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mortality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5초

포식압 수준에 따른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표현형의 변화 (Polyphenism by the level of predation risk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황지희;김은지;김호진;정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85-491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산 도롱뇽 유생(Hynobius leechii)을 대상으로 포식압의 수준이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버들치의 냄새를 포식자 신호로 이용하여 (1) 높은 포식압- 하루 세 번의 포식압 (2) 중간 포식압- 하루 한 번의 포식압 (3) 포식압 없음 세 그룹으로 나누어 채집일로부터 부화 후 일주일까지 처리하였다. 먹이섭취로 인한 형태적 변화를 막기 위하여 실험은 기아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도롱뇽 유생은 경기도 광주, 인왕산, 수락산에서 채집된 난괴를 이용하였다. 포식압 처리 이후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곳의 길이(LHW), 눈이 있는 부분의 머리길이(HWE). 그리고 코 끝부터 항문(SVL)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의 측정은 HWE를 LHW로 나눈 수치(HWE/LHW)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그 결과 포식압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HWE/LHW와 SVL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각 포압에 따른 사망률을 조사하여 본 결과 포식압 수준에 따른 증가를 보여,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은 매우 에너지 소모적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롱뇽유생은 한정적 자원을 가진 환경에서 포식압에 의하여 카니발리즘을 일으키기 유리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학적 불임유기물질 Hempa가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L.)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 및 불임성의 전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Chemosterilant, Hempa, on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1.) and Transmission of Sterility)

  • 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
    • /
    • 1973
  • 본 실험은 Hempa 처리가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 L.)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과 부분불임성의 유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우화후 1-3일된 숫컷을 $0.0625\%,\;0.125\%,\;0.25\%,$$0.5\%$의 Hempa로 처리된 소맥에서 2일간 섭식처리하여 당대의 치사율, 수명 및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F_l,\;F_2,\;BC_1,\;F_3\;BC_2$ 세대에 미치는 처리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처리웅충의 평균수명은 대조구에 비하여 차가 없었으며 당대 치사율도 $0.5\%$ 처리시 보정 치사율은 $7.07\%$로 유의차가 없었다. (2) 처리웅충과 교배된 정상 자충의 3일간 평균 산란수는 무처리구 3.60에 비하며 $0.0625\%,\;0.125\%,\;0.25\%,\;0.5\%$구에서 각각 3.78, 4.05, 3.75 및 3.61개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비교배자충 구에서는 1.91로 현저한 산란수의 감소를 보였다. (3) 처리웅충과 무처리자충의 교배에서 얻은 $F_l$대의 처리후 27일간 총평균 부화율은 대조구 $86.82\%$에 대하여 $0.0625\%,\;0.125\%,\;0.25\%,\;0.5\%$구에서 각각 $64.77\%,\;53.47\%,\;40.33\%,\;24.78\%$로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부화율이 감소되었다. (4) 처리후 산란 시기별로 산하된 란의 부화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처리후 10-12일까지는 부화율이 감소하다가 그후 다시 증가하는 회복현상을 보였다. (5) 고농도 처리구인 $0.5\%$구에서는 처리후 1-3일에 산하된 란의 부화율이 낮았고 10-12일 이후에도 회복의 속도가 느렸다. 이와같은 현상은 배우자 형성 과정에서 영향을 받는 시기의 범위가 넓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6) 유충기 치사율은 대조구 $6.55\%$에 비하여 $0.0635\%,\;0.125\%,\;0.25\%,\;0.5\%$구에서 각각 $17.89\%,\;27.40\%,\;35.43\%,\;52.17\%$로 처리농도의 증가에 따라 치사율의 증가를 보였다. (7) 난기 치사율과 유충기 치사율의 관계는 $0.125,\;0.25,\;0.5\%$ 처리구에서 상관계수가 각각 r=+0.89, +0.83 및 +0.85로 난기 치사와 유충기 치사는 동일형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8) 치사인자 발현에 대한 난기와 유충기의 감수성은 각각 $SC_{50}=0.133\%$$LC_{50}=0.565\%$초 난기가 유충기보다 감수성이 쳤다. 또한 미우화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 둘의 공동작용의 결과임으로 $LC_{50}=0.09\%$로 더욱 감수성이 컸다. (9) $F_1$대의 우화 성충은 $0.125\%,\;0.25\%\;,\;0.5\%$ 처리구에서 암컷대 숫컷의 비율이 100 : 125, 100 : 108 및 100 : 124로 숫컷의 출현빈도가 높은 듯 하였으나 우화 개체수가 적은 관계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10) $P_1$이 처리후 16-18일에 산하한 난에서 우화한 $F_l$ 웅충을 무처리 자충과 교배하였을 때 $0.0625\%$구에서는 $13.88\%,\;0.125\%$ 구에서는 $33.04\%$의 난기 치사율을 나타내었고 $F_2$도 각각 $31.01\%$$38.73\%$의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어 염색체 이상의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11) $F_2$ 세대의 유충기 치사율은 자충 퇴교배구가 웅충 퇴교배구 보다 높았고 $F_l$ 형매교배에서 가장 높았다. (12) $F_2$$BC_1$ 세대의 유충발육은 산난후 제17일에 1-2영충이 대조구 $10.98\%$에 비해 자충 퇴교배구, 웅충 퇴교배구 및 $F_2$구에서 각각 $7.26\%,\;32.98\%$$15.73\%$로 분화의 지연작용을 나타내는 듯하였다. (13) $F_3$ 세대에서도 난기 및 유충기 치사율이 형매교배구가 퇴교배구 보다 높았다. 이는 열성치사인자가 영향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14) Hempa 처리에 의하여 유기된 불임은 주로 전좌나 결실과 같은 염색체 이상로 유기되는 우성치사돌연변이에 기인된 것이라고 생각되었으며 이들 인자의 영향은 처리 후 제3세대에까지 전달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진주배말(Cellana grata)의 수정 및 후기 피면자 유생의 착저단계에 미치는 저염분 영향 (Low Salinity Effects on the Fertilization and Settlement of Post Veliger Larvae in the Limpet Cellana grata)

