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ix leptolepi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7초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임분 토양의 층위별 토양수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Soil Solution under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 류성렬;손요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1-345
    • /
    • 1998
  • Soil solutions were collected by zero-tension lysimeters at Kwangju, Kyunggi Province to estimate differences in ion concentration among species and horizons. Zero-tension lysimeters were installed in O, A, and B horizons in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Soil solu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96 through August 1998 and analyzed for $K^+$, $NA^+$, $NH_4^+$, $Mg^{2+}$, $Ca^{2+}$, $Al^{3+}$, $Cl^-$, $SO_4^{2-}$, $NO_3^-$, and $PO_4^{3-}$. The experimental site had high nitrogen loading from the atmosphere, and $NO_3^-$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 and $Mg^{2+}$. However, $NO_3^-$ and $NH_4^+$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nly in the O horizon of Q. mongolica stand. Mg^(2+) deficit in the soil was predicted owing to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Mg^{2+}$ with $NO_3^-$. Concentrations of $K^+$ and $Ca^{2+}$in soil solution were estimated higher in L. leptolepis than in other stands because of high leaching from the plant. Concentration of $Al^{3+}$ in soil solu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solution pH. Mean soil solution pH of A and B horizons in P. koraiensis was lower than 4.7, however the $Al^{3+}$ concentration was lower than the toxic level to plants.

  • PDF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상체상(床替床)에 있어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Weed Control in Transplanted Bed of Pinus koraiensis S. et. Z and Larix leptolepis Gordon)

  • 안영환;정진철;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1-218
    • /
    • 1985
  • 잣나무(Pinus koraiensis S. et. Z.)와 일본잎갈나무(Larix leptolepis Gordon) 상체상(床替床)에 있어서 잡초방제(雜草防除)를 목적(目的)으로 6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묘이식(苗移植) 7일(日) 후에 토양처리(土壤處理)하여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수목(樹木)의 약해(藥害)를 검정하였고 토양표면처리시(土壤表面處理時) 비산(飛散), 부주의(不注意) 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약해유무(藥害有無)를 판정하기 위하여 수목(樹木)에 대한 경엽처리(莖葉處理)를 약해(藥害) 및 생육상황(生育狀況)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공시약제(供試藥劑)의 토양표면처리(土壤表面處理) 결과(結果) 표준시용량(標準施用量)에서 화본과(和本科) 잡초(雜草)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oxyfluorfen, alachlor, terbutryn은 85~90%의 방제율(防除率)로 우수(優秀)하였고 pendimethalin과 simazine은 78%내외(內外)의 방제율(防除率)이였으며 ustinex는 60%정도(程度)의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2. 광엽잡초(廣葉雜草)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simazine, oxyfluorfen, pendimethalin, terbutryu 순(順)으로 70~80%의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3.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인 쑥, 메꽃에 대해서의 살초효과(殺草效果)는 ustinex와 oxyfluorfen이 85% 이상(以上)의 우수(優秀)한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고 기타 공시약제(供試藥劑)는 50% 이하(以下)의 저조한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4. 토양표면처리(土壤表面處理) 결과(結果)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에 대한 초기약해(初期藥害)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생육현황(生育現況)도 관행구(慣行區)에 비하여 떨어지지 않았다. 5. 경엽처리(莖葉處理)는 없었으며 생육(生育)은 관행구(慣行區)에 비하여 뒤지지 않았으며 일본잎갈나무에 대한 초기약해(初期藥害)는 ustinex, oxyfluorfen, terbutryn, pendimethalin처리구(處理區)의 순(順)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생육현황(生育現況)도 약해정도(藥害程度)에 비례하여 상당히 저조하였다.

  • PDF

증산법에 의한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목부내 염료침투 (Dye Penetration into Xylem of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by Transpiration Method)

  • 전수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od anatomy and the water flow path in P. koraiensis and L. leptolepis. through the experiment of penetration of the dye solutio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permeating 1% acid, alkali and direct solution into the xylem just after being cut.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P. koraiensis and L. leptolepis, the dye solution penetrated into sapwood and annual rings adjacent to cambial zone were only dyed according to ascent of tree height. 2. The penetrability of latewood was better than that of earlywood. 3. In P. koraiensis and L. leptolepis, the main water flow path in longitudinal direction was the trachied and that in transverse direction was ray trachied and ray parenchyma. Also, the dye solution was found in resin canal. 4. P. koraiensis was more permeable than L. leptolepis. 5. Among the acid, alkali and direct dye solution, the acid dye solution was the most permeable.

  • PDF

삽수(揷穗)의 클론, 모수령(母樹齡), 채취부위(採取部位) 및 발근촉진제(發根促進劑)가 낙엽송(落葉松)(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의 삽목발근(揷木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lones, Ortet Age, Crown Position, and Rooting Substance upon the Rooting of Cuttings of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

