9명(37.5%)으로 가장 많았고 두통은 3명(12.5%)을 차지한 반면 천막하부 종양에서는 두통이 8명(38.0%)으로 가장 많았고 경련이 1명(4.8%)으로 조사되어 천막상부 종양에서는 경련이 천막하부에 비하여 많이 나타났고(P=0.012) 천막하부 종양에서는 두통이 천막상부에 비하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46). 이밖에도 천막상부 종양에서는 성장지연(2명), 성조숙증(2명) 등이, 천막하부 종양에서는 운동실조(3명), 구토(3명) 등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보호자가 증상 인식 후 병원을 내원하기까지 기간은 천막상부는 중앙값이 6일(즉시-8개월), 천막 하부는 중앙값이 30일(즉시-2개월)로 나타났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88). 병원에 내원 후 의료진이 진단하기까지 기간은 천막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내원 즉시 의심을 하여 방사선검사로 확진된 경우가 대부분 이었으나 천막상부의 경우 6년, 하부의 경우 7개월까지 지연된 예가 있었다. 결 론 : 소아에서 뇌종양이 진단될 때 천막상부 종양에서는 경련이 천막하부 종양에서는 두통이 각각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보호자가 증상을 발견하고 내원하는 기간과 병원에 내원 후 종양이 진단되기까지 기간은 오래 걸리지 않는 경향을 보였지만, 두통이나 경련으로 내원하는 소아환자에서 자세한 병력청취와 신경학적 검사 및 두개 방사선 영상검사를 통해 뇌종양을 의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생중인 Mongolian gerbil의 전뇌에서 NGF, GFAP 및 CNTF의 분포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Nerve Growth Factor,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and Ciliary Neurotrophic Factor in the Forebrain of the Developing Mongolian Gerbil)

  • 박일권;이경열;송치원;권효정;박미선;이미영;정영길;이철호;하권수;이강이;김무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7-146
    • /
    • 2002
  • 중추신경계는 신경원(neuron)과 이를 지지해주는 신경아교세포(neuroglia)로 이루어져 있다. 발생과정중 신경원의 발달은 NGF(neruv growht factor)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고, 아교세포들중 별모양아교세포는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항체로 밝혀낼 수 있다. CNTF(Cillary neurotrophic factor)는 이전에는 운동신경원의 발생 및 유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는 발생과정 중 NGF와 GFAP의 역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NGF, GFAP, CNTF를 발생과정 중(임신 15,17,19,21일, 출생 1,2,3,일, 1,2,3주)의 몽골리안 저빌의 전뇌에서 시간에 따른 분포를 광학현미경, 형광염색을 통한 공초점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뇌에서 NGF는 발생 19일령에서부터 대뇌피질에서 관찰되기 시작해서 후각망울, 해마체 및 diagonal band에 관찰되었고, 출생 3일령에서 가장 강한 염색성을 보였으며 그 반응은 출생 3주까지도 관찰되었다. GFAP는 출생17일령에서 뇌실로부터 아교세포가 관찰되는 형태가 보였으며, 외측뇌실과 제3뇌실에서부터 피질로 이동하는 형태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각망울의 과립층, 대뇌피질 및 해마체에서 관찰되었으며, 출생 2일령에서 가장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CNTF는 신경원과 신경아교세포에서 관찰되었으며, NGF와 GFAP와는 달리 출생 전에서는 관찰되지 않다가 출생 1일령부터 후각망울 및 대뇌피질에서 약하게 관찰되기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반응은 출생 2주령에서 잘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상에서는 신경원과 신경아교세포에서 특징적인 구조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각각의 항체에 대한 반응이 나타난 세포에서는 사립체와 형질내세망과 같은 세포소기관들이 많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Mongolian gerbil 전뇌에서의 NGF, GFAP 및 CNTF의 분포는 비슷한 임신일령의 설치류와 거의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며, 배아과정 및 출생 후 발달에 따른 전뇌에서의 신경원과 신경아교세포에서의 분포를 볼 수 있었다.

고양이 뇌에 주입된 스파르가눔의 운명과 숙주 뇌척수액 IgG 항체가의 경시적 변화 (The fate of spargana inoculated into the cat brain and sequential chan'germ of anti-sparganum IgG antibody levels in the cerebrospinal fluid)

