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 neurologic sequela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저체온하 순환정지를 이용한 소아 개심술 후의 신경계 이상에 대한 펑가 (Evaluation of Neurologic Abnormalities After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for Pediatric Cardiac Surgery)

  • 박계현;전태국;지현근;이정렬;김용진;노준량;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14-23
    • /
    • 1996
  • Circulatory arrest under deep hypothermia is an important auxiliary means for cardiac surgery, especially useful in pediatric patients. However, its clinical safety,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neurologic outcome after long duration of circulatory arrest, is still not established.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eight years'clinical experience of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During an eight-year period from January 1986 through December 1993, a total of 589 consecutive cardiac operations were done using circulatory arrest under deep hypothermia. Among them, 434 consecutive patients, in whom the duration of arrest was 20 minutes or more,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duration of arrest ranged from 20 minutes to 82 minutes (mean = 38.7 minutes) under rectal temperature in the range from 12.5$^{\circ}C$ to 25.8$^{\circ}C$. Early neurologic abnormalities occurred in 47 patients : seizure attacks in 28 patients, motor paralyses with or w thout seizure in 12, blindness in 2, and no recovery of consciousness in 5 patients. The rate of incidence of early neurologic abnormalities was calculated at 15.7%. 25 patients showed late neuropsychologic sequelae, such as motor paralysis (9 patients), recurrent seizures (6), developmental delay (8), and definitely low intelligence (2). The rate of incidence of late neurologic sequelae was 8.5%, By statistical analysis, the following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risk factors for post-arrest neurologic abnormalities ; 1) long duration of circulatory arrest, 2) lower-than-ideal body weight, 3) preexisting neurological abnormalities, 4) associated non-cardiovascular congenital anouialies, and 5) low blood pressure during the early post-arrest period. It is concluded that circulatory arrest under deep hypothermia is a relatively safe means for pediatric cardiac surgery with acceptable risk. However, to warrant maximal safety,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duration of arrest to less th n 40 minutes. In addition, it is our contention that the early post-arrest period is a very critical period during which maintenance of adequate perfusion pressure in important for the neurologic outcome.

  • PDF

Late Onset Postpartum Seizure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Findings

  • Hwang, Sung-Nam;Park, Jae-Sung;Park, Seu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6호
    • /
    • pp.453-455
    • /
    • 2005
  • Two young women were brought to the Emergency room with generalized tonic and clonic seizures. Seizure developed seven and ten days after delivery respectively without the clinical signs of pre-eclampsia throughout the pregnancies. Magnetic resonance(MR) image of the brain showed characteristically symmetrical abnormal signals in the parietal and occipital regions. After several days of medical treatment, they were discharged without neurologic sequelae and follow-up MR images taken three months after discharge showed complete disappearance of the previous abnormal signals.

뇌졸중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간질환자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the Poststroke Seizure)

  • 이정호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7-33
    • /
    • 2006
  • Objectives : This report is about a case of a patient who improvement in general condition, Infection and dysphagia after poststroke seizure. Methods : We observed a patiet who received treatment in hospital because of stroke sequelae. Her symptoms were left hemiplegia, right hemiparesis, dysphagia, dyspnea, sputum and general weakness, and acupunture and herb medicine were applied. Results : Strok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seizures in the elderly. The impact of late onset GTC(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is associated with worse outcomes. Conclusion : The patient of this case was attacked by intracerebal hemorrhage, cerebaral infarction and GTC seizures. Since then her neurologic disorder was progressed. As the treatments of the patient, herb medication and acupuncture therapy were applied and she got a wide improvement of dysphagia, dyspnea, URI sign and general condition.

  • PDF

광범위한 뇌경색증이 합병된 지발형 B군 사슬알균에 의한 수막염 증례 (Late-Onset Group B Streptococcal Meningitis Complicated with Extensive Cerebral Infarction)

  • 조민수;김용민;조혜경;최수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1호
    • /
    • pp.45-49
    • /
    • 2018
  • B군 사슬알균은 3개월 미만 영아에서 발생하는 침습성 감염증의 주요한 원인균이다. 신생아 침습성 B군 사슬알균 수막염에 의한 뇌혈관 합병증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생후 29일 신생아에서 세균성 수막염이 진단되었다. 입원 3일째 경련이 발생하였고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다발성의 광범위한 대뇌피질(양측 전두엽, 측두엽 및 후두엽)과 뇌량 및 좌측 후두엽에서 급성 뇌경색증 합병된 소견을 보였다. 환아의 혈액과 뇌척수액에서 B군 사슬알균이 분리되었고 serotype III, ST-19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환아는 피질맹과 발달 지연을 보이고 있다.

