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instar number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큰 28 점박이무당벌레의 기생천적 (Parasitoids of Henose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schulsky) (Coleoptera: Coccinellidae) in Kyonggido area, Korea.)

  • 이장훈;;이해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8-34
    • /
    • 1988
  • 감자, 가지등 가지과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인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1983년 1986년까지, 매년 6월부터 9월까지 채집하였고, 이들을 공격하는 기생천적의 종류, 각 기생천적에 따른 기주곤충의 령기별, 월별 기샐률이 조사되었다. Nothoser plus afissae (Watanabe), (벌목:Proctotrupidae), Uga menoni(Kerich)(벌목:수중다리 좀벌과), Pedipbius foveolatus (Crawford), (벌목:좀벌과) 등 3종류의 기생천적이 큰 28점박이 무당벌레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 afissae는 2령~4령때 채집한 유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3령때 채집한 기주에서 가장 높은 기생률로 나타났으며, 유충때, 기생해서 번데기때 우화하는 U.mononi의 경우 3령-번데기때 채집한 기주에 기생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번데기 때 재칩한 기주에서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N.afiss와 U.mononi는 6월뷰터 9월가지 전 조사기간에 걸쳐서 기주를 공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fissde 는 조사된 다른 기생천저등에 보다 기생률이 월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U.mononi의 겨우는 7월에만 높은 기생률을 나타냈다. P.foveolatuss는 다른 두 종류의 기생천적과는 달리 다매발생하는 것으로 남부지방에서는 8월초부터 출현하나, 경기도 지역에서는 9월초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기생된 큰28점박이 유충 1개체로 부퍼 평균 13.8개체의 성충이 우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History of the Korean Native Firefly, Pyrocoelia rufa

  • Kim, Jong-Gill;Kim, Keun-Young;Park, Young-Cheol;Park, Ji-Young;Kim, Sam-Eun;Jin, Byung-Rae;Lee, Sang-Mong;Lee, Jong-Eun;Lee, Ki-Y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1호
    • /
    • pp.69-72
    • /
    • 2003
  • Development and life history of the Korean native firefly, Pyrocoelia rufa, were investigated throughout the indoor rearing. Average size of egg with an oval shape was 1.7 m and the hatchability of egg of P. rufa was approximately 88.5%. The larvae were pupated at the ${5^th}$ instar and the body length of the matured larvae was 27.1 mm. The total periods of larval stage to the end of the 5$^{th}$ instar were approximately 104.7 days. Average pupal period was 10.3 days and average number of eggs oviposited by a female was 87.3 eggs. The body size of female in the pupa and adult was larger than that of male. The wings of female adult were deteriorate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History of the Korean Native Fire-fly, Luciola lateralis

  • Kim, Jong-Gill;Kim, Sam-Eun;Park, Ji-Young;Yoon, Hyung-Joo;Park, Young-Cheol;Ohba Nobuyoshi;Jin, Byung-Rae;Noh, Si-Kap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2호
    • /
    • pp.141-147
    • /
    • 2001
  • To study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native firefly, Luciola lateralis, development and life history of L. lateralis were investigated throughout the indoor rearing. Average size of egg with an oval shape was 0.51${\times}$0.56 mm and an egg period of L. tateralis was approximately 25.8 days. The larvae were pupated at the 5$^{th}$ instar and the body length of the matured larvae was 15.8mm. The total periods of larval stage to the end of the $5^{th}$ instar were approximately 271.7 days. Pupae formed soil cocoon and average pupal period was approximately 28.7 days. Average number of eggs oviposited by a female was approximately 97. The body size of female in the pupa and adult were larger that of male.

  • PDF

배나무 줄기벌(Janus piri Okamoto et Mat.)유충의 두폭과 영기수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ize of Head Capsule and Number of Instars in the Larvae of Pear Stem Sawfly, Janus piri Okamoto)

  • 윤주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5-219
    • /
    • 1975
  • 배나무 줄기벌의 유충을 수체내에서 채집하여 두폭을 측정하여 영기를 판정함과 동시에 성충비를 알아본 바 다음과 같다. 1) 유충의 두폭의 변이곡선은 구분된 6개의 계곡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5회의 탈피를 하여 6영을 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두폭의 표준편차는 1영과 2영이외에는 영이 커짐에 따라 커졌으며, 변이계수는 영이 커짐에 따라 줄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성장비는 1-2영시는 크고, 영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졌다. 3) 배나무 줄기벌 유충의 두폭성장 추정에는 Dyar식 보다 Gains와 Campbell식이 더욱 적합하였다. 4) 유충 영기는 피해 정도로 보아서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즉 2-4영의 유충 피해는 극히 적으며 피해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5-6영시 피해는 급진적이며 외형으로 피해가 나타난다.

