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r Learning Experienc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4초

사고의 반영과 학습의 문헌고찰 -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본 사고반영 중심의 실습 (Reflection and Learning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t reflective practicum)

  • 신경림
    • 대한간호
    • /
    • 제31권5호
    • /
    • pp.65-71
    • /
    • 1992
  • In nursing, a practice discipline, it has been argued whether the mastery of clinical competence depends on types of learning style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use of specialized skills. All these problems are not limited to nursing education. Later educators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reflective learning which is a vital element in any form of learning and that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consider how they can incorporate some forms of reflection in the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ducational articles for understanding better what reflection in learning is, to identify the theme which is of important relevance to professional practice, from the book,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o discuss the theme within nursing education. Reflection in learning was defined by Dewey(1933) as the process which is involved the perception of relationships and connections between the parts of an experience. This experience is passed on when two people becoming involved with each other in a conversation. schon(1987) emphasized that learning conversation, which is a part of the interaction of student and teacher,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process of reflection-om-actopm.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good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aculty's role, interpersonal skills are critical in learning conversation. Then Practing nurses who accept the need to choose nursing actionss on the basis of reflection, who accepet the necessity for understanding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the reasons for action are a powerfful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o an increasingly more effective profession for the benefit of patients.

  • PDF

Successful Robotic Gastrectomy Does Not Require Extensive Laparoscopic Experience

  • An, Ji Yeong;Kim, Su Mi;Ahn, Soohyun;Choi, Min-Gew;Lee, Jun-Ho;Sohn, Tae Sung;Bae, Jae-Moon;Kim, S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1호
    • /
    • pp.90-98
    • /
    • 2018
  • Purpose: We evaluated the learning curve and short-term surgical outcomes of robot-assisted distal gastrectomy (RADG)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experienced in open, but not laparoscopic, gastrectomy. We aim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RADG without extensive laparoscopic experienc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ly 2012 and December 2016, 60 RADG procedures were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using the da $Vinci^{(R)}$ Surgical System (Intuitive Surgical). Patient characteristics, the length of the learning curve, surgical parameters, and short-term postoperative outcom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learning curve had been overcome. Results: The duration of surgery rapidly decreased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case; after 25 procedures, the duration of surgery was stabilized, suggesting that the learning curve had been overcome. Cas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25 cases before the learning curve had been overcome (early cases) and 35 later cases. The mean duration of surgery was 420.8 minutes for the initial cases and 281.7 minutes for the later cases (P<0.001). The console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during the later cases (168.6 minutes) than during the early cases (247.1 minutes) (P<0.001). Although the volume of blood loss during surgery declined over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and later cases. No other postoperative outcomes differed between the 2 groups. Pathology reports revealed the presence of mucosal invasion in 58 patients and submucosal invasion in 2 patients. Conclusions: RADG can be performed safely with acceptable surgical outcomes by experts in open gastrectomy.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인식, 경험의 질적 탐구 (Qualitative research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SW education)

  • 이정민;김소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9-53
    • /
    •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소프트웨어를 원활히 운용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을 갖추는 것은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개정 2015 교육과정으로 공교육에 체계적인 SW교육을 도입하여 필수화하였고, 초등학교에서는 실과 교과에서 SW교육이 내년 본격적으로 실시된다. SW교육이 학교현장에 체계적으로 안정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지도역량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정부는 '2018년 교원양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지원 사업(SWEET)'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책이 추진되더라도 현장에서 교수 학습방법 개선 등의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뒤늦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교육의 변화의 주체는 교사이기에 교사가 변화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 경험, 관심도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학습사례제시 등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속 과제의 학습 경로 분석: 넓이와 부피를 중심으로 (How do Korean Elementary Textbooks Pace Students' Learning to Learning Trajectories? : Focus on Area and Volume)

