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ers and amplifier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Optically Managing Thermal Energy in High-power Yb-doped Fiber Lasers and Amplifiers: A Brief Review

  • Yu, Nanjie;Ballato, John;Digonnet, Michel J.F.;Dragic, Peter D.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6권6호
    • /
    • pp.521-549
    • /
    • 2022
  • Fiber lasers have made remarkable progres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and they now serve far-reaching applications and have even become indispensable in many technology sectors. As there is an insatiable appetite for improved performance, whether relating to enhanced spatio-temporal stability, spectral and noise characteristics, or ever-higher power and brightness, thermal management in these systems becomes increasingly critical. Active convective cooling, such as through flowing water, while highly effective, has its own set of drawbacks and limitations. To overcome them, other synergistic approaches are being adopted that mitigate the sources of heating at their roots, including the quantum defect, concentration quenching, and impurity absorption. Here, these optical methods for thermal management are briefly reviewed and discussed. Their main philosophy is to carefully select both the lasing and pumping wavelengths to moderate, and sometimes reverse, the amount of heat that is generated inside the laser gain medium. First, the sources of heating in fiber lasers are discussed and placed in the context of modern fiber fabrication methods. Next, common methods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active fibers during laser operation are outlined. Approaches to reduce the quantum defect, including tandem-pumped and short-wavelength lasers, are then reviewed. Finally, newer approaches that annihilate phonons and actually cool the fiber laser below ambient, including radiation-balanced and excitation-balanced fiber lasers, are examined. These solutions, and others yet undetermined, especially the latter, may prove to be a driving force behind a next generation of ultra-high-power and/or ultra-stable laser systems.

Planar Waveguide Amplifiers

  • Berneschi, S.;Conti, G. Nunzi;Righini, G.C.
    • 세라미스트
    • /
    • 제10권3호
    • /
    • pp.75-85
    • /
    • 2007
  • Over the past few years, due to the great development of optical communications, an increasing R&D activity has been focused on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integrated optic amplifier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ir application in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WDM) systems. In this technological context, rare-earth-doped oxide glasses, which had been widely used for solid state lasers, gained much attention as highly performing materials in the third telecom window, around 1.5 micron. The aim of the present paper is to provide a brief overview of the progress mad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authors' work in this area, and to shortly discuss its perspectives.

  • PDF

협대역 이터븀 첨가 편광유지 광섬유 증폭기를 이용한 고품질 2 kW급 파장제어 빔 결합 레이저 (High-beam-quality 2-kW-class Spectrally Combined Laser Using Narrow-linewidth Ytterbium-doped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 Amplifiers)

  • 정환성;이광현;이준수;김동준;이정환;조민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18-2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편광 유지 광섬유 기반의 고출력 이터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2 kW급 출력을 갖는 파장제어 빔 결합 레이저를 구현하였다. 파장제어 빔 결합을 위하여 광섬유 증폭기의 발진 파장은 각각 1062 nm, 1063 nm, 1064 nm, 1065 nm, 1066 nm로서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협대역 광섬유 레이저 증폭 시 발생하는 유도 브릴루앙 산란 비선형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시드 광원은 유사이진난수 신호(pseudo-random bit sequence, PRBS)를 이용하여 위상 변조된 5 GHz의 협대역 선폭을 갖도록 하였으며 전송광섬유는 30 ㎛ 코어 크기를 가지는 대면적 편광 유지 광섬유를 이용하였다. 파장제어 빔 결합으로 얻은 레이저의 최대 출력은 2.3 kW이며 빔 품질(M2)은 1.74이었다.

양방향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수동 광통신망 시스템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Using bi-direction SOA)

  • 최영복;박수진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3-294
    • /
    • 2008
  • Using bi-direction SOA based Extension system, FTTH can enhance PON system by increasing both the upstream and downstream link budget. This increased link budget can be used to extend the distance, increase the split ratio or both. The bi-direction SOA regenerates signals using all-optical amplification, and is therefore transparent to data rate or protocol. The bi-direction SOA supports legacy as well as future FTTx standards. This is based on SOA's proprietary technology platform for the manufacturing of advanced discrete photonics and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PICs). Because the bi-direction SOA uses the same InP semiconductor technology used in virtually all telecom lasers, it is able to amplify signals at 1310 and 1490 nm, wavelengths not accessible with commercial fiber-amplifier (EDFA) technology. Due to the extremely fast response time of the InP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s inside, the SOA can accommodate both continuous (downstream) and bursty (upstream) traffic.

