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t means analysi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여성장애인의 장애유형별 자녀양육역량, 양육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에 대한 잠재평균분석 (Latent Means Analysis of Parenting Competency, Parenting stress, Resilience,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disability types among disabled women)

  • 이유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91-29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하여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역량, 양육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수준이 장애유형(정신장애, 신체장애)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장애인의 장애유형에 따라 정신장애 167명, 신체장애 132명으로 구분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수준은 정신장애 여성에서 더 높게, 자녀양육역량과 회복탄력성은 신체장애 여성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실천적 정책적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

취업 정신장애인의 근로시간 형태별 지각된 낙인감, 심리적 역량강화, 직무만족에 대한 잠재평균분석 (Latent Means Analysis of Perceived Stigma,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Hours among the Employed People with Mental Illness)

  • 이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31-438
    • /
    • 2018
  • 본 연구는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취업정신장애인의 근로시간 형태에 따른 지각된 낙인감, 심리적 역량강화, 직무만족의 차이를 알아보며, 지각된 낙인감과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심리적 역량강화가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취업한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낙인감, 심리적 역량강화, 직무만족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인감과 직무만족 사이 그리고 심리적 역량강화와 직무만족 사이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심리적 역량강화는 낙인감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전일제 근로 정신장애인이 지각된 낙인감 수준이 더 높고, 직무만족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제 근로 정신장애의 심리적 역량강화 수준이 전일제 근로 정신장애인보다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취업정신장애인의 근로시간 형태를 고려한 직무만족 향상, 낙인감 감소, 심리적 역량강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잠재계층분석기법(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한 영화 소비자 세분화에 관한 연구 (Segmentation of Movie Consumption : An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to Korean Film Industry)

  • 구교령;이장혁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61-184
    • /
    • 2011
  • As movie demands become more and more diversified, it is necessary for movie related firms to segment a whole heterogeneous market into a number of small homogeneous markets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fic needs of consumer groups. Relevant market segmentation helps them to develop valuable offer to target segments through effective marketing planning.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various segmentation methods and compare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particular, we analyze "2009~2010 consumer survey data of Korean Film Industry" by using Latent Class Analysis(LCA), a statistical segmentation method which identifies exclusive set of latent classes based on consumers' responses to an observed categorical and numerical variables. It is applied PROC LCA, a new SAS procedure for conducting LCA and finally get the result of 11 distinctive clusters showing unique characteristics on their buying behaviors.

색인어 가중치 부여 방법에 따른 K-Means 문서 클러스터링의 LSI 분석 (Latent Semantic Indexing Analysis of K-Means Document Clustering for Changing Index Terms Weighting)

  • 오형진;고지현;안동언;박순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7호
    • /
    • pp.735-742
    • /
    • 2003
  • 정보검색 시스템에서 문서 클러스터링 기술은 사용자 질의에 대해 검색된 문서들을 문서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특정 주제에 따라 재배치하여 놓는 기술로써 사용자에게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그 결과들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문서를 클러스터링하며 문서를 대표하는 색인어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기법에 대하여 논한다. 클러스터링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문서와 클러스터 중심들을 2차원 공간으로 사상하기 위한 Latent Semantic Indexing 접근 방법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문서의 색인어에 대한 가중치 부여 방법을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유사한 수식을 적용한 사례보다는 로컬가중치, 글로벌가중치, 정규화 요소를 모두 부여한 사례에서 문서들이 2차원 벡터 공간에서 군집하여 분포하는 클러스터링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로컬 가중치와 글로벌 가중치에 logarithm을 적용하였을 때 문서 분포의 군집도는 현저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탐색적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한 "과학에 대한 태도" 3요소 모델의 타당도 연구 (A Study of Validity in Tripartite Model of "Attitudes towards Science"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 이경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81-49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validity of Tripartite model of "Attitudes towards Science"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re two major approaches to factor analysis. The primary goal of factor analysis is to explain the covariances or correlations between many observed variables by means of relatively few underlying latent variabl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number of latent variables is not determined before the analysis, all latent variables typically influence all observed variables, the measurement errors(${\delta}$) are not allowed to correlate, and unidentification of parameters is comm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quires a detailed and identified initial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echniques allow relations between latent and observed variables that are not possible with traditiona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echnique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ripartite model of "Attitudes towards Science" being composed of affec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cognition is empirically identified. But attitude of science career being composed of affe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s identified. In validity test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structure of Tripartite model of "Attitudes towards Science" is not correspondent to data set. Because it is concluded that the object of attitudes are not specific.