  • 정덕영;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05-210
    • /
    • 1994
  • 본 연구는 채종원에서 개화결실이 부진한 낙엽송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의 삽목증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수의 모수령, 채취부위, 클론 및 발근촉진제가 삽목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실시하였다. 2, 8, 16, 30년생 모수에서 7월 하순경 당년에 생장한 삽수를 채취한 후, 발근촉진제인 IBA(Indole Butyric Acid)를 1000, 2000. 5000ppm의 세가지 농도로 5초간 처리하였다. 삽수는 peatmoss, vermiculite, perlite를 1 : 1 : 1 로 배합하여 조제된 온실내 삽목상에 삽목한 후 3개월이 경과된 10월 하순에 발근여부를 조사하였다. 발근촉진제 무처리의 경우 발근율은 2년생에서 52%, 8년생에서 48%, 16년생에서 36%, 30년생에서 20%인 반면, IBA 1000ppm 처리시 가장 높은 발근율을 얻었는데 2년생 80%, 8년생 71%, 16년생 52%, 30년생 25%로 발근율이 향상되었으며, 부정근의 수와 주근의 길이가 모수령이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IBA 처리로도 증가하였다. 시기별 생존율은 삽목후 15-45일 사이에 현저히 감소한 반면, 그 후에는 생존율이 거의 감소하지 않았으며, IBA 처리로 생존율이 향상되었다. 모수의 클론별 발근율 조사는 8년생 모수를 사용하였는데, IBA 1000ppm 처리시 강원 49호에서 40%로 저조한 반면, 충남 6, 7호와 전북 1, 9호는 67%로 가장 커서 클론간에 발근율이 차이가 있었다. 삽수의 채취부위에 따른 위치효과는 수관 상부에서 채취한 삽수가 IBA 처리시 발근율이 평균 53%로 가장 낮았으며, 수관 하부가 56%, 수관 중부는 60%의 순으로 발근율이 증가되었다.

  • PDF

낙엽송(落葉松)(Larix leptolepis Gorden)의 심부재(心腐材) (On the Pith-damaged Wood of Larix leptolepis Gorden)

  • 민두식;이세표;최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419-423
    • /
    • 1990
  • 낙엽송의 심부후재(心腐朽材) 형성 원인과 성장상태(成長狀態) 및 그의 조성분(組成分) 차이를 구명하기 위한 실험이다. 1. 낙엽송이 정상적인 생장을 한 10년생 까지는 그의 성장율이 32.4% 이었으나 심부피해가 있는 11-13년 사이는 19.4%로 13% 점감하고 있다. 그리고 심부후재 형성은 산화(山火)에 의한 수피(樹皮)의 화상부분(火傷部分)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낙엽송 임지(林地)의 산화피해로 생기는 심부후재로 인한 재적(材積) 손실(損失)은 약 20% 이상이 되고 있다. 2. 조성분에 있어 탄분(炭分) 함유량은 심재가 0.05%, 심부후재부가 0.08%로 변재 0.29%에 비하여 적은데 이러한 원인은 유출성분(抽出成分) 함량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Holocellulose 함유량은 54.3%에서 59.3%로 심재, 심부후재부 그리고 변재 사이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는다. Pentosan 함유량은 심재 6.3% 및 심부후재부가 6.6%로 변재보다 많았다. Lignin 함유량은 심재 34.4% 보다 심부후재부에서 감소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목재의 제강도(諸强度)가 열화(劣化)된다고 본다.

  • PDF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mmunities by Cluster Analysis in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 Chung, Sang-Hoon;Kim, Ji-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36-743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cological attributes of classified forest community by cluster analysis in the mixed forest of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in randomly established 51 sample plots (2.04 ha) and analysis adopted the cluster analysis, importance value index, and Shannon's diversity index.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4 clusters (A, B, C and D). 2) The cluster A was 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with an importance value of 71.6%.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cluster B and cluster C were Larix leptolepis (57.1%) and Quercus mongolica (40.2%), respectively. Finally, The cluster D was dominated by P. densiflora (30.6%) and Q. mongolica (31.0%) with the mixed forest. 3) In the P. densiflora community (cluster A), distribution of DBH class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In the L. leptolepis community (cluster B), individuals of dominant species had the bell-shaped distribution. Oak species indicated uniform distribution of DBH class (under 25 cm) in the mixed P.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cluster D). 4)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communities in descending order were: Pinus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 Larix leptolepis community > Pinus densiflora community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antitative Comparisons of Soil Carbon and Nutrient Storage in Larix leptolepis,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taeda Plantations

  • Kim, Choonsig;Cho, Hyun-Se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2호
    • /
    • pp.67-71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soil carbon and nutrient storage of three adjacent coniferous plantations (Larix leptolepis,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taeda) growing on a similar site with a same planting age (42-year old) in the Sambong Exhibition Forests, Hamyang-gun, Gyungsangnam-do. The soil carbon concentration among three plantation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0∼10cm soil depth, but other two depths (10∼20cm and 20∼30cm) showed higher carbon concentration in P. densiflora plantation than the other two plantations. The exchangeable cation concentrations (Ca and Mg) in 0∼10cm dept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L. leptolepis plantation than in the other two plantations, while nitroge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plantations except for nitrogen at 10∼20cm depth in P. rigitaeda plantation. Soil carbon storage in 0∼20cm depth of three plantations was unaffected by the stand types. Soil nutrient stora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each depth except for nitrogen storage at 10∼20cm depth in P. rigitaeda plantation because of the variation of bulk density and coarse fragment.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soil carbon and nutrient concentrations among the plantations on a similar soil condition can be altered significantly by tree species effects over 40 years after plantation establishment.

일본잎갈나무 잎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 (Flavonoid Glycosides from Needles of Larix leptolepis(Pinaceae))

  • 김진규;박완근;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81-87
    • /
    • 1997
  • 일본잎갈나무잎을 채취하여 아세톤 : 물 (7 : 3, v/v) 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용성 화합물과 수용성 화합물로 분리하였으며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단리 하였다. 단리 화합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를 실시한 후 자외선 램프 하에서 관찰하였다. 바닐린 발색제를 분무히여 정색반응을 조사하고 $R_r$ 값을 구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의 구조는 $^1H$-NMR과 $^{13}C$-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그 구조를 규명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용성 화합물에서는 (+)-catechin, (-)-epicatechin, kaempferol-O-arabinofuranoside와 kaempferol-3-O-arabinopyranoside, 수용성 화합물에서는 apigenin-8-C-rhamnosyl-($1"'{\rightarrow}2"$)-glucoside(2"-O-rhamnosylvitexin)을 단리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