  • 윤성진;정주학;김윤배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37-47
    • /
    • 2015
  • The effects of low salinity (fertilization success and larval survival) on the limpet Cellana grata were studied at early stages of development using the marine bioassay technique. It was shown that, under normal conditions for development from fertilization to the post veliger stage, the salinity must be not less than 20.0~35.0 psu. However, the fertilization rate and larval survival of C. grata was obviously reduced at 5.0 psu and 10.0 psu, respectively. Mass mortality was estimated to occur at <20.0 psu (48-h $EC_{50}=19.54psu$) and the survival rate of normal veliger larvae decreased with experimental time during exposure. 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NOEC) and lowest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LOEC) of post veliger were estimated at 30.0 psu and 25.0 psu, respectively, during 48-h exposure. The tolerance limits of the test species to salinity revealed various concentration ranges of salinity, which may reflect the physiology and ecology of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s of C. grat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reduced salinity is detrimental to the reproductive success and larval survival of C. grata, and if salinity is lowered by natural or anthropogenic sources during spawning, this would lead to decreased reproductive success and larval settlement.

Parasitic Behaviour of Xanthopimpla pedator Fabricius (Hymenoptera: Ichneumonidae) on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Drury (Lepidoptera: Saturniidae) Reared on Seven Forestry Host Plants in Uttarakhand, India

  • Bhatia, Narendra Kumar;Yousuf, Mohammad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7권2호
    • /
    • pp.243-264
    • /
    • 2013
  • Antheraea mylitta Drury is a commercial silk producing forest insect in India and Xanthopimpla pedator Fabricius is its larval-pupal endoparasitoid, which causes pupal mortality that affects seed production. Effects of host plants, rearing season and their interactions on parasitic behaviour of X. pedator were studied here, as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biological success of X. pedator is not known. Seven forest tree species were tested as food plants for A. mylitta, and rate of pupal parasitization in both the rearing seasons were recorded and analysed. Results showed that rearing season and host pla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rate of pupal parasitization in both the sexes. Pupal mortality was found significantly higher (14.52%) in second rearing season than the first (2.89%). Likewise, host plants and rearing seasons significantly affected length, diameter, and shell thickness of cocoons in both sexes. Out of all infested pupae, 85.59% were found male, which indicated that X. pedator chooses male spinning larva of A. mylitta for oviposition, but we could not answer satisfactorily the why and how aspect of this sex specific parasitic behaviour of X. pedat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length and shell thickness of male cocoons are potential predictors for pupal parasitization rate of X. pedator. Based on highest cocoon productivity and lowest pupal mortality, Terminalia alata, T. tomentosa, and T. arjuna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host plants for forest based commercial rearing of A. mylitta in tropical forest areas of Uttarakhand state, where it has never been reared earlier. Sex and season specific interaction of X. pedator with its larval-pupal host, A. mylitta is a novel entomological study to find out explanations for some of the unresolved research questions on parasitic behaviour of X. predator that opens a new area for specialised study on male specific parasitization in Ichneumonidae.