  • PDF

콩은무늬밤나방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Three Spotted Plusia (Chrysoideixis agnata S.) in the laboratory)

  • 황창연;엄기백;최궤문;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89
    • /
    • 1980
  • 1976년 본해충을 실내사육하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 마리당 산란수는 $1202.0{\pm}150.6$개 산란전기간 $9.0{\pm}0.8$일 산란기간 $13.3{\pm}1.2$일 산란후기간은 $1.7{\pm}0.2$일이었고 산란시기는 일몰후였다. 2. 유충은 5령형과 6령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5령형의 유충기간은 $15.36{\pm}1.59$일 용기간 $7.82{\pm}1.01$일 6령형의 유충기간은 $16.92{\pm}1.08$일 용기간 $8.23{\pm}1.09$일 이였으며 난기간은 2일 자성충 수명은 $21.29{\pm}3.15$일 웅성충은 $19.14{\pm}2.47$일이였다. 3. 령기별 두건은 5령형 $2.77\~21.89mm$ 5령형이 $2.78\~22.38mm$였다. 4. 두건을 logarithum으로 변형했을 때 령기에 따른 두건의 증가는 5령형이 $log \;y=0.228\chi+0.228(r=0.997)$, 6령형이 $log \;y=0.182\chi+0.259(r=0.999)$로 표현되어 고도의 정상관 관계였다.

  • PDF

The Larval Age and Mouth Morphology of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Diptera: Stratiomyidae)

  • Kim, Won-Tae;Bae, Sung-Woo;Park, Hae-Cheol;Park, Kwan-Ho;Lee, Sang-Beom;Choi, Young-Cheol;Han, Sang-Mi;Koh, You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1권2호
    • /
    • pp.185-187
    • /
    • 2010
  • Most studies of the black soldier fly, Hermitia illucen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Southeast Asia and America focused on the use of larvae for recycling various organic materials and feed for fish and livestock. To recognize the instars of the soldier fly's larvae, we examined the number of exuviae originated from each larva from 1st instar to pupa. The weight and the head capsule width of the black soldier fly larvae also confirmed that the black soldier fly was passed through 6th instar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black soldier fly larvae had a well developed mandibular-maxillary complex, similar to those reported from the larvae of scavengers including Odontomyia cincta, Neopachygaster maculicornis, Ptecticus brunettii and Stratiomys ruficornis.

파밤나방 유충의 영기별 생장율 비교 (The Larval Development of Beet Armyworm,Spodoptera exigua (Hubner),(Lepidoptera:Noctuidae) by the Widths of the Head Capsule)

  • 고현관;이상계;최귀문;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4-57
    • /
    • 1991
  • 파밤나방 유충을 실내에서 5세대 동안 인공사육하여 탈피할 때마다 두폭의 최대치를 측정하여 영기별 생장율을 구한 결과 2령 유충의 생장율은 1.43 이었고, 3령은 1.55, 4령은 1.48, 5령은 1.54, 6령은 1.76이었다. 한편 두폭 평?치의 대수를 Ycnr, 령의 수를 X축으로 하여 회귀직선식을 구한 결과 LogY=-0.819+0.1872X($r^{2}$=)었고 Dyar의 법칙과 동일한 기하급수적 생장을 하였다. 각영기별 두폭의 평균치와 Dyar의 법칙과 적합도는 1령 유충이 94.7%, 2령은 98.3, 3령은 98.7, 5령은 94.6 6령은 92.2%었다. Dyar의 항수 (K)는 1.54였다.