  • 고은성;이은정;황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207-225
    • /
    • 2017
  • 학생의 학습기회를 형성하는 데 있어 교과서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고려하면 교과서 분석은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지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학습 경로(learning trajectory)에 제시된 넓이와 부피 개념의 이해의 발달 단계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1~6학년의 수학교과서 속의 넓이와 부피에 관한 과제들을 그 과제를 해결하는데 요구되는 사고와 행동을 기초로 학습 경로에 제안 된 발달 단계를 이용하여 코딩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과서 속의 과제와 학습 경로 간의 상당한 불일치를 발견하였다. 우선, 교과서는 학습 경로에 제안 된 나이보다 상당히 늦게 해당 학습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넓이의 경우 5학년, 부피의 경우 6학년에 학습 기회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이런 집중된 학습 기회도 개념의 발달보다는 넓이 또는 부피의 공식을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과서 개발뿐만 아니라 수학수업에서 학생의 학습 기회를 확장시키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자기주도형 중환자간호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Self-directed Critical Care Nursing e-Learning Program)

  • 김금순;김진아;안정원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9권1호
    • /
    • pp.51-6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directed e-learning program for ICU nurses and to evaluate how the proposed e-learning program affects the level of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ICU nurses. Methods: The e-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Design Model using sources of self-efficacy which included the inactive attainment, vicarious experience, and verbal persuasion of ICU nurses.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experts.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program, it was applied to a total of 59 ICU nurses (experimental group n=29, control group n=30) from three hospitals. Four weeks later, we measured the level of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level of knowledg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5.691, p<.001). Moreover, the level of nursing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reas of circulatory diagnostic test (t=2.143, p=.039), EKG (t=2.911, p=.006), aortic balloon pump (t=2.491, p=.017), and nebulizer therapy (t=2.085, p=.044). Overall, job satisfaction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1.664, p=.105); however,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t=2.371, p=.023) and the needs of nursing performance (t=2.940, p=.006)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e-learning program using sources of self-efficacy from ICU nurses w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increase the level of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The propose de-learning program would be a useful teaching tool for ICU nurses improving the quality of ICU patient care.

  • PDF

간호학과 만학도의 전공 과정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Nursing Department Mature-age students Major Course)

  • 김미화;조은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19-26
    • /
    • 2022
  • 본 연구는 만학도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에 관해 학업수행과정 문제점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해 보는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K시 일개 대학 4학년의 만학도 대학생으로 학업에 대한 열정을 갖추고 이에 대한 인식을 갖춘 1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만학도의 생활과 관련된 경험을 한 학생으로 질문에 대해 48시간 내에 면담과 자기 보고서를 통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만학도 간호학생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4개 범주, 14개 주제, 34개 의미 있는 진술로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끝이 없는 힘듦', '만학도 그들과 함께 함이 이유', '서서히 찾아가는 자신감', '학문과정에서 인생을 배우다'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만학도 간호학생들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대학 적응과 추후 건강한 간호전문직을 양성하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노인체험복 착용경험에 관한 연구 (Experience of Aging Simulation Cloth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정혜선;김응종;김정희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141-157
    • /
    • 201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노인체험복 착용경험을 파악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부양의식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는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노인간호 강의 및 노인체험복 경험이 없는 간호과 학생으로서 실험집단 44명, 비교집단 41명이었다. 실헙집단 학생들은 노인체험복을 착용한 후 시력과 청력기능, 척추 및 관절기능, 손가락기능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체험하는 활동을 하였다. 집단 간의 동질성 검정은 t-test, $X^2$ 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으며, 태도와 부양의식의 집단간 비교에는 t-test와 paired t-test를 적용하였다. 체험소감문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노인체험복 착용경험 후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체험소감문의 내용분석에서는 노인의 모습과 행동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노인을 공경하고 배려하겠다는 다짐 등을 보였다. 또한 자신의 노후생활에 대해 슬프고 두려운 느낌을 표현하면서 노후를 위한 자가관리를 생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체험복 착용경험이 실험집단의 노인에 대한 이해, 노인을 대하는 행동, 노인에 대한 간호방법 및 자신의 노후에 대한 준비 등에 대하여 긍정적 사고와 의지를 고취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는 노인간호학 교과목에 필요한 의미 있는 학습경험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효과의 양적 검정을 위해서는 첫째, 학습경험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고 공유하는 방안, 둘째, 체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의 도입, 셋째, 작은 효과에 민감한 도구를 활용한 반복 연구 등이 필요하며 아울러 체험과정에서의 안전을 위한 철저한 사전교육과 감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eaching Breast Cancer Screening via Text Messages as Part of Continuing Education for Working Nurses: A Case-control Study