농약오염 뽕이 누에와 고치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the Influence of Agricultural Chemical Contaminated Mulberry Leaf on Silkworm Rearing and Cocoon Quality.)

  • 유재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3-100
    • /
    • 1974
  • 농약으로 오염된 뽕을 누에에게 급여했을 때 누에의 사육성적과 견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살충제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과를 얻었다. 1. 1,000배액의 살충제를 뽕잎에 살포한 후 25일 자연 방치하였다가 급여하여도 감잠비율이 증가하였다. 2. 농약오염뽕의 누에첨식사육결과 사육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살충제별로 차이가 있다. 3. Lebaycid의 첨식구에서는 탈항잠이 출현하였다. 4. 농약오염뽕의 누에첨식사육은 불정형견과 이상견사의 원인이 된다.

  • PDF

새뱅이 (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e Haan ) 의 유생 발생을 통한 수종 살충제 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xicity of several pesticides on larval development of shrimp cardina denticulata denticulata de haan)

  • Kim, Chang-Hy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3호
    • /
    • pp.257-265
    • /
    • 1992
  • The effects of insecticide dimilin including the technical grade(tg) and wettable power(wp-25), inhibiting the synthesis of chitin in the cuticle of insect larvae, and herbicides alachlor and atrazine on the development of shrimp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concentrations. This species is abundant in the freshwater such as river and pond. The shrimp larvae were reared at dimilin solutions(tg and wp 2), alachlor solutions, and atrazin solutions. the concentrations of dimiline were 0, 1, 5, 10 and 25 ppb dimilin solutions, and those of alachlor and atrazin were 0, 1, 5, 10 and 25ppm, respectively.mortality was high at 10 ppb when the larvae were exposed to dimilin and at 25ppm in the case of alachlor and atranzine solutions. If lethal concentration is defined as a concentration in which less than 10% of larvae to the post larval stage from hatching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ethal concentration of dimilin is 5ppb, and that of alachlor and atrazin is 25 ppm.

  • PDF

온도 및 기주조건이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의 난 및 유충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Food Source on the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s Fabricius)

  • 배순도;박경배;오윤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8-54
    • /
    • 1997
  • 온도 및 기주종류별 담배거세미나방의 난 및 유충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난과의 부화율은 온도에 관계없이 천연기주에서 100% 부화하였으나, 인공 사육용 갱지에서 약 65-87%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화율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난기간은 $24^{\circ}C$, $^28{\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4.4일, 3.9일 및 3.0일 이었으며, 기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충발육기간동안 유충무게는 $28^{\circ}C$$32^{\circ}C$의 경우 발육초기에는 고구마 잎을 식이한 유충이 무거웠으나 중기이후에는 콩잎과 들깨잎을 식이한 유충이 무거웠다. 하지만 $24^{\circ}C$의 경우 유충발육 12일까지 고구마잎에서 사육된 충이 다른 기주에서 사육된 충보다 무거웠는데, 이는 $24^{\circ}C$$28^{\circ}C$와 32$^{\circ}C$에 비해 저온으로 유충의 발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렸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유충의 사망률은 온도별로는 $24^{\circ}C$에서 가장 높았고, $28^{\circ}C$에서 가장 낮았다. 하지만 기주별 사망률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유충발육이 진행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항이었다. 유충기간은 $24^{\circ}C$에서 약 23.6-30.4일, $28^{\circ}C$에서 18.6-22.3일 및 $32^{\circ}C$에서 약 14.5-18.0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유충기간이 ?아졌으며, 기주별로는 콩잎에서 가장 짧았고 다음이 들깨잎 및 고구마잎 순 이었고, 인공사료에서 가장 길었다. 난과 유충의 발육임계온도는 각각 평균 약$ 6.17^{\circ}C$$10.85^{\circ}C$였다.

