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 settlement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3초

Design charts for estimating the consolidation times of reclaimed marine clays in Korea

  • Sang-Hyun Jun;Byung-Soo Park;Hyuk-Jae Kwon;Jong-Ho Lee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2권1호
    • /
    • pp.1-20
    • /
    • 2023
  • To predict the consolidation behavior of dredged and reclaimed marine clays exhibiting consolidation settlement with large strains, the finite strain consolidation theory must be used. However, challenges in appropriately applying the theory and determining input parameters make design and analysis studies difficult. To address these challenges, design charts for predicting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of reclaimed marine clays are developed by a numerical approach based on the finite strain consolidation theory. To prepare the design charts, a sensitivity analysis of parameters is performed, and influencing parameters, such as initial void ratio and initial height, as well as the non-linear constitutive void ratio-effective stresspermeability relation, are confirmed. Six representative Korean marine clays obtained from different locations with different liquid limits are used. The design charts for estimating the consolidation times corresponding to various degrees of consolidation are proposed for each of the six representative clays. The consolidation settlements predicted from the design charts are compared to those in previous studies and at an actual construction site and are found to agree well with them. The proposed design charts can therefore be used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 consolidation of reclaimed marine clays having large strains.

군집분류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배면 지반의 상대적 침하거동 분석 (Analysis of Relative Settlement Behavior of Retaining Wall Backside Ground Using Clustering)

  • 곽영준;한희수
    • 지질공학
    • /
    • 제33권1호
    • /
    • pp.189-200
    • /
    • 2023
  •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라 도심지에 개발이 늘어나면서 지반침하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도심지에서의 건물붕괴는 대규모 인명 및 재산 피해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굴착지반에 균등하지 않은 하중이 작용하고, 대상지반의 사전지식이 없는 경우의 지반거동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지반 조사 정보가 없는 흙막이 공사의 굴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면 지반의 침하거동을 분석하는 방법이 기존에는 없었고,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대적 침하거동과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흙막이 벽체 배면 지반의 침하거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평균침하량차지수와 평균상대침하량차를 정의 및 계산하였으며, 이를 좌표계에 도시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측점간의 상대적 침하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관측점들의 군집을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여 k-평균군집분석과 Dunn Index를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계측지점의 침하량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면서 모든 군집들이 안정영역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군집은 세분화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의 각 측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구대상 지반의 독자거동영역과 동일거동영역을 구분할 수 있었다. 이처럼 측점들 간의 상대적 침하거동을 분석을 통해 거동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면, 주변지역의 융기, 지반파괴영역 예측, 터파기 공사 시 활동파괴의 방지 등 침하관리와 안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성토고 변화를 고려한 새로운 연약 지반 침하 예측 기법 (Newly Developed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on Soft Soils with Subsequent Surcharge Change)

  • 천성호;김한샘;윤찬영;정충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5C호
    • /
    • pp.155-162
    • /
    • 2011
  • 연약 지반 개량 현장의 효율적 시공 관리를 위해 침하 계측 자료를 이용한 정확한 향후 침하 거동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침하 예측을 위해 침하 계측 자료를 이용한 침하 예측 방법들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일정 성토고 조건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며, 실제 현장처럼 계측 결과에 따라 지속적인 성토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적용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성토 조건의 변화를 고려한 침하량 예측을 위해 침하 계측 자료를 이용한 침하 예측 결과와 복잡한 현장 조건을 단순화하기 위한 가정 조건을 기반으로 간단한 역해석을 통해 향후 침하량을 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대형 압밀 시험 결과, 유한 차분 해석 결과, 현장 침하 계측 자료에 제안 방법을 적용한 결과, 제안 방법이 하중의 재제하 등 다양한 성토 변화 조건에서 침하 거동을 신뢰성 있게 모사하였다.