  • PDF

원자섞임처리한 InGaAs/InGaAsP 양자우물의 PL 스펙트럼 특성 (PL spectra of disorderd InGaAs/InGaAsP quantum wells)

  • 이종창;최원준;이석;우덕하;김선호;최상삼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8-259
    • /
    • 2000
  • Quantum Well Disordering (QWD) has drawn a considerable attention in recent years$^{(1-3)}$ due to its wide applicability to optoelectronic devices. QWD allows modification of the shape of QW in selected regions, hence it modifies the subband energies in conduction and valance bands$^{(4)}$ . This leads to changes in optical properties such as band gap, absorption coefficient and refractive index. Thus such disordering in selected areas enables monolithic integration of various optoelectronic devices such as lasers, EA/EO modulators, waveguides and optical amplifier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quantum well disordering effects on photoluminescence spectra by using experimental measurements and theoretical analysis$^{(5)}$ . (omitted)

  • PDF

단일 모드 2 kW급 고출력 광섬유 증폭기 내의 광섬유 용융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iber Fuse in Single-mode 2-kW-class High-power Fiber Amplifiers)

  • 이준수;이광현;정환성;김동준;이정환;조민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단일 모드 2 kW급 고출력 광섬유 증폭기에서 발생한 광섬유 용융 현상을 융착점 냉각 특성에 따라 실험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소개한다. 레이저 출력에 따른 펌프 광 결합기와 주증폭기 이득 광섬유 사이의 융착점 온도를 레이저 출력에 따라 측정하였다. 융착점 온도는 레이저 출력 1.2 kW까지는 20℃에서 32℃까지 온도 상승 기울기 0.01℃/W로 증가율이 작았으나 1.2 kW 이후부터 온도 상승 기울기 0.08℃/W로 융착점 온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1.96 kW 출력에서 동작 중 광섬유 용융 현상에 의해 광섬유 증폭기가 손상되었다. 손상된 펌프 광 결합기의 전송 광섬유 코어에는 광섬유 용융의 전형적인 탄환모양손상 형상이 나타났다. 이후 수냉식 냉각판을 적용하여 융착점 부위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킨 후 레이저 출력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최대 출력 2.05 kW에서 광섬유 융착점 온도는 35.8℃였고 레이저 출력에 따른 온도 상승 기울기는 0.007℃/W로서 급격한 증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광섬유 증폭기에서 광섬유 용융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최대 출력 2.05 kW에서 모드 불안정성 역시 발생하지 않았다. 최대 출력 2.05 kW까지 빔 프로파일은 안정적인 가우시안 형태였으며 빔 품질 1.3 이하를 유지하였다.

TiO2와 SiO2 박막 쌍을 이용한 광모드 변환기가 집적된 반도체 레이저 단면의 무반사 코팅 (Anti-reflection coating on the facet of a spot size converter integrated laser diode using a pair of TiO2 and SiO2 thin films)

  • 송현우;김성복;심재식;김제하;오대곤;남은수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96-399
    • /
    • 2002
  • 전자선 증착기를 이용하여 1.3$\mu\textrm{m}$ 광모드 변환기가 집적된 반도체 레이저 출력 단면에 $SiO_2$$TiO_2$ 두 개의 박막 층으로 무반사 증착 하였다. 증착 단면의 최소 단면 반사율 $~ 10^{-5}$을 얻었고, $~ 10^{-4}$이하 단면 반사율 밴드 폭은 약 27nm임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코팅은 외부 공진기 레이저 광원 및 반도체 광 증폭기 등에 응용 가능하다.