  • PDF

무궁화잎밤나방(Anomis mesogona)과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에 대한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Against Anomia mesogona and Anomis commoda(Lepidoptera: Noctuidae))

  • 김형환;박형순;조윤진;이동운;추호렬;구관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25
    • /
    • 2005
  • 무궁화의 중요한 식엽성 해충인 무궁화잎밤나방(Anomis mesogona)과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na carpocapsue 포천 계통(ScP)의 병원성을 실내 petri dish와 pot에서 령기별(2령, 3-4령, 5령)로 검정하였다.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는 령기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선충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하였는데, 2령충의 경우 각각 9.7과 4.5였다. 그리고 Pot에서도 ScP의 병원성은 령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ScP는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의 2령충에 대하여 가장 높은 치사율을 보였는데, 90,000마리/pot($=1\times10^9$ 마리/ha) 처리 시 각각 $72.5\%$$87.5\%$의 치사율을 보였다. 반면 3-4령충부터는 병원성이 감소하여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 5령충에 대해서는 처리 5일 후, 90,000마리/pot 처리 시 각각 $5.0\%$$10.0\%$의 치사율만 나타내었다. Pot에 2령충과 3-4령충, 5령충을 각각 10마리씩 접종한 후, ScP를 90,000마리/pot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의 치사율은 각각 $69.2\%$$50.0\%$였다.

농약 혼용에 따른 꿀벌유충 독성의 상승 및 상쇄 영향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Interactions for Pesticide mixtures to Honeybee Larvae Toxicity)

  • 백민경;임정택;전경미;박경훈;최용수;이명렬;배철한;김진호;문병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1-246
    • /
    • 2016
  • BACKGROUND: Recently,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pesticides in the hive has been of concern about pesticide exposure on honeybee (Apis mellifera L.) health. Larval toxicity was adapted to assess the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interaction of cumulative mortality to the honeybee larvae of the four most common pesticides detected in pollen. METHODS AND RESULTS: Acetamiprid($3.0{\mu}l/L$), chlorothalonil ($803.0{\mu}l/L$), coumaphos ($128.0{\mu}l/L$), and tau-fluvalinate ($123.0{\mu}l/L$) were tested in combination; binary, ternary and four component mixture. Larvae were exposed to four pesticides mixed in diet at the average levels detected in pollen. As a result, synthetic toxicity was observed in the binary mixture of acetamiprid with coumaphos. The binary and ternary component mixtures of tested pesticides have mostly demonstrated additive effect in larval bees. The significant antagonistic effects were found in four parings of mixtures including chlorothalonil added to acetamiprid/tau-fluvalinate or acetamiprid/coumaphos/tau-fluvalinate, and tau-fluvalinate added to acetamiprid/chlorothalonil or acetamiprid/coumaphos/chlorothalonil. CONCLUSION: Interactions between combinations of four pesticides showed mostly additive or antagonistic effects in larval bees. Therefore, predicting the larval mortality of pesticides mixtur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single pesticide may actually overestimate the risk. We suggest that pesticide mixture in pollen be evaluated by adding their toxicity together for complete data on interactions.

Improving productivity of mulberry trees and silkworm, Bombyx mori L., using vermicompost application

  • Ghazy, Usama M.;Fouad, Tahia A.;Ahmed, Ghada 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0권2호
    • /
    • pp.41-50
    • /
    • 2020
  • Vermicompost, manure, compost and organic fertilization are ecofriendly. Nowadays, many products resulted from sericulture consumed by humans such as mulberry leaves, fruits, mulberry tea, silk and natural silk cosmetics. Soil applications of three treatments with vermicompost (0.5, 1 and 2 tons per 0.42 hectare) and recommended rate of mineral fertilizer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were used for investigation. Impact of fertilization on mulberry plant traits of moisture, number of shoots/tree, total shoots length/tree, number of leaves/shoot, number of leaves/ (100g), leaf yield/tree and leaf yield of fadden/season were recorded. In addition the effect of fertilization on larval and cocoon characters of young instar duration, fifth instar duration, total larval duration, larval mortality percentage, weight of third instar larvae, weight of fourth instar larvae, weight of fifth instar larvae, fresh cocoon weight, fresh shell weight, pupae weight, cocoon shell ratio, silk productivity, cocooning percentage, pupation ratio, number of cocoons/ liter, crop cocoons by number, crop cocoons by weight, fecundity and fertility. Using vermicompost treatment was enhancing plant characters. Treatments of V3, V2 and V1 were shortage young, fifth and larvae durations. Mostly feeding silkworm during the whole larval duration on treated mulberry leaves with vermicompost improving the traits average. Using vermicompost for fertilization by rate of V3 and V2 is better than others for cocoon characters for females and males.V3 and V2 of vermicompost per 0.42 hectare is recommended for rearing mulberry silkworm instead of mineral ferti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