  • Alipour, Sadaf;Jannat, Forouzandeh;Hosseini, Lad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607-5609
    • /
    • 2014
  • Introduction: Although continu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practicing nurses, it is very difficult to organize traditional classes because of large numbers of nurses and working shifts. Considering the increasing development of mobile electronic learning, we carried out a study to compare effects of the traditional face to face method with mobile learning delivered as text messages by cell phone. Materials and Methods: Sixty female nurses working in our hospital were randomly divided into class and short message service (SMS) groups. Lessons concerning breast cancer screening were prepared as 54 messages and sent in 17 days for the SMS group, while the class group participated in a class held by a university lecturer of breast and cancer surgery. Pre- and post-tests were undertaken for both groups at the same time; a retention test also was performed one month later.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paired T test and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ere used with SPSS software version 16; p<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Mean age and mean work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class and SMS groups was $35.8{\pm}7.2$, $9.8{\pm}6.7$, $35.4{\pm}7.3$, and $11.5{\pm}8.5$,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mean score post-tests (compared with pretests) in both groups (p<0.05). Although a better improvement in scores of retention tests was demonstrated in the SMS group, the mean subtraction value of the post- and pretests as well as retention- and pretes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p=0.3 and p =0.2, respectively). Conclusions: Our study shows that teaching via SMS may probably replace traditional face to face teaching for continuing education in working nurses. Larger studies are suggested to confirm this.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과학 수업의 효과에 대한 중학교 과학 영재들의 인식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Classes Us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 신은지;최원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5호
    • /
    • pp.277-290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소재의 국립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2학년 4명의 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을 적용한 과학 수업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메타인지와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의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과학 영재 학생들 대상의 설문과 면담을 통해, 과학 영재 학생들은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과학 수업을 통해 메타인지의 계획, 모니터, 조절, 평가 네 가지 하위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 과학 영재학생들은 자기주도적으로 실험을 설계하는 경험, 수집한 실험 자료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활동, 피드백 과정, 결론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반성 경험 등을 제시하였다. 과학 영재 학생들은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과학 수업을 통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해당하는 태도, 탐구, 지식, 과학·기술·사회(STS), 과학학습의 즐거움과 유용성 영역에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 이유로 과학 영재 학생들은 자기주도적으로 탐구를 진행하는 경험, 동일한 주제의 연속적 실험 경험, 각 탐구의 단계에서 사고하는 과정, 탐구과정에서 학습하는 경험, 탐구의 전 과정 경험, 실생활과 밀접한 현상에 대한 탐구 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하여 과학 영재 학생들이 응답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과학 수업의 특징을 추후 과학 영재 수업뿐만 아니라 일반 학교 과학 수업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A Cause Analysis of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of Change in Science Attitude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권치순;허명;양일호;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256-1271
    • /
    • 2004
  • 최근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학업 성취도, 교육 프로그램의 일관성, 수업의 질뿐만 아니라 과학 교육의 관점과 과학 관련 직업 선택에도 영향을 준다. 그 동안의 과학 태도에 대한 선행 연구와 국제 비교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점차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 과정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환경 변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6,925명을 대상으로 2003년 3월부터 3회에 걸쳐 학생틀의 과학 태도와 학습 환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일년 중 6월 이후에 낮아지고,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 과학 태도가 크게 변하였다. 과학 태도가 1학기보다는 2학기에 더 많이 하락하였으며, 초 중학교 학생들보다 고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하락 폭이 더 컸다.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과학에 대한 경험이고, 교사, 학급 분위기 등이 과학 태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환경 변인은 과학 태도가 하락한 학생과 과학 태도가 상승한 학생이 각각 다르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과학 태도에 영향을 주는 범주는 초등학교에서는 성, 학년, 지역, 중학교에서는 학년과 지역,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는 지역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