중첩다단 메쉬회로를 적용한 펄스형 Nd:YAG 레이저의 2차 고조파 변환효율에 관한 특성연구 (A characteristics study on the Second-harmonic generation conversion efficiency of Pulsed Nd:YAG Laser adopted Superposition multiple Mesh Networks)

  • 김휘영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565-572
    • /
    • 2001
  • 최근 고체 레이저 출력측에 비선형 광학재료를 설치하여 적외선에서 자외선에 이르기까지 넓은 대역의 파장을 가진 레이저광이 요구된다. 비선형 광학소자는 고조파발생기와 파라메터 발생기와 같은 레이저원을 이용한 주파수 전 영역까지 확장 할 수가 있다. 주파수 변환은 고전력 레이저를 이용한 확장기술에 많이 이용하고있다. 새로운 각 주파수 대역에서 광학 매개체의 비선형 광학의 응답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과정들은 자외선영역에서 적외선까지 고전력 방사발생을 이용할 수가 있다. 광학 파라메터발생기와 증폭기는 저주파수에서 2가지 파장 등을 발생한다. 싱글 주파수원으로부터 발생하여 몇몇의 경우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거의 자외선 영역까지 이용할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녹색광을 얻기 위해서, 펄스형Nd:YAG 레이저는 다단펄스 포밍회로를 이용하였고 비선형광학(KTP)소자를 채택하여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펄스 중첩법을 이용하여 기본파로서 직접 설계 제작 후 SHG 장치를 장착하여 녹색광을 얻고 각 중첩 메쉬에 같은 에너지를 인가했을 때의 레이저 출력과 녹색광 출력간의 상관관계와 메쉬 수에 따른 변환효율을 조사하였다.

  • PDF

희토류 원소 첨가 비정질 찰코지나이드 : 형광 수명과 유리 구조 변화의 관계 (Amorphous Chalcogenide Solids Doped with Rare-Earth Element : Fluorescence Lifetimes and the Glass Structural Changes)

  • 최용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696-702
    • /
    • 2004
  • 찰코지나이드 유리에 첨가된 희토류 원소의 4f 전자 궤도를 구성하는 여기 상태 에너지 준위의 수명은 기지 재료의 단거리 구조 변화뿐만 아니라 중거리 구조 변화에도 매우 민감하다 Pr$^{3+}$ 이온을 첨가한 다양한 조성의 Ge-Sb-Se 계열 찰코지나이드 샘플을 대상으로 Pr$^{3+}$ ($^3$F$_3$, $^3$F$_4$)\$\longrightarrow$$^3$H$_4$천이로부터 발생하는 1.6$\mu\textrm{m}$ 형광의 수명을 측정한 결과, 해당 형광 수명은 mean coordination number가 -2.67이 되는 조성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유리의 구조가 2차원 구조에서 3차원 구조로 전환됨에 따라 희토류 이온의 분포도가 변화하기 때문이며 소위 topological structure 모델과 chemically ordered network모델로써 공유 결합성이 강한 찰코지나이드 유리에 첨가된 희토류 이온의 발광 특성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희토류 원소의 분포 및 형광 수명을 단지 찰코지나이드 재료의 성분비만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이 타당함을 의미한다

S/S+band에서 넓은 파장가변 영역을 가지고 50-GHz ITU-T격자에 맞는 채널을 생성하는 thulium이 첨가된 광섬유 레이저 (Widely tunable thulium-doped fiber laser anchored on 50-GHz ITU-T grid in S/S+ band)

  • 안성준;박철근;안승준;박종한;박남규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21
    • /
    • 2004
  • S/S+band에서 ITU-T의 50 ㎓격자에 맞는 채널을 가지는 광대역 파장가변 thulium첨가 광섬유레이저(TTDFL)를 개발하였다. 1.4$\mu\textrm{m}$$1.5\mu\textrm{m}$두 대역의 광원으로 펌핑되는 thulium첨가 광섬유(TDF)의 반전에 관한 분석을 통해, 대부분의 S/S+band에서 파장을 가변할 수 있는 레이저를 구현하였다. 이 파장가변 레이저는 65.1nm의 넓은 3-㏈ 대역폭 내에서 6.7㏈m이상의 평탄한 출력 스펙트럼을 보여주었고, 생성된 DWDM채널 수는 178개에 달하였다. 또한 보조 펌프의 출력을 더 높일경우 66.2 nm까지도 대역폭을 넓힐 수 있었고, 공진기 내부 필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레이저의 주파수를 더욱 안정화 할 수 있음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 레이저는 S/S+band에서 기준 파장을 제공하는 유용한 광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