  • PDF

Latent Mean Analysis of Health Behavior between Adolescents with a Health Problem and Those without: Using the 2009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 Park, Jeong-Mo;Kim, Mi-Won;Cho, Yoon Hee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88-49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struct equivalence of the general five factors of health behavior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between adolescents with a health problem and those without in Korea. Methods: The 2009 KYRBS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 scale had configural, metric, and scalar invariances across the existence of health problems in adolescents. Results: Configural, metric, and factor invariances were satisfied for the latent mean analysis (LMA) between adolescents with health problem and those without. Adolescents with health problem and those without were not different in the LMA of all factors. Conclusion: Health providers should give more interest to the group of adolescents with health problems and consider prudential school life to the same group.

노인 문제음주가 우울,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빈곤노인 및 비빈곤노인 집단에 대한 잠재평균분석의 적용 (Effects of Problem Drinking of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Depression and Self-esteem: A Latent Means Analysis Application between Poor and Non-poor Elderly)

  • 권현수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521-1538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의 문제음주와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빈곤노인집단과 비빈곤노인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다집단분석 및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2007 한국복지패널 2차년도 조사자료 중 만 65세이상 노인 3,58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빈곤노인은 2,471명, 비빈곤노인은 1,118명이었다. 잠재평균분석결과, 빈곤노인이 비빈곤노인에 비해 문제음주성향과 우울감이 더 높았고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은 집단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분석을 통해 각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집단 차이를 통해 살펴보니 문제음주와 우울의 정적인 관계는 두 집단 모두에게서 나타났고, 우울과 삶의 만족도간의 부적인 관계는 빈곤노인에게서만, 문제음주와 자존감과의 부적인 관계는 비빈곤노인에게서만 나타났다. 노인의 문제음주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빈곤노인집단에게서만 확인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집단간 평균검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던 노인의 문제음주 변인이 오차오류를 통제한 잠재평균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문제음주 경향이 더 높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조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한 문제음주 대책은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노인 문제음주에 대한 접근에서도 예방과 치료에 있어 우울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심리정서적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장애자녀 돌봄제공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한 융복합 돌봄역량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convergent caring competency for promotion of caregivers' wellness of disabled children)

  • 이유리;김남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479-487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자녀 부모가 인식한 돌봄역량, 돌봄경험의 평가(돌봄부담, 돌봄만족), 자조집단지지의 수준이 자녀의 장애유형(정신장애, 신체장애)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장애자녀 부모 301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고,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 정신장애 유형 180명과 신체장애 유형 121명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의 잠재평균분석을 위해 형태동일성 검증, 측정동일성 검증, 절편동일성 검증, 요인분산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은 신체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에 비해 자조집단지지와 돌봄부담이 더 높게 분석되었고, 반대로 신체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은 정신장애 자녀를 돌보는 집단에 비해 돌봄만족과 돌봄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서비스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과학 과목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Means Analysis of Gender among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 주영주;정영란;이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76-886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서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및 성취도의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및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06의 한국 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평균 비교 및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집단 분석의 잠재평균 비교 결과, 남학생을 참조집단으로 삼았을 때 여학생들의 잠재평균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 동기는 흥미에 영향을 미쳤고, 학업성취도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흥미 증진 및 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동기 진작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Performance Analysis of Sensible and Latent Energy Recovery System for Thermally Controlled Facility

  • Park, Byung-Kyu;Kim, Moo-Geun;Kim, Geun-Oh
    • International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 /
    • 제9권4호
    • /
    • pp.17-26
    • /
    • 2001
  • Simulation was conducted using TRNSYS to evaluate the thermal performance of a facility. This facility has a condensing-type heat exchanger which is able to recover the latent energy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heating energy in winter. The boiler and chiller are selected based on the annual peak loads and controlled to maintain the facility at the set temperature of 14~$17^\circ{C}$. Supplied energy by the boiler and recovered energy by the heat exchanger were calculated as a function of number of pass through heat exchanger, kind of fuel and hot water velocit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bout 20% of the total heating load can be recovered by the heat exchanger and the amount of latent heat is increasing with the number of pass. This means that the efficiency of the waste energy recovery system can be increased by using a condensing-type heat exchanger rather than a traditional sensible heat exchang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