세균성 뇌수막염에서 뇌척수액 Latex 응집 추적검사의 유용성 (Prognostic Value of Repeated Cerebrospinal Latex Agglutination Testing in Bacterial Meningitis)

  • 이수정;안소현;조수진;김혜순;이승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4호
    • /
    • pp.345-350
    • /
    • 2003
  • 목 적 : 세균성 뇌수막염은 높은 사망률과 후유증을 가져오는 심각한 소아에서의 감염성 질환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진 뇌척수액 latex 응집검사의 진단적 가치 외에도 추적검사에서 예후 예측 인자로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세균성 뇌수막염으로 진단받고 이화의대 목동병원에서 입원치료 받았던 25명의 환아들중 뇌척수액 세균배양검사와 latex 응집검사가 모두 양성이었던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에서 임상증상, 뇌척수액 소견, 방사선학적 소견 그리고 신경학적 후유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뇌척수액 추적검사는 항생제 치료 후 3, 7, 14, 21일 그리고 28일에 시행하였고, 3일째 음성이 된 환아들을 I군으로, 3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양성으로 남아있는 환아들을 II군으로 나누었다. 결 과 : 대상 환아 19명의 평균 나이는 $10.6{\pm}12.3$개월(2-33개월)이었고, 원인균으로는 H. influenzae type b 11명(57.9%), Group B Streptococcus 4명(21.1%), S. pneumoniae 3명(15.7%), 그리고 E. coli 1명(5.3%)이였다. I군은 10명(52.6%), II군은 9명(47.4%)이였다. 뇌척수액 추적검사에서 세균배양검사는 3일째 모두 음성화되었고, latex 응집 추적검사는 3일째 9명(47.4%)에서 양성이었고, 7일째 31.6%, 14일째 26.3%, 21일째 10.5%에서 양성이었고, 28일째에 모두 음성이 되었다. I군에서는 2명(20.0%)에서 경막하삼출 소견을 보였다. II군에서는 9명(100.0%) 모두에서 경막하 삼출을 보였고, 이 중에서 44.4%에서 뇌수종 또는 뇌연화 소견을 보였다. 신경학적 후유증은 II군에서 감각신경성난청 1명, 경련성 질환 1명 그리고 우측반신마비 1명이 발생했고, I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 세균성 뇌수막염 치료 시 뇌척수액 latex 응집 추적검사를 실시하는 것은 치료 초기에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하였다.

저체중 출생아의 심기형 수술의 성적 (The Outcome of Cardiac Surgery in Low Birth Weight Infants)

  • 성시찬;김시호;이영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430-438
    • /
    • 2002
  • 저체중은 많은 심기형의 수술에 있어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체중 출생환아에 있어서의 동맥관 개존증을 제외한 여러 심기형에 대한 외과적 치료의 결과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2년 2월까지 31명의 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심폐기를 이용한 개심술 환아(OHS군)가 12명, 비개심술환아(CHS군)가 19명이었다. 이들 환아에 대하여 술 후 중단기 성적을 알아보기 위해 환아의 병력지를 기초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태내주수는 36.9주(32.3∼42 주)였고 수술당시 평균 나이는 32.1일(0∼87 일), 출생시 체중은 1972g(1100∼2500g), 수술시 체중은 2105g(1450∼2500g)으로 OHS군과 CHS군에 차이가 없었다. 심기형은 OHS군에서는 심실중격결손증(VSD) (n=3), VSD와 대동맥궁이상(n=2), 총폐정맥환류이상(n=2), 대혈관전위증(n=2), 동맥간증(truncus arteriosus)(n=2), 삼심방증을 동반한 단심실증(n=1) 등이었고 CHS군은 대동맥축착증(n=7), 활로 4징증(n=3),활로 4징증 및 폐동맥폐쇄증(n=3), 다발성 근성 심실중격결손(n=1), 양대혈관 우심실기시증(n=1), 온전한 심실중격이 폐동맥판폐쇄증(n=2), 삼첨판폐쇄증(n=1), 대혈관전위증 및 다발성 심실중격결손(n=1) 등이었다. 13명(41.9%)의 환아에서 술 전 인공호흡이 필요하였다. 결과: 전체적으로 4례의 조기사망(30일 이내)이 발생하였다. OHS군에서 1례(8.3%), CHS군에서는 3례(15.8%)였다. 이 조기사망의 모든 예가 폐동맥교약술을 한 환아였고 완전교정이 가능하였던 환아나 폐동맥교약술을 제외한 고식적 수술에서는 수술사망이 없었다. 지연흉골봉합이 3례에서 필요하였고 술 후 7일 이상 장기간 인공호흡이 필요하였던 경우가 OHS군과 CHS 군에서 각각 7례로 58.3%, 38.8%의 빈도였다. 만기사망이 3례 발생하였는데 이 중 2례는 심장과 관련이 없는 사망이었다. OHS군 1명에서 술 후 뇌합병증이 발견되었다. 2명을 제외한 모든 생존자에서 현재 NYHA class I의 상태로 성장하고 있다. 결론: 저체중 출생 환아에서의 심기형은 완전교정술이 가능한 경우와 폐동맥교약술을 제외한 고식적 수술이 필요한 경우 낮은 수술사망률로 교정될 수 있었으며 중기성적도 양호하였다. 그러나 술 후 비교적 높은 빈도에서 장기간의 인공호흡이 필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