  • 왕규창;허선;홍성태;채종일;최길수;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1호
    • /
    • pp.1-10
    • /
    • 1990
  • 고양이 두개강 내에 주입된 스파르가눔의 형태와 운명을 파악하고 숙주의 항체형성 양상을 관찰하고자 102마리 의 스파르가눔을 22마리의 고양이의 뇌실질 내에 주입하고 2주, 1개월, 3개월, 6개월 후에 도살하여 충체의 희 수율 및 분포를 육안으로 확인하였고 스파르가눔 감염전, 감염후 1주, 2주, 1개월, 3개월, 6개월의 뇌척수액을 얻어 효소면역 법 (ELISA)을 이용하여 시G 항체가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부검을 시행한 고양이 22마리 중 17마리에서 충체가 회수되었고, 뇌에 주입한 충체 총 102마리 중 43마리(42%)를 회수하였다. 충체의 두개강 내 분포는 경막하 또는 지주막하 공간에서 19마리(44%)가 검출되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뇌실질 내 16마리(37%), 측뇌실 내 2마리(5%)의 순이었다. 두개골의 판간층(diploic space)에 위치한 것이 1마리(2%)이었으며 두개골 외에서도 5마리(12%)가 관찰되었다. 이들 충체는 한 마리를 제외하고 모두 생존하고 있었으며 상당히 성장하여 있었다. 뇌에서 충체의 분포는 특별한 편중이 없이 전 부위에서 고르게 관찰되었고 척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2.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한 뇌척수액 내 IgG 항체가는 감염후 1개월부터 양성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감염후 3개월에는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고양이를 이용한 실험적 두개강 내 스파르가눔증은 주입한 충체의 약 400A 정도가 두개강 내에서 회수되므로 몇가지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이 질병의 연구에 유용한 모델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Guibi-tang on Neuronal Apoptosis and Cognitive Impairment Induced by Beta Amyloid in Mice

  • Lee, Ju-Won;Cho, Dong-Guk;Cho, Woo-Sung;Ahn, Hyung-Gyu;Lee, Hyun-Joon;Shin, Jung-Won;Sohn, Nak-Wo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23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Guibi-tang (GBT) on neuronal apoptosis and cognitive impairment induced by beta amyloid ($A{\beta}$), (1-42) injection in the hippocampus of ICR mice. Methods: $A{\beta}$ (1-42) was injected unilaterally into the lateral ventricle using a Hamilton syringe and micropump ($2{\mu}g/3{\mu}{\ell}$, $0.6{\mu}{\ell}/min$). Water extract of GBT was administered orally once a day (500 mg/kg) for 3 weeks after the $A{\beta}$ (1-42) injection. Acquisition of learning and retention of memory were tested using the Morris water maze. Neuronal damage and $A{\beta}$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was observed using cresyl violet and Congo red staining. The anti-apoptotic effect of GBT was evaluated using TUNEL labeling in the hippocampus. Results: GBT significantly shortened the escape latencies during acquisition training trials. GB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arget headings to the platform site, the swimming time spent in the target quadrant, and significantly shortened the time for the 1st target heading during the retention test trial. GBT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reduction in thickness and number of CA1 neurons, and $A{\beta}$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produced by $A{\beta}$ (1-42) injection. GBT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TUNEL-labeled neurons in the hippocampu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BT improved cognitive impairment by reducing neuronal apoptosis and $A{\beta}$ accumulation in the hippocampus. GBT may be a beneficial herbal formulation in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Effects of Central Interleukin-1 on the Cardiovascular Response in Hemorrhaged Rats

  • Kang, Joon-Ho;Jang, Jae-Hee;Ahn, Dong-Kuk;Park, Jae-Si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2호
    • /
    • pp.89-94
    • /
    • 2004
  • The arterial pressure is regulated by the nervous and humoral mechanisms. The neuronal regulation is mostly carried out b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rough the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RVLM), a key area for the cardiovascular regulation, and the humoral regulation is mediated by a number of substances, including the angiotensin (Ang) II and vasopressin. Recent studies suggest that central interleukin-1 (IL-1) activates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nd produces hypertension.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whether IL-1 and Ang II interact in the regulation of cardiovascular responses to the stress of hemorrhage. Thus, Sprague-Dawley rats were anesthetized and both femoral arteries were cannulated for direct measurement of arterial pressure and heart rate (HR) and for inducing hemorrhage. A guide cannula was placed into the lateral ventricle for injection of IL-1 $(0.1,\;1,\;10,\;20\;ng/2\;{\mu}l)$ or Ang II $(600\;ng/10\;{\mu}l)$. A glass microelectrode was inserted into the RVLM to record the single unit spike potential. Barosensitive neurons were identified by an increased number of single unit spikes in RVLM following intravenous injection of nitroprusside. I.c.v. $IL-1\;{\beta}$ increased mean arterial pressure (MAP) in a dose-dependent fashion, but HR in a dose-independent pattern. The baroreceptor reflex sensitivity was not affected by i.c.v. $IL-1\;{\beta}$. Both i.c.v. $IL-1\;{\alpha}\;and\;{\beta}$ produced similar increase in MAP and HR. When hemorrhage was induced after i.c.v. injection of $IL-1\;{\beta}$, the magnitude of MAP fall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ntrol. The $IL-1\;{\beta}$ group showed a smaller decrease in HR and a lower spike potential count in RVLM than the control. MAP fall in response to hemorrhage after i.c.v. injection of Ang II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ntrol. When both IL-1 and Ang II were simultaneously injected i.c.v., however, MAP fall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control, and HR was increased rather than decreased. These data suggest that IL-1, a defense immune mediator, manifests a hypertensive ac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attenuates the hypotensive response to hemorrhage by interaction with Ang II.