암버럭-토사 혼합성토재 철도노반의 다짐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Crushed Rock-soil Mixture for Railway Subgrade)

  • 김대상;박성용;송종우;김수일;송재준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83-189
    • /
    • 2009
  •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은 콘크리트궤도 형식으로 건설되고 있다. 콘크리트궤도는 궤도의 강성 구조적 특징으로 인하여 잔류침하 규정이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다. 궤도의 잔류침하는 궤도를 지지하는 하부구조인 노반과 원지반으로부터 기인된다. 암버럭과 흙 재료로 건설되고 있는 노반의 잔류침하는 현장다짐품질에 따라 원지반을 포함한 총 잔류침하의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암버럭 토사 혼합성토재로 이루어진 노반에서의 잔류침하를 최소화하는 것은 콘크리트궤도의 성공적인 건설을 위하여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암버럭-토사 혼합성토재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총 31회의 대형다짐시험을 수행하였다. 다짐시료는 건설 중인 2개 현장으로부터 혈암과 이암을 주성분으로 하는 노반 재료를 채취하여 조성하였고, 다짐시험은 암 종류, 4번체 통과율, 최대입경, 함수비를 변화시키면서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혼합성토재의 최대건조단위중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준설매립 연약지반에 대한 압밀침하 예측 및 평가 (Prediction and Assessment on Consolidation Settlement for Soft Ground by Hydraulic Fill)

  • 전제성;구자갑;오정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9호
    • /
    • pp.33-4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안 준설매립지반에 대한 연약지반 개량사례를 이용하여 연적배수공법 적용시의 현장계측 및 압밀침하 해석을 실시하였다. 대상현장은 원지반위에 대략 10m의 준설매립을 통해 조성된 부지로서 고함수비 및 고압축성의 해성점토로 구성되어 있다. 1년 동안의 현장 계측결과, 당초 설계시의 예측침하량에 비해 매우 큰 압밀침하가 발생하였고, 이 조건에서의 향후 침하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추가 압밀침하 해석 및 계측결과를 이용한 역해석을 실시하였다. 상부시공 영향 등에 의해 준설매립지반에는 과다한 전단변형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현장 계측결과의 평가 및 보정을 실시하였다. 압밀해석 및 원지반 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실내시험 결과를 이용한 물질함수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부지 인도후의 잔류침하량 및 최종 지반고를 만족시키기 위한 추가 성토고를 산정하였다. 추가 성토이후의 현장 계측결과와 당초 예측했던 압밀침하 거동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당초 예측내용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었다.

조류의 영향을 받는 준설매립지역에서 지하수위 이력을 고려한 계측침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Monitoring Settlement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Dredged Landfill Area Affected by Algae)

  • 장지건;손수원;홍석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7호
    • /
    • pp.13-23
    • /
    • 2021
  • 연약한 점성토나 유기질토로 구성된 지반위에 도로, 교량, 건물 등이 축조된다면 침하량이 과대하여지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침하 및 안정성 등 지반 공학적으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될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 축조된 구조물의 전단파괴 또는 붕괴로 까지 나타날 수 있어, 지반의 강도증가 및 침하억제 등을 위한 지반개량공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로 준설매립된 지반에서의 침하량 예측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지하수위 조건에 대하여 계측결과를 이용하여 각 지하수위 조건에 따른 침하량을 분석하고 준공 5년 후의 발생침하량과 비교하여 침하분석 시 적용 지하수위 조건에 대해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침하분석 시의 지하수위는 시공중에는 계측 지하수위를 적용하고, 공용중에는 소조평균저조위(L.W.O.N.T)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점토로 준설매립된 지역의 경우 원지반점토층 상부 통수층에서의 수두 관측결과와 원지반점토층 하부 통수층에서의 수두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점토층에서 작용하는 수압은 비선형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점증 선행 하중으로 개량하는 연약지반의 계측기반 침하량 예측방법 개발 (Prediction Method of Settlement Based on Field Monitoring Data for Soft Ground Under Preloading Improvement with Ramp Loading)

