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thanide complexe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6초

Sensitized Near IR Luminescence of Er(Ⅲ) Ion in Lanthanide Complexes Based on Diketone Derivatives: Synthesis and Photophysical Behaviors

  • Baek, Nam-Seob;Kwak, Bong-Kyu;Kim, Yong-Hee;Kim, Hwan-Ky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8호
    • /
    • pp.1256-1260
    • /
    • 2007
  • Two β-diketone derivatives bearing triphenylene (1-naphthalene-2-yl-3-triphenylen-2-yl-propane-1,3-dione (NTPD)) and naphthalene (1,3-di-naphthalene-2-yl-propane-1,3-dione (DNPD)) and their Ln(III) complexes (Ln = Er or Gd) were synthesized and their photophys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sensitized emission of Er3+ ion in Er3+-[NTPD]3(terpy) and Er3+-[DNPD]3(terpy) was observed upon excitation at absorption maximum of ligands. Their photophysical studies indicate the sensitization of Er3+ luminescence by energy transfer through the excited triplet state of β-diketone ligand. The energy transfer rate through the excited triplet state of β-diketone ligand to Er3+ ion occurs faster than that of the oxygen quenching rate.

4[N-Furfural)amino]antipyrine Semicarbazone의 질산 란탄(III) 배위화합물의 입체화학에 미치는 Picolines의 영향과 항박테리아 활성 (Studies on the Effect of Picolines on the Stereochemistry of Lanthanide(III) Nitrate Coordination Compounds of 4[N-Furfural)amino]antipyrine Semicarbazon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 Agarwal, Ram K.;Agarwal, Himanshu;Prasad, Surendra;Kumar, Anil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594-602
    • /
    • 2011
  • 4[N-(furfural)amino]antipyrine semicarbazone(FFAAPS)와 질산 란탄(III)이 형성하는 배위화합물의 입체화학에 미치는 ${\alpha}$-, ${\beta}$- 및 ${\gamma}$-picolines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들 배위화합물의 일반적 조성은 [Ln(FFAAPS)$(NO_3)_3$Pic] (Ln=La, Pr, Nd, Sm, Gd, Tb, Dy 또는 Ho 및 Pic=${\alpha}$-, ${\beta}$- or ${\gamma}$-picolines)이다. 모든 배위화합물은 원소분석, 분자량, 몰전기전도도, 자기수자율, 적외선 및 자외선 스펙트럼으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적외선 연구결과 FFAAPS는 N, N, O 주개를 갖는 중성 삼배위 리간드로 행동하는 반면, ${\alpha}$-, ${\beta}$- 또는 ${\gamma}$-picoline는 헤테로 N-원자를 통하여 란탄(III) 이온에 배위된다. 질산 음이온은 이들 화합물에서 이배위로 결합한다. 자외선 스펙트럼 결과로부터 전자구름 퍼짐 효과(${\beta}$), covalence factor($b^{1/2}$), Sinha parameter (${\delta}%$) 및 covalence angular overlap parameter(${\eta}$)를 계산하였다. 이들 착물의 열적성질을 열무게 분석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본 화합물에 있어서 란탄(III)의 배위수는 10으로 조사되었다. 기본 리간드인 FFAAPS와 착물의 항박테리아 선별조사 결과, 이들 착물은 중간 정도의 항박테리아 활성을 보였다.

Lanthanide Complexes of Some High Energetic Compounds (II), Crystal Structures and Thermal Properties of Picrate Complexes

  • Yun, Sock-Sung;Kang, Sung-Kwon;Suh, Hong-Ryol;Suh, Hyung-Sock;Lee, Eun-Kwang;Kim, Jae-Kyung;Kim, Chong-Hyea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8호
    • /
    • pp.1197-1202
    • /
    • 2005
  • The Ln(III) complexes with picrate ligand, $[Sm(Pic)_2(H_2O)_6]Pic{\cdot}6H_2O$, 1, and $[Ho(Pic)(H_2O)_7](Pic)_2{\cdot}3H_2O$, 2, have been synthesized and their crystal structures are analyzed by X-ray diffraction methods. Complex 1, crystallizes in the monoclinic $P2_1/n$ space group and complex 2 in the triclinic P-1 space group. In complex 1, two picrate ligands coordinate to the Sm(III) ion, one of them in the bidentate fashion. There are one picrate anion and six water molecules in the crystal lattice. The nine-coordinated Sm(III) ion forms a slightly distorted tricapped trigonal prism. In complex 2, only one picrate ligand coordinates to the metal ion as a monodentate. There are two picrate anions and three water molecules in the crystal lattice. The eight-coordinated Ho(III) ion forms a distorted bicapped trigonal pris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G-DTG and DSC thermal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lanthanide picrate complexes 1 and 2 are thermally decomposed in three distinctive stages, the dehydration, the picrate decomposi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metal oxide.