피로형 미병에 대한 당귀보혈탕의 효과 (Effect of Dang Gui Bo Hyul-tang on fatigue types of Mibyeong)

  • 박선행;성윤영;장설;이시우;김홍준;김호경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5-65
    • /
    • 2016
  • Objectives : Mibyeong is a korea medicine have original concept of the disease. However, no previous report has effect of mibyeong herbal medicine in fatigue types of mibyeo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estion of whether Dang Gui Bo Hyul-tang(DGBHT) of effect on fatigue types of Mibyeong. Methods : C57BL/6 mice were randomaly divided into three group (n=10). The mice were then group (1) Nocontrol, (2) Restraunt stress(veh), (3) Dang Gui Bo Hyul-tang 200mg/kg. The administered Dang Gui Bo Hyul-tang 200mg/kg or distilled water (orally) 1 hr prior to daily exposure to repeated restraint stress (2 h) for 15 days. The performed behavior test (Mechanical hyperalgesia test,, Open-field test, Forced swimming test, Sucrose preference test and immunostaining and biochemical measured in serum. Results : Stress fatigue induced mices significantly increased lethargic, hyperalgesia through behavior test (Mechanical hyperalgesia test (decrease 43%), Open-field test ($4,809{\pm} 226.13cm$ vs. $3121{\pm}226.64cm$), Forced swimming test ($11.45{\pm}3.96$ vs. $79.10{\pm}8.12sec$), Sucrose preference test (decrease 58%)). In addition, chronic fatigue model evidently increased corticosterone level ($122.54{\pm}18.88$ vs. $186.94{\pm}18.26ng/ml$), AST level ($46.22{\pm}3.23$ vs. $31.40{\pm}3.86U/L$), ALT level ($38.78{\pm}5.72$ vs. $17.60{\pm}1.30$), liver necrosis, lateral ventricle size. These alterations were significantly ameliorated by DGBHT. DGBHT significantly attend the elevated serum concentrations of corticosterone ($155.90{\pm}6.29ng/ml$), AST ($31.40{\pm}3.86U/L$), ALT ($17.60{\pm}1.30U/L$). Moreover, DGBHT improved lethargic, hyperalgesia when compared the stress fatigue (Mechanical hyperalgesia test (improve 28%), Open-field test ($4,038{\pm}615.81cm$), Forced swimming test ($7.56{\pm}1.88sec$), Sucrose preference test (increase 21%) Conclusions : Theses result suggest that DGBHT have improved lethargic, hyperalgesia and fatigue-associated hormone and liver protective on stress fatigue model.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to present evidences on benefits and effect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Mibyeong through clinical researches based on benefits and effects of those animal models.

Effects of Ginseng Total Saponin on The Altered Glutamatergic Nervous Systems by AF64A in Brain of Rats

  • Ma, Young;Yi, Eun Young;Choi, Woo Jung;Lim, Dong-K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5권1호
    • /
    • pp.36-42
    • /
    • 1997
  • To investigate effects of ginseng total saponin (GTS) on the ethylcholine aziridnium ion (AF64A) -induced glutamatergic nervous system, rats were pretreated with the infusion of AF64A (3 nmole) into lateral ventricle and were posttreated with 50 mg/kg of GTS, i.p., for 1 week. Twenty four hours after the last administration, rats were sacrificed and the levels of glutamate and taurine, [$^3$H]dizocilpine ([$^3$H]MK801) binding sites and glutamine synthetase activity were assessed in striatum, hippocampus and frontal cortex. The levels of striatal glutamate after GTS treatment in rats were decreased. And the levels of glutamate were decreased in striatum and frontal cortex and increased in hippocampus by the infusion of AF64A. However, the AF64A-induced changes of glutamate were returned to the control level by the administration of GTS in striatum, 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After the infusion of AF64A, the level of taurine was decreased in striatum and increased in hippocampus. GTS administrations in the AF64A-treated rats restored to the control level of taurine in the decreased striatal level of taurine, but not in the elevated level of hippocampal taurine. The specific [$^3$H]MK801 binding sites in hippocamp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not in striatum and frontal cortex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F64A. Although GTS itself did not affect the specific [$^3$H]MK801 binding sites, GTS administrations in the AF64A-treated rats did decrease the binding sites of (\`H)Mk801 in all examined regions. The activities of striatal glutamine synthetase were decreased after GTS treatment. The activities of striatal glutamine synthetase (GS) were decreased in AF64A-treated groups. However, the decreased striatal GS activities by AF64A were returned to the control level by GTS treatment. Furthermore, GTS administrations in the AF64A-treated rats increased the hippocampal GS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that GTS may adjust the levels of glutamate and taurine constantly and may induce increase in AF64A-induced decrease of GS activity. Thus, it suggests that GTS may antagonize changes in central glutamatergic nervous system induced by AF64A. Also it suggests that the actions of GTS may differently affect in the disease st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