  • 우상인;윤찬영;백승경;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83-91
    • /
    • 2008
  • 현장계측 자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향후 침하거동을 예측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모두 즉시재하 조건을 가정하고 개발된 방법으로써 실제로는 연약지반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점증재하가 이루어지는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층의 두께, 성토하중 크기, 선행압밀하중, 배수거리, 성토속도 등의 다양한 영향인자를 고려하였으며 점증재하가 완료된 이후의 지반개량 기간에도 지속적으로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계측기반 침하거동 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점증재하 과정에서의 예측방법과 성토완료 이후의 예측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성토 완료 이후의 예측방법은 기하학적 보정을 이용한 정확도 향상기법과 확률론적 보정을 이용한 정확도 향상기법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대형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 예측기법의 적용성 검증 결과, 기존의 예측기법을 적용할 수 없는 점증재하 초기에도 비교적 적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침하거동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성토완료이후에도 기존 예측기법과 제안된 방법의 비교, 분석 결과 최종침하량과 RMSE에서 모두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예측기법에 비하여 우수한 예측결과를 보였다.

MLPP 공법의 압밀 및 지지력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onsolidation and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Marine Large Pack Pile)

  • 이상익;박용원;임철웅;김일곤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2-279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a new method of improvement for marine soft ground, MLPP(Marine Large Pack Pile). The MLPP is a reinforcement technique for the conventional SCP or GCP piles by confining with geotextile pack. A pilot project at Busan New Port site and laboratory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ttlement reduction and bearing capacity enhancement effect of pack pile. The results of field and laboratory tests show that MLPP method can be a safe and economic alternative method for SCP and GCP.

  • PDF

국제전자결제시스템으로서 ACH와 Fedwire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CH and Fedwire as a Cross-Border Payment System)

  • 이병렬
    • 통상정보연구
    • /
    • 제10권1호
    • /
    • pp.139-154
    • /
    • 2008
  • This research want to discuss some issues about payment system of America. This research focuses on comparing ACH with Fedwire. Firstly Fedwire is the payment system for only large-dollar transfer(Large-Value Transfer System; LVTS), while ACH(Automated Clearing House)payment mainly applies a consumer account. Secondly ACH transaction is either credit or debit transfer, while Fedwire is only credit transfer. Thirdly the communication system of Fedwire has twoway method, telephonelike communication network, but ACH is oneway store and forward electronic mail. At present LVTS divides into RTGS(Real-Time Gross Settlement) and DNS(Deferred Net Settlement). However Fedwire uses either RTGS(instantaneous for every transaction) or DNS(net net transaction) but ACH uses only DNS(net net transaction). Fourthly ACH is substantially cheaper than the Fedwire payment. lastly security is important in both Fedwire and ACH, it is even more crucial in Fedwire In addition, for each transaction, Fedwire may entail individual instantaneous confirmation to the originator and notification to the receiver, whereas ACH do not.

  • PDF

낙동강 하구 지반 매립시 발생된 과다 압밀침하 (LARGE CONSOLIDATION SETTLEMENT OCCURRED DURING RECLAMATION WORKS IN THE NAKDONG RIVER MOUTH)

  • 김상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준설 및 환경매립에 관한 학술세미나
    • /
    • pp.35-48
    • /
    • 1999
  • 낙동강은 그 하구 근처에서 김해평야하고 부르는 델타지역을 형성하였다. 김해평야에 퇴적된 점성토는 다른 나라의 점토층에 비해 유달리 두껍다 (최대 60m). 이 지역의 일부는 새로운 공업단지의 개발을 위해 연직 배수재를 설치한 후 평균 5-7m의 높이로 매립하였다. 연약 지반 위에 매립작업을 수행하면서 침하량을 측정하였는데, 실측침하량은 이론적으로 예측한 침하량보다 현저히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논문은 김해점토의 퇴적환경의 관점에서 과다침하가 발생되는 이유를 기술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