  • PDF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L.)와 누에나방(Bombyx mori L.) 의 변태(變態)에 따른 지방체(脂肪體)의 미세구조(微細構造)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Fine structural studies on changes of fat bodies in Pieris rapae L. and Bombyx mori. L. during metamorphosis)

  • 한성식;김지현;김창환;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12권2호
    • /
    • pp.35-44
    • /
    • 1982
  • The fat bodies of cabbage worm (Pieris rapae) and silk worm (Bomyx mori) during metamorphosis was comparatively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e. 1. Cell oranelles: Golgi apparatus were not observed in both species. It is observed that RER of cabbage worms initiate to degenerate in prepupa stage with complete degeneration at adult stage, while that of silk worms shows similar degenerative pattern. However, mitochondria of cabbage worms are transformed into autophagic vacuole from prepupa stage until adult stage whereas those of silk worm shows a decrease in number in prepupa stage but maintains a certain level until adult stage. 2. Storage substance in cell: Lipid droplets in cabbage worms were observed to increase in numbers during larval stage but afterward decrease in number with an enlargement in size. However immediately after their pupal stage, they almost disappear. On the contrary lipid droplets in silk worms show rather increase in number until adult stage. Protein storage granules in bothspecies were arised from autophagic vacuoles(lysosome) . Fat cells of cabbage worm in adult stage turn out to be residual bodies which last until final stage, but those of silk worm rapidly decrease. Glycogen particles in both species reach maximum at last larval instar and thee gradually decrease thereafter. 3. Fat body sheath: The average width of fat body sheath was measured to be $0.2{\mu}m$ and $0.6{\mu}m$ and surface of fat cells adjacent to fat body sheath in silk worm is heavily infolded.

  • PDF

수원 지방에서 조명나방 휴면과 발생 세대수 및 휴면유도에 대한 유충의 민감성 (Diapause and Voltinism in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Crambidae) in Suwon, and Larval Instar Sensitivity to Diapause Induction)

  • 김은영;김이현;서보윤;김용균;박창규;정진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185-202
    • /
    • 2020
  • 수원 지방에서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나비목: 포충나방과) 성충 발생횟수와 유충 휴면이 유도되는 시기를 분석하였다. 성충은 일년에 3회 발생 하였는데, 1화기는 5월 초부터 7월 초까지, 2화기는 7월 초중순부터 8월 초중순까지, 3화기는 8월 중순부터 10월까지이었다. 7월말부터 8월 중순 사이에 갓부화 유충을 야외에서 사육하기 시작하였을 때, 그 해와 이듬해 용화한 개체들이 같이 발생하였다. 이후 사육된 집단에서는 모두 월동 유충들만 출현하였다. 야외에서 7월과 8월 중 채집된 유충들에서는 월동하거나 월동하지 않는 개체들이 같이 발생하였고, 이후 채집된 개체들에서는 모두 월동하는 개체들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수원에서 조명나방은 연중 2세대와 3세대를 경과하는 개체들이 같이 발생하는 복합 생활사를 갖는 것을 보였다. 실험실에서, 조명나방 유충을 영기별로 탈피 직후(9시간 이내)에 휴면유도 조건(11:13 시간 = 명:암 광주기, 20℃)에 처음 처리하였을 때, 거의 모든 유충들에서 휴면이 유도되었다. 유사한 처리를 5령으로 탈피한 유충 나이별로 적용하였을 때, 5령 3일과 4일 나이의 유충에 대한 처리에서는 휴면유도율이 감소하였다. 한편 알에서 갓 부화했을 때부터 휴면유도 조건에서 사육하던 유충들을 3령, 4령, 5령 탈피 직후에 비휴면 조건으로 옮겼을 때, 거의 대부분의 유충들은 휴면에 유도되지 않았다. 그 결과로부터 5령 초기 나이의 유충들이 휴면유도 자극에 반응하는 최종 단계라고 추정되었다. 비휴면 유충들에 비해, 휴면이 유도된 유충들에서는 혈림프 내 트레할로스 함량이 증가하였고, 몸체 과냉각점이 낮아졌다.

Effect of temperature on growth and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Meganoton scribae (Lepidoptera: Sphingidae)

  • Kim, Seong-Hyun;Park, Haechul;Park, Ing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3권2호
    • /
    • pp.63-67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ganoton scribae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temperature (20, 25, $30^{\circ}C$), humidity ($60{\pm}10%$), and photoperiod (14L:10D). At $25^{\circ}C$, the larval stage of M. scribae lasted for 28.4 d, and the pupal stage for 15.6 d. The average head width was 0.96 mm in the $1^{st}$, 1.34 mm in the $2^{nd}$, 2.07 mm in the $3^{rd}$, 3.64 mm in the $4^{th}$, and 5.89 mm in the $5^{th}$ instar. The life span of female adults was 10.3 d, and the maximum number of eggs spawned was 257.7.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M. scri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