수용액에서 몇가지 란탄 착화합물의 Hypersensitive Transitio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persensitive Transitions of Nd(III), Ho(III) and Er(III) Complexes in Aqueous Solution)

  • 윤석승;최기영;박경균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3-248
    • /
    • 1988
  • 수용액에서 몇가지 란탄 착화합물의 hypersensitive 전이대를 연구하였다. 리간드의 염기도$(pK_a)$와 란탄 착화합물의 hypersensitive 전이대의 진동자 세기 사이에 정립된 선형 관계에 근거를 두고, 금속-리간드 결합간에 존재하는 공유 결합성을 anthranilate, pyrazine-2-carboxylate, 및 pyruvate 착화합물에 대해서 논하였다.

  • PDF

Energy Transfer Pathway in Luminescent Lanthanide Complexes Based on Dansyl-N-methylaminobenzoic Acid through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State for Near Infrared Emission

  • Roh, Soo-Gyun;Baek, Nam-Seob;Kim, Yong-Hee;Kim, Hwan-Ky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8호
    • /
    • pp.1249-1255
    • /
    • 2007
  • We have investigated the photophysical properties of dansyl-N-methylaminobenzoic acid (DABAH) as a ligand and its lanthanide (Ln3+)-cored complexes (Ln3+-(DABA)3(terpy)) in order to determine the main energy transfer pathway for sensitized near infrared emission of Ln3+ ions (Ln3+ = Nd3+ and Er3+) in Ln3+- (DABA)3(terpy). The fluorescence spectrum of DABAH shows a large Stokes shift with increasing solvent polarity. This large Stokes shift might be due to the formation of a twisted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TICT) state, as demonstrated by the large dipole moment in the excited state. It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 that the phosphorescence even in the Gd3+-cored complex based on the DABAH ligand was not observed, maybe due to the highly forbidden character of the S1 → T1 transition in the DABAH ligand. A short decay component (ca. 1 ns) was observed in Er3+-(DABA)3(terpy) whereas the fluorescence lifetimes of DABAH and its Gd3+-(DABA)3(terpy) are observed about ~10 ns. The short component could be originated from the energy transfer process between the ligand and the Ln3+ ion. Based on the fluorescence of DABAH its Ln3+- (DABA)3(terpy), the sensitization of Ln3+ luminescence in the Ln3+-(DABA)3(terpy) takes place by the energy transfer via the TICT state of DABAH in the excited singlet state rather than via the excited triplet state.

양이온 교환체에서 희토류원소와 $\alpha$-Hydroxyisobutyric Acid 착물들의 머무름 거동에 관한 연구 (Retention Behavior of Lanthanide Complexes with $\alpha$ -hydroxyisobutyric Acid on Cation Exchanger)

  • 조기수;한선호;서무열;엄태윤;김연두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82-592
    • /
    • 1990
  • 양이온 교환체 (LC-18 coated with $C_{20}H_{41}SO_4^-$)에서 희토류원소-$\alpha$HiBA 착물계의 머무름 거동을 연구하였다. [Na$^+$] 및 [$\alpha$-HiBA]의 등용매 또는 기울기 용리에 따른 희토류원소의 머무름을 나타내는 관계식을 이온 교환 평형식으로부터 유도하였다. [$Na+$] 및 [$\alpha$-HiBA]의 등용매 용리에 따른 크기성질(k')의 관계인 log k' vs log [$Na^+$] 및 log k' vs log [$\alpha$-HiBA]의 직선의 기울기 값에 대한 실험값과 계산값을 비교한 결과 서로 일치하였다. 위의 관계식으로부터 비선형 최소자승법으로 각 개별 착물들의 크기성질($k'_{Ln}^{3+}, k'_{LnL}^{2+}, k'{LnL2+}) 및 착물의 안정도 상수(${\beta}_1$, ${\beta}_2$, ${\beta}_3$)를 각각 구하였다. 희토류원소들의 크기성질(k')에 대한 실험값과 계산값의 상관계수가 0.9996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Phenylbutazone의 란탄(III) 착물에 대한 합성, 스펙트럼 및 열적 연구 (Synthesis, Spectral and Thermal Studies of Lanthanide(III) Complexes of Phenylbutazone)

  • Anoop, M.R.;Binil, P.S.;Jisha, K.R.;Suma, S.;Sudarsanakumar, M.R.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12-619
    • /
    • 2011
  • 1,2-diphenyl-4-butyl-3,5-pyrazolidinedione(phenylbutazone, PB)의 란탄(III) 착물을 합성하여 원소분석, 몰전기전도도 측정, IR, UV-Vis. 및 NMR 스펙트럼으로 특성을 조사하였다.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PB가 pyrazolidinedione 고리의 두 카르보닐 산소를 통해 이배위 및 일이온화 리간드로 배위됨을 규명하였다. 몰전기전도도 데이터로부터 이들 착물이 비전해질임을 규명하였다. 이들 착물의 열적 행동을 공기 중에서 TG 및 DTG로 연구한 결과, 탈수화, 열적 안전성 및 열분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최종 생성물은 해당 금속의 산화물로 밝혀졌다. 탈수화 및 분해 단계에 대한 열역학 및 반응속도 파라메터를 구하였다. 분해 단계에 대한 음의 엔트로피 값은 반응물보다 활성화 착물이 더 질서있는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반응은 정상보다 느렸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착물의 분자식이 $[Ln(PB)_3]{\cdot}5H_2O$(Ln=La 및 Ce) 그리고 $[Ln(PB)_3 (H_2O)_2]{\cdot}2H_2O$(Ln=Pr, Nd 및 Sm)임을 규명하였다.

란탄족원소-ALC 착물의 전기화학적 연구 (Electrochemical study on the Lanthanide-Alizarin Complexone Complexes)

  • 손병찬;김재균;박종민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
    • /
    • pp.37-46
    • /
    • 1995
  • 란탄족이온($Gd^{3+},$ $Tb^{3+},$ $Dy^{3+},$ $Ho^{3+},$ $Er^{3+},$ $Yb^{3+}$$Lu^{3+}$)과 alizarin complexone(ALC) 사이에 생성한 착물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직류폴라로그래피, 펄스차이폴라로그래피 및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연구하였다. 0.1M $HOA_C-NaOA_C$ 지지전해질 용액에서, 착화제인 ALC는 2전자 1단계의 1:1의 착물을 형성하였으며 이 착물의 환원파는 펄스차이폴라로그래피 및 순환전압전류법으로 흡착성 착물파임을 확인하였다. 착물파의 환원전위는 ALC의 환원파보다 음전위에서 나타났으며 란탄족이온의 농도의 증가에 따른 ALC의 봉우리전류(PI)의 감소와 착물의 봉우리전류($P_2$)의 증가는 란탄족이온의 농도 $2.5X10^5$~$1.0X10^4M$ 범위에서 직선적으로 변화하였다.

  • PDF

유로퓸(III) β-디케토네이트 착물의 루이스 염기 배위에 따른 발광 특성 분석 (Photoluminescence analysis of Lewis base coordinate europium(III) β-diketonate complex)

  • 이성환;이규환
    • 분석과학
    • /
    • 제28권3호
    • /
    • pp.204-211
    • /
    • 2015
  • 란탄족 착물은 독특한 발광 특성으로 인하여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물질이다. 유로피움(III) β-디케토네이트 착물에 아민계열 또는 포스핀옥사이드계열 리간드를 추가로 배위 결합시켜 발광 효율을 비교하였으며, 아민계열 배위보다는 발광 효율 증진에는 포스핀옥사이드 계열이 더 좋은 추가 리간드임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트리옥틸포스핀 옥사이드를 배위시켰을 때 가장 높은 발광효율이 관찰되었다. 추가로 배위될 수 있는 트리옥틸포스핀 옥사이드의 당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31P-NMR과 photoluminescence를 분석하였다. 유로피움(III) β-디케토네이트 화합물은 리간드의 입체장애에 따라 트리옥틸포스핀 옥사이드의 배위 당량은 1 개 또는 2 개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